절연체나 유전체 내부에서 외부의 전기장에 의해서 유도되어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는 현상.|분극은 전기장에 의해 양극성인 원자핵의 주위에 있는 음극성의 전자구름이 전기장의 반대 방향으로 일그러질 때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하가 미세하게 분리되면 원자의 한쪽은 어느 정도 양전...
전계 용어. 임의의 점에서, 그 점의 전속밀도의 벡터와 그 점의 매질을 진공으로 하여, 같은 전계를 건 경우에 생기는 전속밀도의 벡터와의 차. 주 : 전극분극은 어느 점을 에워싸는 미소체적중의 전기 쌍주자 모멘트의 벡터합과 그 체적의 상을 취하고, 체적을 0으로 접근한 극한에서의 벡터이다.
걸려있지 않는 상태에서 하나의 축 중에서 생기고 있는 자기 분극 〈참조어〉 분극 잔류분극 ② 전계를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분극을 말한다. ③ 주로 강유전체 용어. 외부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일 유전체 드메인내와 분극의 크기. 강유전체 내에서 가역적이든가 혹은 재배열...
표현된다. ② 강유전체 용어. 단위체적당 전기모멘트 주 : 분극모는 단위면적당 구속표면전하로 나타내지만, 이는 거시적 전기 이론에서는 이 표면에 수직인 분극벡터부분과 같다. 분극과 전기변위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정수 ε0(보통, 자유공간유전율이라 불리운다)는 8.854×10-12C/Vm와 같다...
(1) 강유전성물질 용어. 분극 Pr의 값에서 전계의 제거 후에 남는 것. 잔류분극은 분극된 강 유전체에 고정된 표면전하를 큐리점 이상으로 가열한 때에 해방되는 전하를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주 : ① 이 전계가 분극을 포화하는데 충분히 큰(통상, 3Ec 즉 보존전계의 3배) 경우 전계 제거 후에 남는 분극을 포화...
물질에 고유한 양으로 물질이 정전계에 놓여 있을 때 분극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N:아보가드로 수, a:분자의 분극률, μ:영구 쌍극자 모멘트(무극성 물질에서는 μ=0), ρ : 밀도, k : 볼츠만 상수, T : 절대 온도. 이것으로부터 분자의 쌍극자 모멘드 µ를 구할 수가 있다.
정전압을 인가한 순간부터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시료 안에서 시간과 함께 감쇠하는 전류 주 : 분극전류는 콘덕턴스전류를 포함하지 않는다. 시료 안의 분극전류와 콘덕턴스전류의 합이, 보통 측정 중 관측되는 전류가 된다. 분극전류는, 분극흡수전류와 용량성충전전류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