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균 腸內細菌, intestinal bacteria
    장내에 상존하는 세균류의 총칭. 장내미생물상(intestinal flora)으로 분포하고 있다. 세균의 대부분은 혐기성 세균으로 대변 1g당 약 1,000억 개에 이르고 100종이 넘는다. 세균은 숙주의 연령, 음식물 습관, 질병이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따라 변하고, 소화관의 부위에 따라서도 다르게 분포한다. 음식물의 소...
  • 세균, 적당히 균형을 맞춰야
    이 균형이 깨져 특정 세균이 많아지거나 적어질 때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나 비만, 당뇨병까지 발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시카고대 연구팀은 이런 세균 변화는 정신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대장 세균 균형을 깨뜨렸고, 그 변화를 살펴봤다. 그 결과 쥐는 다른 쥐들과 잘 어울리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건강
  • 세균 腸內細菌, coliform bacteria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생물.|미국에서 수질검사의 지표로 가장 널리 이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람의 배설물로 인한 상수원의 오염도의 징표가 되었다. 통성혐기성균으로 산소가 없어도 되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젖당을 발효시켜 산과 가스를 발생시키는 간균이다. 이러한 세균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세균 腸內細菌, enterobacter
    그람음성의 통성 혐기성 간상(桿狀) 세균. 사람과 동물의 (腸)에 존재한다.
  • 미생물군 (관련어 장내세균) Gut microbiota, 腸内細菌
    미생물군(gut microbiota, probiotics), 소화관, 소화관 미생물 또는 위장 미생물은 곤충을 비롯한 인간 및 다른 동물의 소화관에 사는 복잡한 미생물 군집이다. 내장 소화역학은 소화관 마이크로 비오타(microbiota)의 모든 게놈의 집합체이다. 위장(위와 창자)은 인간의 미생물이 살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서적 ...
    도서 위키백과
  • 자폐는 세균의 이상 증식?
    그는 세균의 내독소를 모체에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로 사용하면서 내독소의 양을 극미량에서부터 조금씩 증가시켰다. 내독소를 아주 조금만 받은 원숭이는 자폐 증상이 있는 새끼를 낳았다. 이 새끼들은 대뇌가 확대돼 있었다. 내독소를 많이 투여하여 급성 염증이 일어난 경우에는 자폐가 아닌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도서 청결의 역습 | 태그 건강
  • 항생제가 듣지 않는 세균이 있다?
    이어 26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환아에게 투여된 지질영양 주사제에서도 같은 균이 발견됐다고 보고하면서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세균이지만 면역 저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이 균은 세균과(科) 시트로박터속(屬)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이다. 시트로박터속 균은 물이나 토양...
  • ADHD는 세균이 원인이다
    유아기에 열 번 이상 중이염에 걸렸던 적이 있다. 항생제는 중이염을 일으킨 세균을 죽이면서 동시에 소화관 내의 건강한 균들까지 죽인다. 유익한 세균의 수가 줄면 소화기능이 제한된다. 특히 흡수되는 핵심 영양소가 줄어든다. 많은 ADHD 아동이 필수영양소 결핍이다. 유익균이 감소하면 장벽 사이에 틈이...
    도서 청결의 역습 | 태그 건강
  • 세균도 오랜 친구다
    세균이 2.5cm 두께로 뒤덮인 곳도 있다. 건조 중량으로 환산했을 때 대변의 50~60%가 순수한 세균이다. 세균이 소화를 돕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세균은 사람이 소화하지 못하는 섬유질을 분해하여 단순당과 지방산으로 만든다. 우리 몸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10% 정도가 이런 방식으로 얻어진다. 식물성...
    도서 청결의 역습 | 태그 건강
  • 자폐를 유발하는 세균이 있다
    유전적 질환은 이런 식으로 급증하지 못하므로 원인은 환경에 있음이 분명하다. 허버트가 뇌에서 몸 전체로 수사 범위를 확대할 때, 일군의 세균학자들은 자폐가 세균의 불균형 때문은 아닐까 의심하고 있었다. 1988년 UCLA의 세균학자 시드니 파인골드(Sydney Finegold) 교수는 시카고에서 소아과 병원을 하는...
    도서 청결의 역습 | 태그 건강
  • 전분 소화 유전자와 세균 사이의 연관성
    알아보기 위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의 유전자 및 대변 시료를 조사했다. 높은 AMI1유전자 복제 수가 특정한 세균과 연관되었다. 그 연구자들은 그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이 2주 동안 표준화된 식사를 한 후에도 이 연관성은 유지되었다고 밝혔다. 의료 전문가들이 환자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세균 생태계의 불균형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아이, 동균이의 세균은 건강한 아이들의 세균과 분명 차이가 있을 것이다. 면역계의 정밀도와 관용은 오랜 세월 인류와 함께 진화해온 환경 미생물의 자극을 받아 발달한다. 면역계의 훈련 조교인 오랜 친구 세균들이다. 우리 몸에서 세균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 대장이므로, 세균...
    도서 청결의 역습 | 태그 건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사람의 장내 세균인 엔테로코쿠스 파에킬리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