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러시아 사회주의의 등장숙련공과 농민에게 지지를 받으면서 푸르동의 계승자로 출현했던 바쿠닌이 러시아에서는 거의 소외된 지식인으로 이루어진 엘리트적·테러리스트적 운동이 일어나도록 도왔다는 사실은 역사의 아이러니로 꼽힌다. 인민주의의 광범한 흐름 속에서 테러리즘은 대중의 교육과 평화적 선전을 믿었던 진보적 사회주의의 반대...
-
포퓰리즘 대중주의, populism피플(people)을 뜻하는 라틴어 포풀루스(populus)에서 유래된 말로, 19세기 말 러시아 사회를 풍미했던 나로드니키(narodniki)의 계몽운동과 1890년대 미국 농촌 사회에서의 농민 운동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포퓰리즘은 주로 라틴아메리카 연구에서 발달한 개념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포퓰리즘은...
-
소비에트 결성의 주체 세력지식인들은 농민에 대한 믿음을 신앙처럼 간직했다. 러시아 민족주의가 기초가 된 이런 맹목적인 믿음은 미르(농촌 공동체)에 걸었던 희망과 함께 인민주의 운동(나로드니크)의 사상적 뿌리가 되었다. 지식인들은 러시아의 농촌 공동체가 이미 사회주의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잘 발전시킨다면 자본주의의 모순...
-
나로드니키 운동일컫는다. 그들은 정치선전으로 농민들의 각성을 유도함으로써 차르 정권을 타도하고자 했고, '나로드니체스트보(narodnichestvo)', 즉 인민주의로 불렸다. 나로드니키 운동은 1860년대에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어나 1870년대에 절정기를 맞았다. 나로드니키의 사상 속에는 공동소유와 공동생산, 그리고 사기업에...
-
알렉산더 2세와 러시아능력이 있다고 자신한 젊은이들은 정작 농민들을 이해시키지 못하고 경찰의 주의만 끄는 결과를 가져왔다. 20세도 채 안 된 미숙한 젊은이들로 구성된 인민주의 운동을 재미있는 각도에서 본다면 소박한 십자군 운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은 농민들에 대한 열정에도 경찰들의 감시와 그들이 우상처럼 여기던 농민...
- 시대 :
- 로마노프 시대
-
플레하노프 Georgy Valentinovich Plekhanov후 장교가 될 목적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콘스탄티노프스크 군사학교에 입학했다. 곧 광업연구소로 옮겨갔으나 이듬해 인민주의 혁명운동에 투신하기 위해 학업을 그만두었다. 인민주의 혁명운동은 농민 봉기를 통해 농업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삼았지만 플레하노프는 주로 도시 지역의 공장 노동자를 대상으로...
- 출생 :
- 1856. 12. 11(구력 11. 29), 러시아 구달로프카
- 사망 :
- 1918. 5. 30(구력 5. 17), 핀란드 테리오키
- 국적 :
-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