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잉겐호우스 Jan Ingenhousz
    네덜란드 태생 영국의 의사·과학자.|녹색식물이 햇빛을 받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과정을 발견했다. 1765~68년 의사로 런던에 있는 동안 에드워드 제너의 천연두 백신법에 대한 초기 지지자의 한 사람이었고, 1772~79년 빈에서 궁정의로 있는 동안에는 오스트리아의 여제인 마리아 테레지아...
    출생 :
    1730. 12. 8, 네덜란드 브레다
    사망 :
    1799. 9. 7, 영국 윌트셔 보우드
    국적 :
    네덜란드/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얀 잉엔하우스 Jan Ingenhousz, ヤン・インゲンホウス
    생물학자, 화학자이다. 그는 빛의 존재가 식물의 호흡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고, 이는 광합성을 발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그는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의 주치의이기도 하였다. 잉엔하우스는 1730년 12월 8일 네덜란드 남부의 도시인 브레다에서 태어났다. 1765년부터 1768년...
    도서 위키백과
  • 광합성의 발견
    식물이 있을 경우, 식물에서 어떤 물질(후에 산소로 밝혀짐)이 나와 공기가 제한되어 있는데도 초가 계속 탄다는 것을 발견했다. 1779년 네덜란드의 얀 잉겐호우스는 프리스틀리의 생각을 발전시켜, 가연성의 물질(산소)이 나오려면 식물이 빛을 받아야 하며 이때 식물의 녹색조직이 필요함을 밝혔다. 1782년 산소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소쉬르 Nicolas-Théodore de Saussure
    소쉬르는 지질학자 H. B. 드 소쉬르의 아들로 아버지의 실험과 탐험을 도왔다. 소쉬르의 업적은 J. 프리스틀리, 그의 스승이었던 J. 제네비어, J. 잉겐호우스의 업적들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졌다. 그는 〈화학 연보 Annales de chimie〉(1797)에서 탄산과 식물 조직에서의 탄산 형성에 관한 3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출생 :
    1767. 10. 14, 제네바
    사망 :
    1845. 4. 18, 제네바
    국적 :
    스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식물학의 유래와 분류
    M. 말피기는 1671년에 식물해부학을 개척했다. 실험식물생리학은 식물의 수분 증산을 1727년에 설명한 S. 헤일스부터 시작했으며 그후 J. 프리스틀리, J. 잉겐호우스 등이 광합성의 기초적인 반응을 실험을 통해 밝혔다. 식물분류학의 확고한 기초를 설립한 C. 린네는 1753년 발표한 〈식물의 종 Species Plantarum〉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