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작은북 snare drum
    거트, 나일론, 강철선, 명주에 강철선을 감은 울림줄(snare)을 아랫면에 가로질러 당겨놓은 형태의 군악대 또는 관현악단용 타악기. side drum이라고도 함.|울림줄은 아랫면이 울리면 함께 진동하며(아울러 아랫면의 진동은 북 내부의 공기에 의해 윗면으로 전달됨), 힘차고 파고드는 듯하며 상대적으로 고음의 음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작은북 Snare drum, スネアドラム
    드럼 셋 작은북, 사이드드럼, 또는 스네어드럼(snare drum)은 타악기의 하나이다. 이름처럼 작은 북이다. 큰북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된 몸통의 양면에 가죽막을 씌워서 만들지만, 큰북과 달리 옆으로 눕혀서 연주하기 때문에 상하의 구별이 있고, 두들기는 윗면인 표피(表皮)에는 아랫면인 이피(裏皮)보다 조금 더 ...
    도서 위키백과
  • Snare drum 작은북, スネアドラム
    The snare drum or side drum is a ubiquitous percussion instrument known for its shallow cylindrical shape and powerful, staccato sound. Snare drums are often used in orchestras, concert bands, marching bands, parades, drumlines, drum corps, and more. It is one of the central pieces in a trap set,...
  • 작은북바위
    성북구 종암동에 있던 마을로서, 고려대학교 뒷산에 북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어 북바위라고 했던 마을의 작은 마을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또 북바위처럼 생긴 작은 바위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소종암리・작은해창・작은해창위라고도 하였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타악기 打樂器, percussion instrument
    소리내는 타악기이다. 두 그룹 모두 음높이가 분명한 악기와 불분명한 악기의 2가지로 나뉜다. 팀파니·벨·실로폰은 분명한 음높이를 낼 수 있으며, 작은북·트라이앵글·딱딱이·딸랑이(rattle)·심벌즈는 음높이가 불분명하다. 음높이를 지닌 것은 선율에 사용되지만 본질적으로 두 유형 모두 주로 리듬을 내기 위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관현악을 위한 영상(제3집) 클로드 드뷔시, Images pour orchestre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 호른, 세 대의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세 대의 파곳, 콘트라파곳, 네 대의 호른, 네 대의 트럼펫, 세 대의 트롬본, 팀파니, 작은북, 심벌즈, 실로폰, 첼레스타, 두 대의 하프, 그리고 현5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입부분의 조성은 모호하며, 오보에 다모레는 선법적인 선율을 연주하는데...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09~1912년(제1곡), 1905~1908년(제2곡), 1905~1909년(제3곡)
    작곡가 :
    클로드 드뷔시(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초연 :
    1913년 1월 26일(제1곡), 1910년 2월 20일(제2곡), 1910년 3월 2일(제3곡)
    출판 :
    1913년(제1곡), 1910(제2, 3곡)
    헌정 :
    엠마 드뷔시
    구성 :
    3곡으로 된 관현악 작품
    편성 :
    제1곡 지그 - 오케스트라(플루트 2, 피콜로 2, 오보에 2,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4, 트롬본 3, 심벌즈, 스네어드럼, 자일로폰,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제2곡 이베리아 - 오케스트라(플루트 3, 피콜로, 오보에 2,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탬버린, 캐스터네츠, 스네어드럼, 심벌즈, 하프 2, 현5부) 제3곡 본의 론도 - 오케스트라(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4, 팀파니, 탬버린, 트라이앵글, 심벌즈,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 막울림악기의 역사
    울림판으로 사용하며 몸체는 커다란 청동 냄비 모양으로 되어 있는 케틀드럼이 발전했는데 군대와 의식 음악에서 트럼펫과 함께 사용되었다. 테이버는 작은북(side drum : 연주자의 옆에 달아 연주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으로 발전하여 군대에서 사용되었다. 테너 드럼은 울림줄이 없으며 커다랗고 깊은 작은북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내용 타원형의 작은북 하나를 긴 나무자루에 꿰뚫어 단 것으로, 나무로 된 북통에 고리를 두개 박고 그 고리에 가죽끈을 달았다. 이 나무자루를 땅에 세우고 왼쪽 오른쪽으로 나무자루 자체를 돌리면 북통 고리에 달린 가죽끈이 북면을 때려 소리가 난다. 작은북이 두개 달린 것을 노도(路鼗), 세 개 달린 것을 뇌도...
    시대 :
    고려
    성격 :
    악기
    유형 :
    물품
    관련 의례 :
    가례(嘉禮)
    분야 :
    예술·체육/국악
  • drum
    있었으며, 딸랑이나 울림줄(snare : 쇠줄이나 소가죽 등으로 만들며, 가죽면에 이것을 부착하면 가죽면과 함께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데, 틀북의 한 종류인 작은북에는 아래 가죽면에만 울림줄이 있음)을 부착했다. 다른 곳에서 유래된 또다른 틀북은 중앙 아시아, 북극해 지역, 북아메리카 주술사들의 주술적·종교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오케스트라의 악기 구성
    목관악기군에는 피콜로·플루트·오보에·클라리넷·파곳 등이 포함된다. 금관악기군에는 트럼펫·호른·트롬본·튜바가 들어가며 타악기군에는 팀파니·큰북·작은북·심벌즈·트라이앵글 등이 포함된다. 편성할 때 목관악기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2관 편성, 3관 편성, 4관 편성이라 부른다. 관악기 수의 증감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음악 , 음악
  • 타악기의 종류
    타악기는 크게 음정이 있는 팀파니·실로폰·벨 등과 음정이 없는 큰북·작은북·심벌즈·트라이앵글·탬버린·캐스터네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는 몸 자체가 울리는 몸울림 악기와 막이 울려 소리를 내는 막울림 악기로 나누기도 한다. 타악기는 재료와 모양도 다양하지만 소리를 내는 방법도 다채롭다. 몸울림 악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파리의 사육제 요한 슈트라우스 1세, Der Carneval in Paris Op.100
    다시 잔잔한 셈여림에서 서서히 곡이 전개된다. 이 덕분에 도입부는 신나면서도 은근히 긴장감을 주는 효과가 나타난다. 동시에 사이사이에 갑자기 심벌즈나 작은북 같은 강한 타악기의 사운드가 등장하면서 축제의 느낌을 유지해주고 있다. 또한 이 곡에서 관악기는 선율을 신나면서도 부드럽게 표현하는 반면, 타악기...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관현악 소품
    제작시기 :
    1838년
    작곡가 :
    요한 슈트라우스 1세(Johann Baptist Strauss Ⅰ, 1804~1849)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작은북(snare dru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