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중곡가제 二重穀價制이중곡가제는 심각한 도농간 소득 격차를 줄이기 위해 박정희 정부가 1968년부터 추곡 매입가를 매년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인상하고 도시 소비자에 대한 쌀 판매가는 매입가 이하로 한 제도이다. 물가 안정을 위해 외국의 값싼 식량을 계속 도입한 결과 1960년대 중엽까지 도농간 소득 격차가 확대되자, 박정희 정부는 1...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저농산물가격정책 저곡가정책, 低農産物價格政策따른 것이었다. 정부가 농산물 가격의 지지를 위한 고려를 전혀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1961년 이후 「농산물가격유지법」의 시행, 1968년 이후 「이중곡가제」의 시행과 1970년 이후 양곡관리 특별회계의 운용을 통해 상대적으로 고미가를 유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도 수출공업화의 논리와 물가안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현대사
-
한국의 농산물가격정책한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1976) 등이 마련되었다. 1968년부터 미곡과 맥류의 수매가격이 물가상승폭 이상으로 인상되고, 이듬해에는 '이중곡가제'가 실시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초·중반에는 주곡증산정책과 고미가정책으로 한때 농가교역조건이 호전되었으나 1970년대 후반에는 이중곡가제의 실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