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문도기 印紋陶器, pottery with stamped dec..
    중국 은·주시대(BC 18세기~8세기)에 만들어졌던 무늬가 찍힌 토기.|경질도기와 연질도기의 2종류로 나뉜다. 경질도기는 바탕이 치밀하며 굽는 온도가 비교적 높다. 연질도기는 출현시기가 훨씬 빠른 것으로, 바탕이 거칠며 굽는 온도가 비교적 낮다. 경질도기는 연질도기를 계승해서 발전한 것으로, 양쯔 강[揚子江]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문학 Humanities, 人文科学
    성당의 도기에 신화적인 인물을 묘사하는 것에서부터 인간의 신체 자체에까지 걸쳐 있다. 색 음악에서 소리가 필수이듯이 그림에서는 색이 필수적이다. 색은 대단히 객관적이지만, 상당한 심리적 영향들의 아래에 놓여 있기 때문에 문화에 따라 색에 대한 파악과 의미 해석이 다를 수 있다. 서양에서는 검은색이 애도와...
    도서 위키백과
  •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
    인문은 삼승(三乘)에 의하여 일승을 드러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시의 글에는 시작과 끝이 있는데, 그것은 수행방편(修行方便)에는 원인과 결과가 따로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글이 많은 굴곡을 보이는 까닭은 역시 삼승의 근기와 욕망이 꼭 같지 않고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왜 첫 글자와 끝 글자가...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의상(義湘)
    창작/발표시기 :
    신라 시대
    성격 :
    문서, 불교문서, 화엄사상축약시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노은집 老隱集
    금릉도기(金陵圖記)」는 중국 남경의 지리와 역사에 대하여 쓴 글로, 저자가 박지무(朴枝茂)를 시켜 「금릉도」를 확대·모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과거설(科擧說)」은 요행을 바라는 과거에 대한 세정을 비판하고, 과거의 폐단을 논한 것으로 주목할 만한 글이다. 「축성의(築城議)」는 당시 강도(江都)에 내성...
    시대 :
    조선
    저작자 :
    임적(任適)
    창작/발표시기 :
    1794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간행/발행 :
    임정주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