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동서양 초상 미술의 역사 (관련어 일본미술) 초상화에서 사회적 통제까지동양 미술, 개인에서 가족으로 아시아 미술에서는 오래 전부터 초상화가 존재했다. 가장 오래되지는 않았을지 몰라도, 그 명맥이 지속된 기간은 이마 가장 길 것이다. 왜 우리는 초상화를 남기는가? 중국 미술 중국은 초상화 전통이 탄생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풍경화 같은 양식에 비해 초상화를 중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
에도 시대의 일본미술만들어낸 것, 중국식 두루마리 그림에서 에마키 그림들이 나온 것이 그러하다. 특히 흑백 목판화에서 우키요에라는 다색판화를 발전시킨 것은 탁월하며 일본미술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우키요에에 보이는 인물 중시, 디자인적 구성, 색채감각, 평면성 등이 일본미술의 특성을 집약적으로 잘 말해 주고 있다...
-
헤이안 시대의 일본미술때로 우아함과 사치스러움이 추구되던 시대였다. 대외적으로는 쇄국정책을 택해 그동안 긴밀하게 유지되어왔던 대륙과의 문화교류가 단절됨으로써 일본 고유의 미술문화가 형성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여전히 불교 중심의 문화가 융성했는데 특기할 사항은 804년에 입당했던 구카이[空海]와 사이초[最登]가 밀교와...
-
무로마치 시대의 일본미술확산으로 미술에서도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나 중국의 선종화와 같은 송·원대의 수묵화 화풍이 크게 성행했으며 선사들이 직접 그림을 많이 그렸다. 또 중국식 물건들로 가득찬 쇼인즈쿠리[書院造]라고 하는 서재 형식의 건물이 등장했으며 참선에 도움이 되는 정원·다도·꽃꽂이 등이 발달했다. 건축부문에서는...
-
아스카 시대의 일본미술전래된 6세기 중엽부터 다이카 개신[大化改新]이 행해지기 이전인 7세기 중엽까지로 잡고 있다. 이 시기에는 불교 전래에 따른 불교문화·불교미술이 발달했다. 일본 고유의 신도문화와 대체되어 불교문화가 자리잡게 된 것이다. 이는 한반도 귀화인계인 소가 씨[蘇我氏] 집안과 다른 일본계와의 치열한 정치적 투쟁 속...
-
가마쿠라 시대의 일본미술頂相]나 수묵산수화를 들 수 있다. 라이고즈에서는 운동감을 더 살린 것이 등장하고, 스이자쿠가는 밀교의 만다라를 신도에서 모방한 것으로 모두 일본적인 새로운 미술이다. 신사(神社)나, 신이 깃든 명승지, 신의 전령인 사슴, 또는 슈겐도[修驗道] 등을 많이 묘사했으며 실경을 그린 것은 진경도(眞景圖)의 이른 예들...
-
나라 시대의 일본미술일본에서 나라에 수도가 있었던 710~784년을 일반적으로 나라 시대[奈良時代]라고 부른다. 수도가 나라로 옮겨진 710년을 기점으로 하여 그 연호를 따서 670...7~8세기 동양 전체가 그러하듯이 중국의 문물과 제도의 영향이 커 미술에서도 당풍이라고 하는 큰 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던 때였다. 이 시기에는 중앙집권...
-
모모야마 시대의 일본미술이 시대 미술의 핵심은 역시 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가노파 화가들이 주로 그리는 장벽화·풍속화·화조화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밖에도 남만미술이라 하여 일본에 찾아온 서양인들을 묘사한 그림들이 있다. 기법상으로는 진한 채색이나 금박을 많이 쓰는 것이 특징인데 이와 같은 것은 중국이나 한국에서 찾아보기...
-
고분 시대의 일본미술해당하는데 철기 사용, 신라나 가야 토기와 유사한 스에키[須惠器]의 출현, 그리고 많은 금제 장신구 등은 한국의 영향을 시사해준다. 한반도에서 기마민족이 일본열도에 건너가 세력화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의 미술은 건축을 예로 들면 소위 전방후원분이 특이한데 한국에 조형이 있다고는 하나 규모에서 차이가...
-
조몬 시대의 일본미술보였다. 그러나 중기에는 화염문 토기라 하여 조형성이 매우 뛰어난 이색적인 토기가 등장했다. 이후 후기와 만기를 거치면서 장식적·조각적 성격이 약해지면서 순수 기형에 충실하게 되었다. 토우에서도 헬멧과 선글라스를 쓴 듯한 차광기 토우가 나타나 일본미술의 시작이 중국이나 한국과 차이가 많다는 것을 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