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이 인문은 삼승(三乘)에 의하여 일승을 드러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시의 글에는 시작과 끝이 있는데, 그것은 수행방편(修行方便)에는 원인과 결과가 따로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글이 많은 굴곡을 보이는 까닭은 역시 삼승의 근기와 욕망이 꼭 같지 않고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왜 첫 글자와 끝 글자가...
- 시대 :
- 고대/남북국
- 저작자 :
- 의상(義湘)
- 창작/발표시기 :
- 신라 시대
- 성격 :
- 문서, 불교문서, 화엄사상축약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노은집 老隱集금릉도기(金陵圖記)」는 중국 남경의 지리와 역사에 대하여 쓴 글로, 저자가 박지무(朴枝茂)를 시켜 「금릉도」를 확대·모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과거설(科擧說)」은 요행을 바라는 과거에 대한 세정을 비판하고, 과거의 폐단을 논한 것으로 주목할 만한 글이다. 「축성의(築城議)」는 당시 강도(江都)에 내성...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임적(任適)
- 창작/발표시기 :
- 179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임정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