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대주택 賃貸住宅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 사업자가 건축하여 일정한 임대료를 받고 거주자에게 빌려주는 주택. 개설 주택에 대한 소유 의식이 강한 우리나라에서는 주택의 건설 · 공급이 분양 위주로 이루어져 임대주택의 건설은 뒤늦게 활성화되었다. 최근에 와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의 상승한 데다 임대기간의 장기...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주생활
-
주택을 임대하고 월세를 받으면 소득세를 내야 한다 주택임대 관련..주택임대업은 주택의 대여를 사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주택임대의 경우 임대사업자가 임차인으로부터 월세를 받는 경우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며 보증금만을 받는 경우에는 과세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주택임대사업자에 대한 과세는 다음과 같다. 1개의 주택을 소유하는 사람이 해당 주택(부수토지 포함)을 임대...
-
-
-
-
임대아파트 賃貸아파트임대주택 임대주택은 공급 주체에 따라 공공과 민간으로, 공급 방식에 따라 건설과 매입으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공공 임대주택 공공 주택 사업자가 임대 또는 임대 후 분양 전환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주택으로, 공공건설 임대주택, 공공매입 임대주택,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이익공유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사회/가족
-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長期公共賃貸住宅入住..등 전문 11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09년 3월 25일 법률 제9542호로 제정된 이후 일부 내용이 개정되었다. 이 법에서 사용하는 '장기공공임대주택'이란 30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 받아 건설 또는 매입한 임대주택, 또는 50년 이상 임대할 목적으로 국가...
-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다양한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다 주택임..받게 되는 것일까? 우선 주택임대사업자로 세금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관할 시·군·구청에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후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한다. 거주하는 주택의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임대사업자가 임대용 주택 이외에 자신이 거주하는 1주택만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해당...
-
상가 겸용 주택을 임대하면서도 부가가치세를 내지 않을 수 있다 ..이 건물의 용도가 지하 1층 및 지상 3층 건물(470㎡)이며, 주택 310㎡, 점포 140㎡ 및 주차장 20㎡으로 기재되어 있다. 과세관청은 위 건물의 임대상황을 조사하여 공적장부상 주택으로 등재된 부분을 실제로는 근린생활시설(상가)로 임대한 사실을 확인했다. 즉 건물의 임대를 부가가치세 과세용역의 제공으로 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