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량부 Sautrāntika, 経量部
    생겼다. 시조는 쿠마랄라타의 성실론(成實論)은 이 파의 영향하에 있다. 그러나 이 파의 교의서(敎義書)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그 학설은 《구사론》과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의 인용으로 알려져 있다." 약칭으로 경부 2부가 있다. 근본부(根本部)에서는 식심호훈설(識心互熏說)을 제창했고, 지말부(枝末部)에서는...
    도서 위키백과
  • 부파불교 Early Buddhist schools, 部派仏教
    북방불교의 자료에서는 위에 기술된 남방불교의 내용과는 달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현대의 학자들은 남방불교의 자료가 사실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을 포함한 북방불교의 자료들에 따르면, 불멸(佛滅) 후 100년경 아소카왕의 치세 때, 마하데바(Mahadeva 이 다섯 가지 안을 대천오사...
    도서 위키백과
  • 규기 Kuiji, 基 (僧)
    三十頌釋)>을 통해 호법(護法)의 설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유식설(唯識說)을 세웠다. 그 뒤 661년 <변중변론(辨中邊論)>,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아비달마계신족론(阿毗達磨界身足論)> 등의 한역을 맡았으며, 수많은 저서를 남겨 '백본논사(百本論師)' 또는 '백부소주(百部疏主)'라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