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입소스 전투 Battle of Ipsos
    프리지아의 입소스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두 '후계자들'(디오도코이) 사이에 벌어진 전투(BC 301).|전투는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그의 제국이 와해되는 과정을 촉진시킨 권력투쟁의 일환이었다. 302년에 트라키아(트라케) 왕 리시마코스와 바빌론의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이프소스 전투 (관련어 입소스전투) Battle of Ipsus, イプソスの戦い
    전쟁 정보 이프소스 전투(Battle of Ipsus)는 기원전 301년에 프리기아 지방 이프소스(현재의 튀르키예 아피온카라히사르주 차이르바)에서 일어난 대규모 작전이다. 이 전투는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최대의 회전이 되었다. 최고의 권력자였던 안티고노스 1세가 전투에 패해 전사함으로써 알렉산더 대왕이 이룩한 제국을 ...
    도서 위키백과
  • 프톨레마이오스 1세 Ptolemaeos I Soter
    프톨레마이오스는 코엘레시리아(팔레스타인)뿐만 아니라 팜필리아와 리키아, 소아시아 남부의 피시디아 일부까지 점령했던 것으로 보인다(→ 색인:입소스 전투, 시리아 전쟁). 프톨레마이오스는 BC 308~306년 군사적 패배를 당해 타격을 입었고 따라서 재위 말기 15년간은 전쟁보다 동맹과 정략 결혼으로 자신의 제국을...
    출생 :
    BC 367/366(또는 BC 364), 마케도니아
    사망 :
    283/282, 이집트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디미트리오스 1세 Dimitrios I Poliorcetes
    로도스 포위 공격(BC 305)은 실패했지만 이 작전 때문에 그는 폴리오르케테스(포위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리스에 있는 아버지의 부름을 받고 입소스 전투에 참가했는데, 아버지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고 제국의 대부분을 잃었다(BC 301). 디미트리오스는 그리스에 거점을 두고 BC 294년에 아테네를 다시 점령해 스스로...
    출생 :
    BC 336, 마케도니아
    사망 :
    283, 실리시아
    국적 :
    마케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리시마코스 Lysimachos
    계승자인 아시아 왕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에 대항하는 동맹에서 주력부대를 맡아 계승자들 가운데 최고 세력으로 떠올랐고 결국 이듬해(BC 301)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를 전사시켰다. 유럽에만 영토가 있던 그는 이 승리로 소아시아의 대부분을 얻었으며 안티고노스의 아들 디미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
    출생 :
    BC 355경
    사망 :
    281
    국적 :
    마케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 Demetrius I Poliorcetes, デメトリオス..
    견제를 받았는데, 셀레우코스와 카산드로스, 뤼시마코스는 데메트리오스와 부왕을 멸망시키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301년에 프뤼기아의 입소스에서 두 군대가 전투를 벌였다. 안티고노스는 전사하였으며, 데메트리오스는 심한 손실을 입고 에페소스로 후퇴하였다. 전황이 뒤집히면서 그의 여러 적들이 들끓었는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