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도양 중앙해령 印度洋中央海嶺, Mid-Indian..
    대서양 중앙해령과 연결되는 인도양의 해저산맥.|두 산맥 모두 전세계에 걸친 중앙해저산맥체계의 일부를 이룬다. 인도양 중앙해령은 남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들어가 북으로 로드리게스 섬 근처의 지점까지 뻗은 다음 2부분으로 갈라지는데, 하나는 북쪽으로 아덴 만까지 뻗어 동아프리카 지구대와 연결되며 또하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서양
  • 인도양중앙해령 (관련어 인도양 중앙 해령) Central ..
    인도양중앙해령(印度洋中央海嶺, CIR, Mid-Indian Ridge)은 서인도양의 남북으로 뻗어있는 해령이다. 축을 이루는 골짜기는 500~1000미터 깊이이다. 50~100킬로미터 길이의 산등성이 부분들은 30킬로미터 길이의 변환단층과 10킬로미터 길이의 비변환불연속부별로 구분된다. CIR의 경우 전통적으로는 아프리카판과 인도-...
    도서 위키백과
  • 해령
    해령은 아프리카의 남단을 돌아 남서인도양 해령을 이루고 다시 북상한 후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칼스버그 해령을 이루고 홍해로 들어간다. 한편 인도양중앙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남동인도양 해령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남단을 우회해서 태평양으로 들어가 남태평양의 동남쪽 가장자리를 동태평양 해팽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인도양의 지형과 지질
    해구·산맥·단애 등으로 대규모의 험한 변환단층지역이 나타나는데, 디아만티나·마스카렌 등에서는 너비가 48~145㎞, 길이 2,900㎞에 달한다. 인도양 중앙해령인도양의 중심부로부터 뻗어나가는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북쪽으로 뻗으며(칼스버그 또는 아라비아-인도 해령), 2번째는 남서쪽으로 뻗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지구 , 바다
  • 해령 Mid-ocean ridge, 海嶺
    대단히 높은 것으로 보아, 해령의 지하는 상당히 높은 온도를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성질은 인도양 중앙해령, 태평양 해령에서도 거의 같게 나타난다. 중앙해령의 성질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해령의 평행방향으로 정단층(正斷層)이나 지구대가 있고, 횡단방향으로 단열대가 있다. 지각열류량은 중축부...
    도서 위키백과
  • 칼스버그 해령 Carlsberg Ridge
    중앙 인도양 해령의 일부로서 로드리게스 섬 근처에서 아덴 만까지 대체로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뻗어 있다. 북동쪽의 아라비아 해와 남서쪽의 소말리 해분을 분리해준다. 평균 수심은 약 3,300m이며, 해저에서는 평균 2,135m 높이로 솟아 있다. 소코트라 섬을 향해 서쪽으로 만곡하여 아덴 만을 지난 다음, 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지구 , 바다
  • 해령 海嶺, oceanic ridge
    해령은 해양을 특징적인 몇몇 해분으로 나누며, 지진활동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진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중앙해령의 총길이는 6만㎞로서 대서양의 축을 따라 아래로 아프리카와 남극대륙 사이의 중앙부를 지나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인도양 중심까지 뻗은 뒤 그곳에서 여러 가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서양 중앙 해령 Mid-Atlantic Ridge, 大西洋中央海嶺
    북아메리카판, 동쪽으로는 유라시아판으로 분리하고 있다. 원래 대서양 중앙 해령은 대서양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없었다. 그러나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가 연결...확장되고 있으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히 발생하고 있다. 태평양과 인도양에서도 위와 비슷한 양상이 발견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와 이후 해저...
    도서 위키백과
  • 인도양의 천연자원
    인도)·다이아몬드·인광단괴(아굴라스 뱅크)·산호석회석 등이 있다. 막대한 양의 철·구리·망간 등의 광물을 함유한 퇴적층이 홍해에서 발견되었고, 중앙해령의 열곡지대에서는 크롬 광석이 발견되었다. 대양의 해저에는 희귀금속이 많이 함유된 망간단괴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생물자원 인도양 해역 대부분은 열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지구 , 바다
  • 적도해류 赤道海流, equatorial current
    돌아 북아프리카 서안 근해에서 용승류(湧昇流)와 결합하여 대서양 북적도해류가 된다. 이 해류는 대서양 중앙해령을 지날 때는 북쪽으로 느리게 흐르고, 해령을 통과하면 남쪽으로 구부러진다. 인도양에서는 북적도해류 위치에 몬순류가 대신 흐르고 또한 남적도해류도 흐른다. 남위 22°의 북쪽에서 무역풍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해저지형 海底地形, submarine landform
    1,000m 이상 우뚝 솟아 있는 해산(海山) 등이 다수 발달하여 대양저를 몇 개의 해분으로 나누고 있다. 각 대양을 연속해서 달리는 중앙해령은 대서양이나 인도양에서는 거의 중앙에 뻗어 있지만, 태평양에서는 현저하게 남동쪽으로 치우쳐 있고, 그 북서쪽에는 대양저가 펼쳐져 있는데 여기에는 가장 오래 된 해저퇴적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04 Indian Ocean earthquak..
    또한 캐나다의 벤쿠버와 기타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관측된 쓰나미도 인도양 일부 지역에 관측된 쓰나미보다 높게 관측되어 많은 과학자들이 그 원인을 추측했다. 대표적인 추정으로는 대륙판의 경계를 따라 이어지는 대양의 중앙 해령을 따라 장거리에서도 에너지가 집중되고 멀리까지 향했다는 이론이 있다. 지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인도양 중앙해령(Mid-Indian Ridg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