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하 張夏
    고려후기 한양부윤, 경상도도관찰출척사, 문하평리 등을 역임한 관리.|개설 본관은 결성(結城). 장용문(張用文)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홍건적이 침입하였을 때 개경을 수복한 공으로 1363년(공민왕 12) 전의주부(典儀注簿)로서 2등공신에 올랐다. 1372년 신돈(辛旽)이 제거된 뒤 이보림(李寶林) 등과 함께 간...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밀직부사, 한양부윤, 경상도도관찰출척사(慶尙道都觀察黜陟使)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윤이(尹彛)·이초(李初)의 옥사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결성(結城)
  • 장하 裝荷, loading
    통신기술에서 안테나의 작동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인덕턴스를 추가하는 것.|같은 목적으로 전송선에도 정기적으로 인덕턴스를 추가한다. 전화선에 코일을 부하시킬 때는 인덕턴스의 간격이 1.6093㎞ 정도로 가깝게 될 때도 있다. 이들은 전기용량의 역할을 상쇄하여 선의 임피던스를 순저항값과 같게 한다. 라디오 ...
  • 장하 loading
    (1) 안테나 용어. 다이폴, 모노폴 등의 기본적인 안테나외 수정이고, 도체 또는 회로소자의 부가로 입력 임피던스 또는 전류분포 또는 그 양쪽을 변경한다. (2) 데이터 전송, 통신시험 용어.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회선에 삽입하는 리액턴스. 주 : 선로 전송에서 일정간격으로 전송선로로 ...
  • 장하 裝荷, loading
    핵연료를 원자로의 소정의 위치에 넣는 것을 말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장하 (고려)
    사실 여부 의심 장하(張夏, 생몰년 미상)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었다. 본관은 결성이다. 1355년(공민왕 4년) 에 과거에 합격하고 홍건적 토벌에 참여하였다. 그 뒤 종2품인 문하평리(고려사)를 거쳐 결성군에 봉군되었고, 정2품인 평장사를 지냈다. 고려 말 혼돈 속에서도 고려왕조를 지키려 애썼으나 결국 뜻을...
    도서 위키백과
  • 장하
    장하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장하(張夏, ?~?) - 고려 말의 문신 좡허시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다롄시의 행정 구역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장하 케이블 裝荷-, loaded cable
    통신 선로에 직렬로 장하 코일을 삽입함으로써 선로의 음성 주파 감쇠를 경감시킨 케이블. 선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연속(평등) 장하 방식과 일정 간격(약 1.83km)마다 코일을 삽입하는 집중(코일) 장하 방식이 있다. 보통 후자의 방법을 발명자의 이름을 따서 푸핀(M. Pupin) 방식...
  • 장하가입사선 裝荷가입사선, loaded loop
    전하루프동작 용어. 케이블 분포용량을 보상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인덕턴스[장하선륜(線輪)]을 삽입한 가입자선. 적절하게 장하선륜을 부가하므로서 음성대역 중심부의 선로 손실이 감소하고 음성 대역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평탄한 주파수 음답이 되지만 교역쪽에서는 급격한 차단이 발생한다.
  • 코일 장하 coil loading
    일반적으로 장하코일이라하는 복수 인덕터가 간격을 두고 직선상에 삽입되는 장하. 주 : 장하코일은 직렬인가 병렬 어느 것으로 삽입된다. 일반적인 해석으로는 코일장하는 장하코일이 한결같은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직렬 장하이다. 〈참조어〉 장하
  • 장하 회선 裝荷回線, loaded circuit
    전송로로서 장하 케이블을 사용하는 회선. 이 회선은 무장하 회선에 비해 km당 선로 손실이 작으므로 비교적 먼 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장하 코일의 유도량과 케이블 선로의 용량이 공진하여 일정한 차단 주파수가 생겨 그 이상의 주파수는 전송할 수 없다. 또 통화 전류 전송 시간이 길어서 먼 거리에는 통화 불능...
  • B형 장하 B형 裝荷, B-Type Loading Method
    현재 표준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장하방식. 차단주파수 4.7KHz, 유효전송대역 0.3~3.4KHz으로 있다. 표준장하 간격은 시내 915m, 시외 1km, 유도량은 시내 100mH, 시외 130~48mH로 구성된다.
  • 장하 케이블 loaded cable
    선로의 감쇠량을 극소의 조건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려는 방법을 장하라 하고, 이와 같이 처리한 케이블을 장하(裝荷) 케이블이라 한다. 〈참조어〉 집중 장하(lumped loading)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장하(loadi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