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적자재정 赤字財政, deficit financing
    정부가 세입으로 받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것.|적자재정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개 경기부양을 위해 계획적으로 세율을 낮추거나 정부지출을 증대시킨 경우를 가리킨다. 정부의 재정 적자는 국민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에는 회계년도마다 예산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이상적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재정수지 財政收支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를 말한다. 세입이 세출보다 많으면 재정흑자, 반대로 세출이 세입보다 많으면 재정적자가 된다. 세입과 세출이 일치하여 흑자도 적자도 없는 재정 상태는 균형재정이라고 한다. 적자재정일 경우 정부는 부족한 재정을 메우기 위해 국채, 즉 나랏빚을 발행한다. 우리나라는 재정수지 통계...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경제
  • 재정적자
    한 해 나라살림에서 정부의 지출규모가 거둬들인 세금수입보다 많을 때, 발생하는 적자를 가리킨다. 정부의 부족한 돈은 한국은행에서 차입하거나 국공채를 팔아 메워진다. 반대로 세입이 세출보다 클 경우를 가리켜 재정흑자라고 한다.
  • 재정적자 red figures in finance
    한 해 나라살림에서 정부의 지출규모가 거둬들인 세금수입보다 많을 때, 발생하는 적자를 가리킨다. 정부의 부족한 돈은 한국은행에서 차입하거나 국공채를 팔아 메워진다. 반대로 세입이 세출보다 클 경우를 가리켜 재정흑자라고 한다.
  • 재정수지
    정부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재정수지라고 한다. 수입과 지출이 같으면 균형, 수입이 더 많으면 흑자, 지출이 더 많으면 적자라고 한다. 재정적자가 발생하면 국채발행이나 차입이 늘어나 정부부채가 증가하게 된다. 정부의 재정활동은 조세와 정부지출의 형태로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라는 거시경제의 순환에 영향...
  • 재정정책 財政政策, fiscal policy
    말하면, 예산은 경제활동수준이 낮을 때에는 적자이어야 하고, 종종 높은 인플레이션을 수반할 만큼 경제가 과열된 경우에는 흑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적자재정). 균형예산체제하에서는 경제활동이 감소하는 시기의 개인세와 법인세의 세율은 정부수입이 감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증가된다. 이것은 소비를 훨씬 더 감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조선 朝鮮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근대적 상공업이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음을 반증한다. 위의 예산의 특징은 화폐 발행액이 세입의 5분의 1 이상을 점하고 있고, 재정 적자가 150만 원에 달하고 있는 점이다. 당시 정부는 개항 후 개화 · 자강 정책의 실현을 위해 근대적 시설의 운영, 외국인 고문과 기술자의 초빙, 해외 사절 및...
    시대 :
    조선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부국강병을 위한 변법 개혁, 왕안석의 신법
    소작하거나 유랑하는 삶을 선택하기도 했다. 또한 농민들은 불만의 표시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처럼 북송 중기에 계층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재정 적자로 어려운 국면을 맞자 일부 사대부 계층에서 각성이 일어났다. 이런 각성은 두 번의 변법 개혁으로 표출되었는데, 첫 번째는 1041년부터 1048년까지 범중엄...
    시대 :
    1069년
  • 재정 財政
    상황 8 · 15광복 후 미군정하의 재정은 당시의 군사주둔비를 포함한 사회혼란수습비 지변 등 군정에 부합되도록 편성되었으나 해마다 적자가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재정적자는 한국은행으로부터의 차입금으로 보전되었는데 이에 따라 재정인플레이션이 나타나게 되었다. 미군정하의 세입과 세출내역은 〈표...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막부 재정의 붕괴
    확대되자 차츰 바닥이 드러나기 시작하여 1709년에 이르러서는 1년에 약 100만 냥의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이때 막부의 관리 오기와라[荻原重秀]는 재정 적자 해결책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국가경제를 풍부히 하기 위해서는 금은화의 양을 늘려야 한다. 지폐도 통용되는 것이므로 막부가 발행하는 금은화는...
  • 쌍둥이적자 Double Deficit
    무역수지 적자재정수지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1980년대 미국에서 대규모 무역적자재정적자가 동시에 일어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 통합재정수지
    점에서 정부재정이 건전하게 운용되는지를 파단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통상적인 예산은 세입=세출이 균형을 이루어 재정운영의 건전성을 파악하기 곤란하나 통합재정재정적자의 보전 또는 흑자처분을 위한 거래는 제외되므로 재정의 건전성 판단이 가능하다. 즉, 재정수지가 적자면 보전재원은 '+'로 표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