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곤줄박이 곤줄매기, Parus varius같으며, 한번 부부의 연을 맺으면 평생을 함께한다. 머리는 크림색을 띤 흰색이며, 넓은 검은색 띠가 이마를 가로질러 눈 위로부터 목 주위까지 지난다. 잡목림에 둥우리를 만들어 번식한다. 한국 텃새이다. 형태 몸 길이는 약 14cm이다. 등쪽은 회색이며, 몇 개의 밤색깃이 가로질러 나 있다. 배쪽은 크림색을 띤 흰색...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박새과
- 원산지 :
- 유럽 (러시아),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 먹이 :
- 땅콩, 쪽동백나무, 거미
- 크기 :
- 약 12cm ~ 14cm
- 무게 :
- 약 15g ~ 20g
- 학명 :
- Parus varius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12~13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맹그로브 망그로브, mangrove숲’이란 뜻을 가진 단어 ‘grove’로 뒷부분을 변형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보통 집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맹그로브라는 말은 이들 식물이 이루는 잡목림과 삼림을 일컫기도 한다. 이 삼림은 다양한 생물종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는데, 2010년대에 들어서 점차 벌목과 서식지의 개발 등으로 인해 환경이 파괴...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원산지 :
- 아시아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 서식지 :
- 열대・아열대의 갯벌, 하구
- 꽃색 :
- 연노란색
- 크기 :
- 높이 9m
-
조림작업원도구를 사용하여 병들거나 약한 나무를 잘라낸다. 산림 내에 산불이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톱, 삽 등을 사용하여 나무를 베거나 화재 분기점에서 잡목림을 제거하고, 불꽃과 타다 남은 찌꺼기를 제거하여 진화한다. 도끼, 곡괭이, 낫을 사용하여 도로변, 화재진압지역, 야영지역 등과 기타 산림 시설물 주위...
- 교육수준 :
- 6년 초과 ~ 9년 이하(중졸 정도)
- 숙련기간 :
- 6개월 초과 ~ 1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외
- 육체활동 :
- 균형감각, 웅크림
- 직무기능(자료) :
- 비교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수동조작
- 고용직업분류 :
- [9031]조림?산림경영인 및 벌목원
- 표준직업분류 :
- [6201]조림·산림경영인 및 벌목원
- 표준산업분류 :
- [A020]임업
- 조사연도 :
- 2022년
-
남아메리카의 식물과 동물있는 가시 많은 식물 및 나무가 특징이다. 특히 상프란시스쿠 강 유역의 식물과 나무에서 이런 특징이 두드러진다. 대표적인 나무는 콩과이며 덤불식물로는 잡목림·파인애플, 그리고 무수하게 많은 선인장 등이 자란다. 선인장 중 시크시크 종이 이 일대를 뒤덮고 있다. 남브라질 수림은 때로는 수목이 밀생하지만...
-
백귀야행연재 이전에 단편으로 발표했던 ‘정진 끝내는 날의 손님’에서 기본적인 세계관과 인물을 가져와 확장시킨 작품이다. 나름 유서 깊은 집안이라 도쿄 근교에 잡목림이 포함된 넓은 부지에 정원 딸린 커다란 목조주택에 거주하는 3대의 이야기인데, ‘정진 끝내는 날의 손님’은 이 집의 주인인 할아버지, 이름 난 환상...
-
정도뱀허물쌍살벌, 호리꽃등에, 꼬마꽃등에, 배짧은꽃등에) 확인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 68종 분포. 특정식물종(4종)과 해안지표종(20종)이 출현 - 잡목림이 우세, 정상부에 혼합활엽수림과 굴피나무군락 분포, 해안가에 순비기나무군락 분포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동쪽의 호도와 600m 정도, 남서쪽 운염도와...
- 면적 :
- 12,893m 2
- 좌표 :
- 37° 32′ 46″ N, 126° 34′ 42″ E
- 해도번호 :
- 311
- 지번 :
- 서구 원창동 산149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인천항 7.1km, 인근 육지인 서구 2.3km
-
소송여도방아깨비, 무당벌레, 호리꽃등에) 확인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 36종 분포. 특정식물종(3종)과 해안지표종(7종)이 출현 - 혼합활엽수림이 폭넓게 분포하고 부분적으로 소나무군락과 잡목림 형성, 해안가에 갈대군락 분포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강화도 남단 갯벌 지대에 위치하여 있으며 대송여도와 인접
- 면적 :
- 13,091m 2
- 좌표 :
- 37° 35′ 33″ N, 126° 32′ 55″ E
- 해도번호 :
- 311
- 지번 :
-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산151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인천항 12.8km, 인근 유인도인 세어도 1.6km
-
대송여도식물 - 관속식물 40종 분포. 국외반출승인대상식물(1종), 특정식물종(2종), 해안지표종(14종)이 출현 - 남쪽과 북쪽 끝에 혼합활엽수림, 중앙으로 길게 아까시나무군락, 주변부에 잡목림 형성. 해안가에는 갯잔디군락과 갈대군락 분포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강화도 남단 갯벌 지대에 위치하여 있으며 소송여도와 인접
- 면적 :
- 79,735m 2
- 좌표 :
- 37° 35′ 59″ N, 126° 32′ 57″ E
- 해도번호 :
- 311
- 지번 :
-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산147-1 외9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인천항 13.6km, 인근 육지인 황산도 1.7km
-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생태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 러시아이고, 주로 아무르와 우수리 동부 등 시베리아 지방에서 남쪽으로 중국 동북지방(만주)에 이르는 동북 아시아에 분포하며 덤불이 산재하는 농지와 소림, 잡목림 등지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북부의 번식집단이 가을부터 남하해오므로 10월 중순 이후에 중부 이남지역에서 흔히 눈에...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되새과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북한), 유럽 (러시아)
- 크기 :
- 약 14cm ~ 16cm
- 무게 :
- 약 14g ~ 22g
- 학명 :
- Emberiza elegans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14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새우난초생육특성 새우난초는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1,300m 이하의 숲 속 잡목림 사이의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들어오며 토양이 비옥한 경사지에서 자란다. 키는 20~50㎝이고, 잎은 길이가 15∼25㎝, 폭 4~6㎝이며 양끝이 좁고 주름이 있으며, 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 학명 :
- Calanthe discolor Lindl.
- 분포지역 :
-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
- 종류 :
- 새우난초류
- 개화기 :
- 4~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