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범 살바신야제바, 大梵삼국시대 신라에서 당나라와 인도로 건너가 유학하며 불법을 공부한 승려. 내용 당나라 및 인도로 유학한 구법승(求法僧)이다. 인도 이름은 살바신야제바(薩婆愼若提婆)이며, 당나라에서는 일체지(一切智)라 불리었다. 어려서부터 생강이나 파 등 맵거나 냄새나는 음식을 먹지 않았으며, 남과의 다툼을 싫어하였다. 일...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불교 용어 목록 (이) (관련어 일체지)TOCright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다. 2경안(二輕安)은 신경안(身輕安)과 심경안(心輕安)을 말한다. 경안(輕安)의 마음작용을 그것이 상응하는 식(識)의 유형, 즉 전5식과 제6의식에 따라 2가지로 나눈 것이다.sfnsfn 이계(離繫)는 모든 유루법(有漏法)의 계박(繫縛)을 떠난다는 뜻으로,sfn 이계(離繫)...도서 위키백과
-
다원일체의 정치제도중국은 하나의 통일된 다민족 대국으로서, 세계 기타 문명 고국과 마찬가지로 몇천 년 이래 여러 차례 고난의 역사를 겪었다. 국내 동란, 자연재해, 민족 분쟁, 특히 근대 이후 각 제국주의 열강들의 박해와 획분으로 인해 중국은 100여 년 동안 피비린내 나는 투쟁의 역사를 지속해왔다. 하지만 중국은 변함없이 그...
-
-
-
엘 그레코, 〈삼위일체〉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는 그리스 크레타 섬의 칸디아에서 태어나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의 수도였던 톨레도로 이주했다. 엘 그레코는 ‘그리스 사람’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별명으로, 본명은 도메니코스 테오토코폴로스(Domenikos Theotokopoulos)이다. 그의 스페인 행은 펠리페 2세가 마드리드 인근에...
- 저작자 :
-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
- 제작시기 :
- 1577~1579년
-
절대적 일체상태에서 본 세계 자아와 세계의 구분이 사라진 뒤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절대적 일체상태의 신경회로를 자세히 보면 의문이 하나 생깁니다. 절대적 일체상태는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뇌과학, 발생생물학, 유전학, 고고학, 종교학, 신화학 지식을 바탕으로 네안데르탈인 시대로 거슬러 가야 합니다.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공존했던 시대...
-
삼신일체사상 三神一體思想내용 ≪삼국유사≫ 고조선조에는 한인(桓因)·한웅(桓雄)·단군왕검(檀君王儉)의 삼신이 부·자·손관계로 나타나는 데 비해서 대종교에서는 삼신의 관계를 ‘세검 한몸[(三神一體)]’으로 본다. ≪삼일신고 三一神誥≫와 ≪신사기 神事記≫·≪신리대전 神理大全≫ 등의 경전에 따르면 시공성(時空性)을 초월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대종교
-
일체경음의 권92 一切經音義 卷九十二개설 『일체경음의』는 일종의 대장경 사전이다. 그 중 이 책은 1247년(고종 34) 이후의 후쇄본으로, 2012년 4월 6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구인사에 보관해오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혜림(慧琳, 737~820)이 807년(원화 2)에 편찬한 100권 가운데에 권92에 해당한다. 서문과...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일여래 마하비로자나여래, 大日如來에서는 최고현광명안장여래(最高顯廣明眼藏如來), 『이취경(理趣經)』에서는 무량무변구경여래(無量無邊究竟如來)라 하며, 이외에 광박신여래(廣博身如來)·일체법자재모니(一切法自在牟尼)·광명변조(光明遍照)·대일변조(大日遍照)·변일체처(遍一切處)·변조존(遍照尊) 등으로도 불린다. 마하비로자나를 대일이라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법 法그러므로 법을 어떤 쓰여진 교설(敎說)만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은 법의 의미의 일부분밖에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 일체가 하나하나 다 법이라고 불려질 수 있다. 그럴 경우 법은 하나의 대상 · 사물 · 실제 또는 개념 등의 뜻으로 해석된다. 정신적인 것이건 물질적인 것이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역사적 사건과 함께 보는 서양 미술사생생하게 표현했다. 성스러움을 강조하고자 그림 배경에 천편일률적으로 금색을 칠했던 기존 화가들과 달리 조토는 그림에 파란 하늘을 그렸다. 〈성삼위일체〉 : 원근법 도입 르네상스시대에는 멀리 있는 것은 작게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은 크게 보이는 원근법이 회화에 도입돼, 입체적인 느낌을 표현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