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산이끼 leafy liverwort
    이끼들은 빛이 부족해 죽게 된다. 우산이끼류는 암수 생식기가 따로 달리는 암수딴그루이거나 함께 달리는 암수한그루이다. 생식기는 처럼 생긴 식물체의 윗면에 생기는데 장란기(藏卵器)는 끝쪽에, 장정기(藏精器)는 아랫부분에 만들어진다. 우산이끼 종류 중 가장 큰 속(屬)인 세줄이끼속(Porella)의 몇몇 종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 우산이끼 umbrella liverwort
    식물은 선류와 태류로 나뉘는데, 본 분류군은 이 없고 엽상체만 있는 태류이다. 암수 딴그루이며 암생식기탁과 수생식기탁이 엽상체 위로 우산 모양으로 발달하여 우산이끼라고 불린다. 영어 이름도 umbrella liverwort라고 불린다. 본 분류군에서 추출된 화합물이 유방암 세포의 자가소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분류 :
    선태식물문 > 태강 > 우산이끼목 > 우산이끼과 > 우산이끼속
    서식지 :
    시냇가, 습지, 인가 부근의 빈 터
    학명 :
    Marchantia polymorpha 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전 세계
  • 태류 苔類, liverwort
    것들은 을 가지며 바위나 축축한 나무의 줄기에서 발견된다. 이 식물들은 외관상 얇게 찢어진 간(liver)을 닮아 liver라는 단어에 '식물'을 뜻하는 wort가...무성세대가 모두 존재한다. 다른 생식방법으로는 무성아라고 하는 분화된 무성생식구조나 엽상체 줄기가 분리되어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진다. 이끼류와 달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 우산이끼류의 과 목록
    있다. 강 목 No. 과 하플로미트리움강 하플로미트리움목 1 하플로미트리움과 (Haplomitriaceae) 트레우비아목 2 트레우비아과 (Treubiaceae) 우산이끼강 엷은우산대이끼목 3 엷은우산대이끼과 (Blasiaceae) 네오호지소니아목 4 네오호지소니아과 (Neohodgsoniaceae) 스파이로카르포스목 5 리엘라과 (Riellaceae) 6...
    도서 위키백과
  • 우산이끼 Marchantia, 地钱属
    생물 분류 우산이끼(雨傘--)는 우산이끼과 우산이끼이끼의 총칭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전국 각지를 비롯하여,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가 부근의 그늘지고 축축한 토양에 군생한다. 배우체는 모양(엽상체)이고, 두 갈래로 갈라져 마치 땅 위를 기어가는 것 같이 자라난다. 엽상체는 폭이 1-2cm이며, 등...
    도서 위키백과
  • 우산이끼 Marchantiophyta, 苔類
    망울이끼목(Jungermanniales) 플레우로지아목(Pleuroziales) 리본이끼목(Metzgeriales) 물우산대이끼목(Pelliales) 거미집이끼목(Pallaviciniales) 비늘우산대이끼목(Fossombroniales) 우산이끼강(Marchantiopsida) 엷은우산대이끼목(Blasiales) 우산이끼목(Marchantiales) 스파이로카르포스목(Sphaerocarpales...
    도서 위키백과
  • 우산이끼 Marchantiopsida, ゼニゴケ綱
    우산이끼문에 속하는 3개의 우산이끼류 강 중의 하나이다. 약 400여 종을 포함하고 있다. 엷은우산대이끼아강 (Blasiidae) 엷은우산대이끼목 (Blasiales) 우산이끼아강 (Marchantiidae) 초승달우산이끼목 (Lunulariales) 우산이끼목 (Marchantiales) 네오호지소니아목 (Neohodgsoniales) 스파이로카르포스목...
    도서 위키백과
  • 이끼 horned liverwort
    못처럼 생겼고, 키는 2~5㎝ 정도이며 오래 산다. 배우체인 엽상체는 납작하고 처럼 생겼으며, 중륵이 없고 영양번식하는 무성아도 생기지 않는다. 생식기관은...있는 기실공에는 남조류의 일종인 염주말속 식물들이 군체로 자라는데, 우산이끼류에는 이와 같은 구멍이 없다. 포자체의 아래쪽에 연속생장대가 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선태식물
  • 이끼 매태(莓苔)
    중간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음습한 환경에서 사는 하등 소형 식물로서 대체로 과 줄기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다. 선류에는 참이끼·물이끼 등이, 태류에는 뿔이끼·우산이끼·비늘이끼 등이 포함된다. 선태 식물의 번식법에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웅의 생식 기관과 유성 생식을 하여 포자를 형성하며 번식하는...
    분류 :
    선태 식물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고목, 습지, 바위, 담장
    번식 :
    유성 생식, 영양 생식
    약효 부위 :
    온포기
    키 :
    1∼10cm
    채취기간 :
    여름(무성할 때)
    취급요령 :
    깨끗이 씻어 말려 쓴다.
    특징 :
    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2∼4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잔디밭 잡초 주요 잡초의 생리 ・ 생태 및 방제
    및 가을철에 이르기까지 방제할 수 있는 시기와 처리방법이 다양하다. 이끼류 (1) 생리 ・ 생태 이끼류는 엽상식물로서, 주로 음지나 습지에서 서식하는 우산이끼, 솔이끼 등을 말한다. 양치식물이나 종자식물과는 달리 관다발 조직이 없고, , 줄기 뿌리도 없다. 조건이 알맞아 발생하기 시작하면 번식과 확산이...
    도서 잡초방제기술 | 태그 산업
  • 손꼴가시이끼속 Ptilidium, 毛叶苔属
    생물 분류 손꼴가시이끼속 또는 털이끼속(Ptilidium)은 손꼴가시이끼목에 속하는 우산이끼류 속의 하나이다.웹 인용 손꼴가시이끼과(Ptilidiaceae)의 유일속으로 3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Ptilidium californicum Ptilidium ciliare Ptilidium pulcherrimum 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망울이끼 Jungermanniales, ウロコゴケ目
    하나이다. 우산이끼류 중에서 가장 큰 분류군이다. col-2 털은행잎이끼과 (Acrobolbaceae) 아델란투스과 (Adelanthaceae) 아나스트로필룸과 (Anastrophyllaceae) 백록담이끼과 (Antheliaceae) 아르넬리아과 (Arnelliaceae) 발란티옵시스과 (Balantiopsidaceae) 블렙파리도필룸과 (Blepharidophyllaceae...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