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잠 箴잠(箴)은 자신이나 타인을 경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은 실용적 성격의 한문 문체이다. 본래 군주의 잘못을 경계시켜 깨우치고자 하는 글로 사용되다가, 후에 범위를 확장하여 스스로를 경계하거나 남들을 경계시키는 글까지 모두 포함하게 되었다. 내용 잠(箴)은 본래 바느질을 하거나 병을 치료할 때 사용하는 도구...
- 시대 :
- 고려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기억을 위한 시간, 잠"나는 잠들어 있는가 깨어 있는가. 누구, 내가 누구인지 말해 줄 수 있는 자 있는가 없는가." (셰익스피어, ‘리어왕’) 잠은 왜 잘까? 낮 동안 깨어 활동할 힘을 얻는 쉬는 시간일까?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잠은 단순히 몸을 쉬게 하는 소극적인 휴식이 아니다. 뇌를 일깨우고 다음 날 다시 새로운 기억을 저장할 수...
-
에두아르 뷔야르, 〈잠〉 외에두아르 뷔야르(Édouard Vuillard, 1868~1940)는 에콜 데 보자르에서 전통적인 미술 공부를 했지만 어린 시절부터 함께한 친구인 모리스 드니와 함께 나비파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평범한 일상생활을 화폭으로 옮기곤 했는데, 스스로 이를 두고 앵티미슴(intimisme)이라고 불렀다. 앵티미슴은 ‘친밀한’이라는 뜻을 ...
- 저작자 :
- 에두아르 뷔야르(Édouard Vuillard, 1868~1940)
- 제작시기 :
- 〈잠〉 1891년경 제작〈식사 후〉 1890~1898년 제작〈리넨 옷장〉 1893~1895년경 제작
-
잠 岑봉우리, 산봉우리. 잠령(岑嶺) : 산봉우리. 잠루(岑樓) : 높이 솟은 뾰족한 산. 잠암(岑嵒) : 높고 험한 모양. 제잠(鯷岑) : 옛날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 유형 :
- 산이나 언덕, 고개에 관련된 한자
-
수면 (동의어 잠) 수면에 대한 놀랍고 새로운 발견!우리는 하루 중 상당한 시간을 수면으로 보낸다. 수면 시간은 개인마다, 그리고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만약 하루에 8시간을 잔다면 하루의 1/3, 60세까지 산다면 무려 20년이나 자면서 보내는 꼴이다. 평균 수명이 늘고 있으므로 만약 90세까지 산다면 30년이나 잠을 자는 셈이다. 잠 따위로 20, 30년을 보낸다니 시간...
-
현실을 직시한 사실주의의 혁명, 귀스타브 쿠르베 (관련어 잠) Gustave Courbet19세기 사실주의 화가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묘사할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며 근대 회화의 문을 열었다. 귀스타브 쿠르베는 19세기 프랑스 사실주의 운동의 선구자로, 낭만주의 회화에 반발하여 근대의 일상을 사실주의적 필치로 그려 낸 ‘사실’의 위대한 혁신자로 평가된다. 그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
- 출생 :
- 1819년 06월 10일
- 사망 :
- 1877년 12월 31일
- 국적 :
- 프랑스
- 대표작 :
- 〈오르낭의 매장〉, 〈안녕하세요! 쿠르베 씨〉, 〈잠〉, 〈세상의 기원〉 등
-
잠 (2023년 영화) Sleep (2023 film), 眠 (韩国电影)영화 정보 "잠"은 2023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공포 미스터리 영화이다. 유재선의 장편 데뷔작이며 그가 각본 역시 맡았다. 제76회(2023년) 칸 영화제 비평가주간에서 전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행복한 신혼부부 ‘현수’(이선균 분)와 ‘수진’(정유미 분). 어느 날, 옆에 잠든 남편 ‘현수’가 이상한 말을 중얼거린다...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