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민전선 人民戰線, popular front
    파시스트의 공격에 맞서 민주주의 체제를 지키기 위해 노동자 및 중산 계층이 힘을 합친 연합세력.|1930년대 중엽 파시즘의 세력 확장에 불안을 느낀 유럽 공산당은 소련의 정책변화에 힘입어 사회주의 정당과 자유주의 정당 및 온건 정당과 제휴하여 파시스트 세력에 대항하는 인민전선을 결성했다. 프랑스와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인민전선 (우크라이나) People's Front (Ukrain..
    정당 정보 인민전선은 2014년 아르세니 야체뉴크와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가 창당한 우크라이나의 우익 정당이다. RIA Novosti (10 September 2014) 정당 구성원들은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당에서 탈당한 야체뉴크 및 투르치노우 계열 인사들이다., Interfax-Ukraine (11 June 2013) Ukrinform (11 June 2013...
    도서 위키백과
  • 인민전선 (스페인) Popular Front (Spain), ス..
    정당 정보 인민전선은 스페인 제2공화국 당시에 존재하던 정당 결합체로 1936년 1월 좌파계 인사의 합의 하에 여러 단체가 이룬 사회주의 정당이다. 파시즘에 반대하는 진보적 자유주의자들도 일부 참여하였다. 마누엘 아사냐가 1936년 총선을 앞두고 전면에 나섰다. 조지 오웰이 속한 마르크스주의 통일노동자당도 이...
    도서 위키백과
  • 인민 전선 (관련어 인민전선) Popular front, 人民戦線
    다른 뜻 인민전선(人民戦線, 반파시즘, 반제국주의, 반전주의를 공동 목표로 한다. 역사적으로 인민전선들은 공산당부터 기독교 민주당까지 다양한 정당과 정치세력들을 포괄했다. 인민전선 이론은 코민테른 대회에서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이자, 공산주의 혁명가인 게오르기 디미트로프가 처음으로 고안하...
    도서 위키백과
  • 인민전선 (프랑스) Popular Front (France), ..
    인민전선(人民戰線, 프랑스 공산당과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인민전선은 1936년 프랑스 총선에서 승리하여 레옹 블룸 내각을 출범시켰고 급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하며 프랑스 유권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인민전선은 당시 부상하던 극우 반공주의 파시즘 세력의 공세와 공작에...
    도서 위키백과
  • Popular front 인민 전선, 人民戦線
    A popular front is a broad coalition of different political groupings, usually made up of leftists and centrists. Being very broad, they can sometimes include centrist and liberal (or "bourgeois") forces as well as social-democratic and communist groups. Popular fronts are larger in scope than un...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Popular Democratic Fro..
    불구하고 각각의 단체들은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 이들간에 타협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극히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1970년대말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총사령부(Popular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General Command/PFLP-GC)와 일부 단체들은 리비아와 시리아의 지원을 받아 세계적인 규모의 테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민전선 사건 人民戰線事件
    이쓰로[向坂逸郎], 가토 간주[加藤勘十], 에다 사부로[江田三郎], 구로다 히사오[黑田壽男], 이나무라 준조[搯村順三]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제1차 인민전선 사건). 다시 전국에 걸쳐 행해진 2차 검거 때는 아리사와 히로미[有澤廣巳], 오우치 효에[大內兵衛], 미노베 료키치[美濃部亮吉], 와키무라 요시타로[脇村義太郎...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민주전선 Popular Front for th..
    창설되었다. PDFLP는 정치운동조직으로서, 다양하고 호전적인 팔레스타인 단체들에게 하나의 단일전선을 제공하기 위해 창설된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과는 구별된다. PDFLP는 이데올로기적으로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의 좌파적 성향을 지지하며, 그들의 적은 근본적으로 시온주의를 표방하는 상위계급의 제국주의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서구 민주주의, 프랑스 프랑스 공화국
    파시스트 국가를 용납하지 않고, 정부를 지지하고 나섰기 때문이었다. 또한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파시스트 집권이 현실화되자 프랑스 좌파들은 긴장하고 '인민전선'을 조직해 힘을 모았다. 1936년 유대인이며 사회주의자인 레옹 블룅 수상이 '인민전선' 정부의 책임을 맡으면서 제3공화국은 강력한 사회개혁을 시행했다...
  • 에리트레아 해방전선 ELF, Eritrean Liberation Front
    지방 소도시를 점령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여러 파벌이 ELF에서 갈라져나가 에리트레아 해방전선-인민해방군(ELF-PLF) 및 보다 규모가 커진 에리트레아 인민해방전선(EPLF)을 결성했다. 이 세 조직은 그후 에리트레아 독립운동을 제쳐놓고 상호간의 분쟁에 빠져들었다. 1980년대에 이르자 EPLF가 주요한...
  • 라트비아 인민전선 Popular Front of Latvia
    출처 필요 라트비아 인민 전선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라트비아를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얻기 위한 독립적인 조직이다. 이 전선은 에스토니아의 에스토니아 인민 전선과 리투아니아의 독립기관인 사유디스와 유사한 조직이다. 1980년대부터 공산주의를 무너트리기 위한 동구권의 혁명이 시작되었다. 이때 소련에게 합병...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고성인민들의 전선 원호/정종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