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작농운동 Homestead Movement
    미국 역사에서, 공유지에 정착해 경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토지를 무상소유할 수 있도록 하게 한 운동. 자영농운동이라고도 함.|1862년 자작농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올렸다. 공화국의 탄생초부터 연방정부 내의 세입을 올리기 위해 공유지를 팔아야 한다는 것이 연방정부의 지배적 견해였다. 이러한 정부의 입장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농민운동 農民運動
    전환하게 되었다. 일제의 패망기에 농촌에 있었던 비밀단체나 개별항쟁은 거의 그러한 성격의 것이다. [5. 협동조합운동] 협동조합운동자작농이나 자소작농에 의하여서 전개된 농민운동이었다. 소작농처럼 경제력이 전혀 없는 농민은 참가할 수 없는 운동이었다. 하지만 자작농이라 해도 경제력이 빈약하였기 때문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독립운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체포하여 고문하고 투옥하는 만행을 자행하였다. 토지조사 사업과 토지약탈 일제는 한국을 식민지로 강점하자 토지약탈과 식민지착취를 목적으로 1910∼1918년간에 걸쳐 이른바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일제는 토지소유권을 재조사하고 토지가격과 지형을 조사한다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농민조합운동 農民組合運動
    들어서면서 전체 농민을 포괄하는 농민조합으로 체제를 개편하였다. 이는 농민운동의 성격이 단순한 소작조건의 개선이라는 경제투쟁으로부터 전체 농민의 권익...중농도 결국 소작농으로 영락(零落)하는 현실 속에서, 소작농과 자작농이 전체 농민을 억압, 착취하는 일제와의 싸움에서 연대투쟁을 하게 된 것이다. 연원...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정평농민조합운동 定平農民組合運動
    그리고 농업공황으로 인한 쌀값 폭락과 수리조합비의 현금압박 등으로 영세 자작농들은 몰락하고, 대지주의 토지겸병은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한병락(韓炳洛...2월 정평농민동맹이 잇달아 창립되었다. 특히 농민동맹은 강령·정책·운동방침 등을 정한 데 이어, 소비조합 촉성, 사유림 채벌 금지 반대, 축산조합 증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개신교 기독교, 改新敎
    기독교운동을 전개하면서 부흥사 김익두(金益斗)의 부흥회에 난입하여 구타와 파괴로 교회를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반기독교적 만행은 함양 · 이리 · 간도 등지에서 잇달아 일어났다. 처음에는 사회주의와 기독교 사회복음 사이의 공통점을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고, 기독교가 민중의 종교임을 강조하는 흐름도...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총독부의 농촌진흥운동 시작
    7월, 우가키 가즈시게 총독이 농촌진흥운동을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총독부는 '자력갱생'과 '지주와 소작인의 협조'를 강조하며, 급감한 자작농을 늘리고 소작농의 권리를 보호하겠다고 선포한다. 당시 한국의 농촌 경제는 식민지 농업 정책이 농민을 괴롭힌 것에 더해 세계 대공황이 터지면서 무너지기 직전이었다. 이...
    시대 :
    1932년 7월
    참고 :
    관제 농민운동이던 농촌진흥운동은 1940년까지 계속된다.
    국가/대륙 :
    한국
  • 농민공생조합 農民共生組合
    공생조합의 밤공판장 운영 등이 있었다. 의의와 평가 이와 같은 농민공생조합운동은 농민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데에도 일익을 담당하였지만, 일제의 식민지 수탈에 대항한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리고 농민운동에 있어 소작 쟁의와 같은 소작 농민의 운동과 구별되는 자작농 운동의 성격이 짙은 것이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설립 :
    1931년 4월 8일
    성격 :
    사회단체, 경제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6년 4월
    분야 :
    역사/근대사
  • 조선농민사 朝鮮農民社
    운동이었다. 1927년 8월 15일 중앙이사회에서 지방에서 농민운동의 통일을 위해 각 군에 사우회연합회를 설치했다. 1928년 2월 본격적인 농민운동단체로 개편하기로 하고, 자작농·자소작농·소작농·농업노동자 등을 조직의 기초로 하며 리·면·군·전국의 4중 형태로 농민사를 만들어 민주적 중앙집권제로 운영할 것...
  • 협동조합운동사 協同組合運動社
    해체되고 만다. 이 단체는 농민의 궁박한 생활을 극복하고, 농촌의 불황을 타개하려는 농민들의 권익운동일 뿐 아니라, 일제의 식민지 수탈에 대항하는 점에서 항일농민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소작쟁의로 나타난 소작농민운동과는 달리 어느 정도의 경제 기반을 가지고 있는 자작농의 농민운동이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6년 6월
    성격 :
    협동조합, 유학생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33년경
    설립자 :
    전진한(錢鎭漢)
    분야 :
    역사/근대사
  • 소작쟁의 小作爭議
    있었으나 이름만으로는 그 실체를 알 수 없다. 1926년부터 소작인조합은 농민조합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것은 일제가 농민지배를 강화함에 따라 자작농까지 소작농민운동에 가담함으로써 농민 일반의 대중적 조직이 발전한 형태이다. 그리고 이를 지도, 후원하기 위하여 1927년 9월 조선농민총동맹이 조선노농총동맹...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부재지주 不在地主
    재편·적응하려고 했다. 일제 말기에 이르면 일제 통치당국은 지주의 토지겸병 증가와 농민층 몰락에 따른 농민들의 소작쟁의·민족해방운동으로의 발전을 두려워하여, 자작농창설유지정책(1932)과 조선농지령(1934) 등의 정책을 시행하여 소작권의 법적 보호, 마름의 중간착취 배제, 지주의 지세 및 공조공과 부담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