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재두루미
    두루미과에 속하는 전장 127㎝의 대형 조류.|내용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학명은 Grus vipio PALLAS.이다. 이마에서 눈 주위는 붉으며, 귀깃 부분은 녹갈색, 머리꼭대기, 뒷머리, 뒷목에서 윗등까지는 백색이고, 목의 앞면에서 가슴·배·등은 회흑색이다. 상면은 몸집의 뒤로 갈수록 회색이 짙어지며, 뻗은...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3호, white-naped crane
    두루미목 두루미과에 속하는 대형 섭금.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며, 농경지와 하천, 개활지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벼와 보리, 게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약 1.12~1.25m, 무게는 약 5~5.6kg이다. 포란 기간은 약 28~30일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II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의 등급을 받았다. 가슴,...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두루미목 > 두루미과 > 두루미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농경지, 하천, 개활지, 초습지, 소택지, 갯벌, 하구, 저수지
    먹이 :
    벼, 보리, 게, 새우
    크기 :
    약 1.12m ~ 1.25m
    무게 :
    약 5kg ~ 5.6kg
    학명 :
    Grus vipio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8~30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
  • 재두루미 Grus vipio
    형태 크기: 약 115~125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머리와 목의 뒤쪽은 흰색이며 몸은 잿빛이다. 목의 앞쪽은 회색이며 회색 부분은 위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부리는 황록색을 띠며 눈앞은 붉은색으로 피부가 드러나 있다. 주요 형질: 눈 주변에 붉은색 피부가 들어나 있다. 머리부터 뒷목까지는 흰색이며 ...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두루미목(Gruiformes) > 두루미과(Gruidae)
    학명 :
    Grus vipio Pallas, 1811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철원평야, 임진강 하구, 한강 하구, 파주, 연천 등지에서 월동하며, 일부 개체가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순천만에서 월동한다.
    해외분포 :
    극동아시아에만 분포하며,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지대에서 번식하고,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203호, White-naped Crane
    서식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철원평야, 임진강 하구, 한강 하구, 파주, 연천 등지에서 월동하며 일부가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순천만에서 월동한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하며, 4월...
    분류 :
    두루미과(Gru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3호
    서식지 :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크기 :
    L115~125cm
    학명 :
    Grus vipio White-naped Crane
  • 재두루미 White-naped crane, マナヅル
    Antigone vipio)는 두루미과의 새이다. 몸길이는 약 119cm이다. 몸은 푸른색을 띈 회색이며 이마와 눈 가장자리 그리고 뺨은 피부가 노출되어 붉은색을 띤다. 목은 흰색으로 가슴에서 이어지는 회색이 목 앞으로 뾰족한 모양으로 올라와 있다. 새끼는 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 갈색이다. 부리는 황록색이고 다리는 붉은...
    도서 위키백과
  •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漢江 下流 재두루미 渡來地
    내용 1975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2314만 3564㎡. 이곳에 언제부터 재두루미집단이 도래하였는지는 불확실하나 1973년 가을에 비로소 재두루미집단이 매년 규칙적으로 도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가을(10월 하순∼11월 중순)의 남하 이동시에는 1,500∼2,000마리, 월동기(12∼2월)인 엄동에는 200...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White-naped crane 재두루미, マナヅル
    The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s a bird of the crane family. It is a large bird, 112–125 cm (44–49 in) long, approximately 130 cm (4 ft) tall and weighing about 5.6 kg (12 lbs) with pinkish legs, grey and white striped neck, and a red face patch.The white-naped crane breeds in northeastern...
  •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남한 천연기념물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漢江下流 - 渡來地)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 250호이다.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 문화재청
    도서 위키백과
  • 왜가리 백로와 같이 살지만 백색이 아니라 슬픈 새, Grey Heron
    흰색, 눈 위에서 뒷머리까지는 검은색이며, 2~3개의 댕기가 있다. • 앞 목에는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으며, 어깨 깃도 검은색이다. • 재두루미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재두루미는 몸의 크기가 크고, 댕기가 없으며, 눈 주변의 나출부(속의 것이 겉으로 드러난 부위)가 붉은색으로 왜가리와 구별된다. 제일 높은 곳에...
    분류 :
    황새목>백로과
    서식지 :
    하천, 강, 하구, 논, 습지, 갯벌, 해안
    먹이 :
    어류, 양서류, 곤충류(개구리, 뱀, 들쥐, 물고기 등)
    크기 :
    약 94~97cm
    학명 :
    Ardea cinerea
    수명 :
    약 10~15년
  • 철원 천통리 철새도래지
    남하하는 촉새·검은머리촉새·흰배멧새·꼬까참새 등 멧새류 집단의 전형적인 취식 또는 휴식지가 되기도 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1970년대부터는 두루미·재두루미 등 천연기념물이 규칙적으로 도래하여 월동하고 있으며, 남하했던 재두루미 대집단이 봄에는 이곳을 거쳐 북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980년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조류 시리즈(제1집) 느시
    널리 소개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정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1976년도에는 조류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기로 하였으며, 그 1집으로 재두루미와 너화를 선정하였다. 1. 재두루미 재두루미는 길이 119센티로 몸은 담회색이고 머리와 목은 백색이다. 몸의 회색 부분은 목 옆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져 눈 바로 아래서 끝...
    발행일 :
    1976.2.20
    발행량 :
    4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0원
    디자인 :
    느시
    우표번호 :
    1000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조류 시리즈(제1집) 재두루미
    체신부에서는 우리나라의 희귀하고 아름다운 새들을 널리 소개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정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1976년도에는 조류시리즈 우표를 발행하기로 하였으며, 그 1집으로 재두루미와 너화를 선정하였다. 1. 재두루미 재두루미는 길이 119센티로 몸은 담회색이고 머리와 목은 백색이다. 몸의 회색 부분은 목 ...
    발행일 :
    1976.2.20
    발행량 :
    4000000
    종수 :
    2
    액면가격 :
    20원
    디자인 :
    재두루미
    우표번호 :
    999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4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1건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