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주노동자 移住勞動者, migrant labour
    이주노동자는 보통 농업부문에서 일하며, 추수와 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육체노동에 종사한다. 이주노동자는 농업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나거나 도시의 임금상승으로 농업노동자들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제적 조건에서 발생한다. 또한 이주노동자의 가정이 처한 불리한 경제적·사회적 여건도 이주노동자 형성에 영향을 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외국인노동자 (동의어 이주 노동자) 外國人勞動者, migrant worker
    대한민국 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하여 국내 소재 사업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이주노동자|개설 외국인노동자는 한국이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하면서 국제사회의 관심을 받게 되고, 3저 호황으로 3D업종을 비롯한 중소규모 제조업이 인력난을 겪게 되면서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1992년한국과 중국의 공...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이주노동자 (관련어 이주 노동자) Migrant worker, 移居勞工
    출처 필요 이주노동자(移ㅗ勞動者, 국외로 일자리를 찾아 이동하는 노동자이다. 이주노동자는 통상적으로 일자리를 얻은 지역에서 영구적으로 정착할 의사가 없다. 임시링크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이주 노동자의 고국 송금
    전 세계 이주 노동자가 2005년 한 해 고국으로 보낸 송금액은 2,600억 달러에 이른다. 이 돈은 주로 가족의 생활비에 쓰이고 있다. 이주민의 송금액 가운데 1,900억 달러가 개발도상국으로 보내졌다. 세계은행(World Bank/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자료의 총계에 따르면, 개발도상국...
  • 유럽의 이주노동자 European Voluntary Worker
    EVW 프로그램은 발트 해 지역의 여성을 채용하는 발트 시그넷(Balt Cygnet)이라는 계획으로 시작되었다. 이 여성들은 기초 간호와 가내 및 직물 작업에 채용되었다. 발트 시그넷 프로그램의 성공 이후, 웨스트워드 호(Westward Ho) 계획은 필수 산업의 미숙련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남성들을 확보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독일의 이주노동자 Gastarbeiter, ガストアルバイター
    독일의 이주노동자(獨逸의移住勞動者, llang)는 정치 경제학에서 생긴 개념으로 1950년대 이후 독일에 이민온 후 각 산업에서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를 의미한다.서적 인용 전 세계적으로 국제 이민자의 수는 1억 2천만명 정도며, 그중 130만명 정도가 매년 유럽연합으로 들어간다. 독일은 그러한 이민자들이 가장 선호...
    도서 위키백과
  • 이주 노동자 지원 정책 移住 勞動者 支援 政策
    모두가 살기 좋은 진정한 글로벌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별도의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이주 노동자의 삶과 관계된 단위 사업으로 외국인 주민 집중 거주지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하였다. 외국인 주민이 집중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생활 환경 개선을...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 가톨릭노동문제상담소·가톨릭이주노동자센터 가톨릭勞動問題相談所·가톨..
    [설립 목적] 가톨릭노동문제상담소·가톨릭이주노동자센터는 사람의 인권과 노동권을 소중히 생각하며 모두가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일하는 사람들과 함께 삶과 신앙을 나누며, 평소 일터에서 생기는 노동 문제를 상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변천] 2002...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이주노동자보호위원회 Migrant Workers Conventi..
    이주노동자보호위원회(Migrant Workers Convention)는 이주노동자 및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에 의해 창설된 유엔 산하 국제기구이다. 1990년 12월 18일에 서명되었으며, 2003년 3월에 20개 비준국의 기준에 도달한 후 2003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 이주노동자위원회는 협약 이행을 감시하며 UN과 연계된...
    도서 위키백과
  • 이주민 영화제
    권리에 집중하고 연대하고 선주민과의 경계를 넘어서기 위해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영화제이다. 이주민방송MWTV에서 개최한다. 2006년 제1회에 처음에는 이주 노동자 영화제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가 2010년부터는 현재의 이름 이주민 영화제로 정착되었다. 이주노동자와 이주민이 주체가 되는 영화를 통해 이주노동자...
    도서 위키백과
  •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외노협, 外國人移住勞動運動協議會
    내용 외국인 이주∙노동운동협의회(외노협, Joint Committee with Migrants in Korea)는 1995년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과 이주노동자의 유입으로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이주노동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외노협’은 전국에서 주도적으로 이주노동자 지원 활동을 하고 있던 43개 단체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두뇌 유출, 전문 인력의 '새로운' 이주 전문 인력 유출
    사는 이주자는 2억 명에 이르는데, 그중 개발도상국 출신 연구 인력은 평균 비율을 웃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고국에 송금을 하고 있다. 그동안 '이주 노동자의 계좌이체'는 선진국의 공식적인 전체 저개발국 원조기금의 2배에 이른다. 물론 투입된 교육 비용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입는 경제적 손실을 계산하면, 이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