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신구 裝身具
    몸치장을 하는 데 쓰는 도구.|개설 고고학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유럽에 있어서는 중기구석기시대에 장신구로 몸치레를 하였다. 이 시기의 장신구는 짐승의 뼈·뿔 등으로 만든 간단한 머리꽂이라든가 가슴걸이 등이었는데,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러서는 몸의 각 부분을 치레하는 여러 가지 장신구...
    성격 :
    악세사리
    유형 :
    물품
    용도 :
    장신용
    분야 :
    생활/의생활
  • 장신구 jewelry
    몸치장을 위해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장식적 물건.|수세기를 통하여 여러 문화에서 다양하게 제작되었으며 개인의 치장물이 많고 예술적인 가치와 역사적인 상징을 의미하는 것도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장신구 裝身具
    몸치장을 하는 데 사용되는 제구로 삼국 시대에는 공예 기술의 발달로, 화려한 금·은·금동제의 장신구가 제작되었다. 장신구에는 목걸이·귀고리·비녀·팔찌·반지·댕기·주머니 등이 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장신구 裝身具
    몸을 치장하는 데 쓰는 도구로 부산 지역 출토품이나 소장품.|[개설] 의복이 자연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실제적인 기능을 갖는 데 비해, 장신구(裝身具)는 기본적으로 신체를 아름답게 꾸미는 미적(美的) 추구에 목적이 있다. 한편 인간은 단순히 미적인 욕구 충족뿐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종교적·주술적 ...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장신구 Fashion accessory, 装身具
    다른 뜻 넘어옴 장신구(裝身具) 또는 액세서리는 몸에 치장하기 위한 도구들이다. 또는 자신을 뽐내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보석류가 주재료이며 다이아몬드, 금, 은, 진주, 에메랄드 등이 있다. 이런 재료들로 만든 장신구는 값이 비싸서 과거에는 귀족들만 쓸 수 있었다. 금, 은 같은 희소 금속 뿐만 아니라 철 등의 금...
    도서 위키백과
  • 조선의 복식과 장신구 옷과 꾸밈에 투영된 사대부들의 욕망
    이가 없으니, 날로 사치해진다. - 이익, 『성호사설(星湖僿說)』 실학자 이익(李瀷)이 한탄해 마지않았던 것처럼, 시간이 흐를수록 구슬갓끈은 사치스러운 장신구로 바뀌었고 재료의 희소성과 환금성으로 인해 뇌물로 쓰이는 부작용이 뒤따랐다. 마침내 정조는 “호박갓끈은 당상관이 쓰는 것인데, 요즘 사치 풍조가...
  • 서양의 장신구
    개요 장신구의 역사는 고분 발굴을 통해 끝없이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기록에 의하면, 대부분 신분·계층의 표현이나 주술적인 상징으로 쓰이다가 프랑스 혁명 이후부터 치장과 순수 장식적인 용도로 쓰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디자인, 사회적 지위). 인간이 옷을 만들기 전부터 조개껍질이나...
  • 한국의 장신구
    개요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장신구는 구조와 형식 면에서 한반도 고유의 문화적 기반 위에 시베리아, 중앙 아시아 등지의 북방 아시아적인 요소가 혼합되었다. 삼국시대의 장신구는 중국의 문화와 불교적인 요소가 곁들여졌고 통일신라시대에는 중앙정부 및 사회의 혼란으로 삼국시대와 비교하여 발전하지 못했다. 고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장/미용
  • 세계장신구박물관 인류가 추구한 아름다움의 산물
    장신구는 인류와 함께한 오래된 동반자이자 문명이 꽃피웠던 곳에서는 어김없이 발견되는 유물이다. 우리 조상들은 의식주를 해결하는 일과 비슷하게 여길 정도로 장신구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사냥에서 얻은 짐승의 가죽, 이빨, 뼈 등에 구멍을 뚫어 펜던트로 사용하고는 했다. 그래서 종합박물관의 전시유물에 절대...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5 나길 2
  • 기타지역의 장신구
    아프리카 북부 아프리카는 이슬람의 영향으로 문양이 화려한 장신구들이 은으로 많이 만들어졌다. 에티오피아와 수단에서는 이집트와 아랍의 영향으로 금 장신구가 그들의 족장을 위해서 또는 종교적 이유로 만들어졌다. 가나의 아샨티(Ashanti) 문명에서는 족장의 거주지역에 개인적인 금세공 공방을 둘 정도로 많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장/미용
  •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 英親王 一家 服飾 및 裝身具類
    연원 1922년 4월 순종황제와 종묘에 결혼고유(結婚告由)를 올리는 의식에서 착용한 왕과 왕비의 궁중 예복을 포함하여 다양하고 화려한 장신구와 화장용구, 상자와 보자기 등과 왕자들의 어린시절 복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친왕 이은(李垠), 영친왕비 이방자(李方子), 왕자 이진(李晉)과 이구(李玖)가 착용 혹은...
    시대 :
    근대/대한제국기
    유형 :
    의복
    분야 :
    생활/의생활
  •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 一括
    개설 197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당시의 정치적 영역을 참고해볼 때 대가야의 것으로 이해되는 작품이다. 현재 남아 있는 부속구들의 용도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부장 당시의 원형을 알기 어렵다. 구성 및 형식 금관은 대륜을 비교적 넓은 폭으로 제작한 후 그 위에 4개의 초화문을 세운 형식이다. 대륜의 아래, 위...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30건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장신구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관
금관총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무령왕 금제 뒤꽂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천마총 금제 관식
금령총 출토 목걸이
천마총 목걸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