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저층수 底層水, bottom water
    특징적인 수온·염분·산소 함량으로 인해 상부 해수와 뚜렷이 구별되며 밀도가 높은 최저위 해수층.|남태평양, 인도양 남부, 남대서양, 북대서양 일부 지역의 대부분 저층수는 남반구 겨울 동안 남극 근처에서 형성된다. 남극 대륙붕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결빙된 해수, 특히 웨들 해와 로스 해에서는 염분이 없는 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남극저층수 AABW, 南極低層水
    남극 Weddell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곳에 해수가 매우 냉각(-1.9℃)되고 대륙붕상에서 해빙이 생성될 때 방출되는 고 염분으로 인하여 염분 함량이 높아지는 것. 전세계 대양의 해수중 가장 밀도가 높기 때문에 해저면의 지형을 따라 흐르게 되며 북쪽으로 흘러 태평양, 대서양 그리고 인도양의 수심 4,000m 이상되는...
    분야 :
    해양정책
  • 심층 순환 열염순환, 深層盾環
    겨울철에 남극 대륙 주변 해수의 온도가 낮아져서 결빙하면 주변 해수의 염분은 높아지고, 밀도가 커진 표층 해수는 해저까지 가라앉아 남극 저층수를 이룬다. 남극 저층수는 밀도가 가장 높은 심해수로 남극 대륙 주위의 해저를 따라 돌며 전 세계 해양에 심해수를 공급한다. 한편 북대서양의 그린란드 해역에서는...
  • 수괴 水塊, water mass
    수괴는 특정지역에서 기후의 영향으로 형성된다. 남극저층수는 남극대륙붕에서 해빙이 형성되는 동안 차고 밀도가 큰 잔류염수로 변하는 중요한 수괴이다. 남극저층수의 염분은 34.62‰이고, 수온은 -1.9℃이므로 1.02789g/㎤의 높은 밀도를 갖는다. 이러한 높은 밀도로 인해, 남극저층수는 가라앉아 해저 바닥을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사해 死海, Dead Sea
    수온이 19~37℃로 변화하고 염도는 300‰이 채 안 되며, 수중에는 황산염과 중탄산염이 특히 풍부하다. 수심 40~100m의 천이지대를 지나 그 아래에 존재하는 저층수는 대략 섭씨 22℃의 일정한 수온과 약 332‰의 높은 염분농도를 유지한다. 황화수소와 고농도 마그네슘·칼륨·염소·브롬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보다...
    위치 :
    서쪽의 유대 구릉지대와 동쪽의 트란스요르단 고원 사이
    면적 :
    1,020㎢
    대륙 :
    유럽, 중동
    국가 :
    요르단, 이스라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벵겔라 해류 Benguela Current
    용승류를 형성하는데, 이 용승류는 차며 상대적으로 낮은 염분과 많은 플랑크톤을 함유하기 때문에 훌륭한 어장을 형성한다. 월비스 해령은 매우 찬 남극 저층수가 북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데, 이 해령의 해저지형은 남서 아프리카(나미비아)의 프리아 곶으로부터 고프 섬쪽인 남서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 해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바다
  • 보퍼트 해 Beaufort Sea
    표층수괴보다 훨씬 따뜻하며 거의 북극까지 흐른다. 대서양의 심층수는 4개의 수괴 중에서 가장 따뜻한데, 온도는 0~1℃이고 염도는 34.9~35.5‰에 이른다. 저층수는 온도가 -0.4~-0.8℃에 이르고 염도는 34.9‰로 거의 일정하다. 해류방향은 북극해의 전체 해류체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동쪽으로 흐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바다
  • 심해순환
    일부는 대서양 중앙해령의 좁은 통로(로만치 해구)를 통해 나간다. 남아메리카 근처에는 평균유속이 10~15㎝/s에 이르는 상대적으로 강한 해류가 해양지질학자들에 의해 유추되고 있다. 이러한 유추는 남극저층수 밑이나 혼 곶의 드레이크 수로 및 대서양 해저에서 발견되는 연흔, 긁힌 자국, 노두암반 등에 의한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심해평원 深海平原, abyssal plain
    저탁류에 의해 퇴적되는 동안에 수중 고형입자들이 가라앉아 만들어진 것으로 퇴적속도는 굉장히 느려 1,000년 동안 1㎜에서 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심해 점토층은 얕은 근해지역에서 만들어진 난류에서 혼탁한 저층수의 느리고 지속적인 확산에 의해 심해평원으로 운반되어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망간각 망간殼
    산소가 풍부한 해저 저층수가 해저산을 만나 상승하면서 해저산 정상부 부근의 금속이 많이 녹아 있는 해수와 반응하여 금속산화물형태로 기반암에 피복(두께 1∼25cm)되는 광물덩어리. 수심 800∼2,500m의 해저산 사면 및 정상부 부근에 주로 분포. 망간각의 피복속도는 백만년에 약 1∼6mm로 알려져 있으며 퇴적작용이...
    분야 :
    해양정책
  • 용승류 湧昇流, Upwelling
    북반구에 있어서 대륙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풍이 불면 표층수는 전향력이 우측으로 90°방향으로 작용하여 해안에서 먼쪽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저층수는 표층수가 없어진 자리를 메우기 위하여 용승하는 것
    분야 :
    해양정책
  • 냉수대 冷水帶
    주변 수온보다 5℃ 이상 낮은 수온을 나타내는 해역을 냉수대라 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에서 7~8월경 출현함. 이는 저층수가 연안 해역에서 표층으로 올라오는 용승작용으로 형성됨
    분야 :
    해양정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