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적도무풍대 赤道無風帶, doldrums
    적도 근처에서 지구를 둘러싸며, 바람이 수렴하고 공기가 상승하는 열대 수렴대 내의 해류와 바람이 약한 적도지역.|북동 무역풍과 남동무역풍이 이곳에서 만난다. 이 충돌로 약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적도무풍대가 형성된다. 적도무풍대적도를 따라 인도양과 태평양 서부 및 아프리카와 중앙 아메리카 서부 해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바람 (관련어 적도무풍대) wind
    바람은 기후와 날씨를 결정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기압의 수평·수직 경도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의 분포는 기압의 분포와 밀접하다. 지표 부근에서 바람은 보통 저기압과 고기압의 주변부에서 분다. 저기압의 경우 북반구에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불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분다. 고기압 중심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저기압대 (관련어 적도 무풍대) 低氣壓帶, low pressure zone
    주위 지역보다 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이 띠처럼 길게 이어진 것.|저압대라고도 한다. 적도 부근에 있는 적도 무풍대가 대표적인 저기압대이다. 태양복사에너지의 양이 많아 해수의 증발량이 많고 이에 따라 상승기류가 계속 형성되어 호우와 뇌우 스콜이 번갈아 나타난다. 변화무쌍한 흐린 날씨가 계속되고 비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상/기후 , 환경
  • 적도 수렴대 (관련어 적도무풍대) Intertropical Convergence Z..
    적도 수렴대(赤道收斂帶) 또는 열대 수렴대(熱帶收斂帶)는 적도 무풍대, 적도 우림대로 알려져 있는 적도 지역에 둘러져 위치하는 띠 형태의 저기압대이다. 적도의 남, 북에서 불어오는 따뜻하고 습한 상승 공기에 따라 형성된다. 지구의 열과 습도를 분배하는 계 가운데 하나인, 저위도 환류(Hadley cell)라는 대규모 ...
    도서 위키백과
  • 적도 기단 赤道氣團, equatorial air mass
    적도 기단은 적도 무풍대(북동 무역풍대와 남동 무역풍대 사이 지대)에서 생겨나는 열대 기단으로 온도와 습도가 모두 높은 특징을 가진다. 계절에 따라 적도 무풍대가 북상 또는 남하하게 되므로 적도 기단의 발원지도 어느 정도 남북으로 이동한다. 봄과 가을에는 적도 부근이, 북반구의 여름에는 북위 10도 근처로...
    도서 다음백과
  • 적도 부근
    20°선 근처에 있으며 겨울에는 적도선 근처에 있게 된다. 적도 부근에서 북동 무역풍과 남동무역풍이 만나는데 여기서 충돌로 약한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적도무풍대가 형성된다. 이곳의 기압은 북쪽 또는 남쪽의 외곽지역보다 낮으며 바람은 약하고 풍향도 불규칙하여 거의 바람이 없는 곳이다. 적도무풍대적도를...
    도서 다음백과
  • 무풍대
    무풍대(無風帶)는 바람이 매우 약하거나 없는 지역으로 다음을 의미한다. 아열대무풍대 아한대무풍대 적도무풍대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적도반류 赤道反流, equatorial countercurrent
    이동한다. 어느 쪽에서나 항상 무역풍이 불어와 매우 많은 양의 물을 적도해류로 밀기 때문에, 서쪽에서는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강한 바람이 없는 적도무풍대(doldrums)에서는 보다 높은 서쪽의 해수면이 경사를 따라 동쪽으로 흐른다. 태평양 적도반류는 매우 강하며 연중 뚜렷하다. 대서양 적도반류는 가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지표면의 대기대순환
    방향을 기준으로 명명하기 때문에 그 풍대의 이름에서 탁월풍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바람과 기압의 분포대는 다음과 같다. 적도무풍대 적도 부근은 적도무풍대로 둘러싸여 있다. 이곳의 기압은 북쪽 또는 남쪽의 외곽지역보다 낮으며 바람은 일반적으로 약하고 풍향도 불규칙하여 때때로 무풍 상태가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열대수렴대 ITCZ, 熱帶收斂帶
    이러한 상승기류로 인해 구름이 많이 끼기도 하고 자주 뇌우를 동반하기도 하며, 폭우가 내리기도 한다. 또한 이 지역 내의 해양에는 해수면의 대기가 고요한 적도무풍대가 나타난다. 열대수렴대는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한다. 특히 인도양에서는 위도 40~45° 정도까지 계절에 따른 큰 이동이 나타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해류 표층의 순환
    북반구의 여름에만 최대로 발달해 서경 50°에서 기니 만으로 유입된다. 겨울에는 열대대서양의 동쪽 부분에만 남는다. 적도반류의 위치는 적도무풍대의 위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적도무풍대가 북위 5~10°에 있을 때의 열대해류계를 정성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에크만 층에서 바람에 의한 해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태평양의 온도와 염도
    보다 더 근접하고 있다. 염도 적도무풍대의 해수염도는 무역풍이 부는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것은 적도지역에는 강우량이 많은 반면, 낮은 풍속과 높은 운량으로 인해 증발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적도무풍대의 염분농도는 대부분 34‰ 이하이다. 태평양 남동부지역의 최대염분농도는 37‰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태평양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적도 무풍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