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명법 二命法, binomial nomenclature
    1758년 린네가 체계를 세운 명명법. 종(種)의 학명으로 속명과 종명을 라틴어로 나란히 쓰는 방식이다. 소나무 Pinus densiflora, 집쥐 Rattus norvegicus,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등으로 표현한다. 식물과 세균은 끝에 명명자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필수이나, 동물은 생략해도 된다.
  • 이명법 binomial nomenclature
    속명과 종명으로 생물을 명명하는 것.→ 명명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명 (관련어 이명법) Scientific name, 学名
    다른 뜻 학명(學名, scientific name)은 생물학에서 생물의 종에 붙인 적인 이름이다. 또한 학명의 표기는 종과 속의 이름으로 구성된 이명법(二名法)을 사용한다. 생물에 학명을 붙여 표기하는 방법을 고안한 사람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이다. 린네는 스스로 많은 식물에 학명을 부여하였다. 학명은 최초 고안...
    도서 위키백과
  • 린네 〈이명법〉 제시
    스웨덴의 식물학자인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초판 1737년)』 개정판에서 학자들이 비슷한 동식물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명법을 제시했다. 이명법이란 동식물의 학명을 정할 때 동물 자체의 이름인 종명 옆에 그 종의 소속을 밝히는 속명을 함께 적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인간을 가리키는...
    시대 :
    1758년
    국가/대륙 :
    유럽
  • 학명 學名, scientific name
    Species Plantarum〉(1753)과 1758년에 씌어진 제10판 〈자연의 체계 Systema Nature〉(초판 1753)에 식물과 동물을 각각 명명했다. 린네는 여기에 처음으로 이명법을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이것에 준해 만들어졌다. 이명법에 의하면 생물은 속명과 종소명으로 이루어지는데, 속명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소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명명법 命名法, nomenclature
    종의 학명은 생물이 속한 속명과 종명(種名)의 두 단어로 나타내는데 이는 여러 어원을 갖는 라틴어 단어들이다. 린네식 이명법(二名法)이라 불리는 이 방법은 1750년 린네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린네 이명법의 확산 이후 새로운 종들이 확립되고 상위 범주들이 형성되었다(→ 린네). 그결과로 19세기말에는 많은 생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식물 이름,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느꼈습니다. 따라서 모든 나라 사람들에게 통용되는 식물의 학명이 필요하게 된 것이지요. 학명은 라틴어를 사용하며, 린네라는 학자가 만든 이명법을 따르고 있지요. 이명법이란 속명과 종명을 연달아 쓰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싱고니움의 경우, Syngonium podophyllum이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Syngonium...
  • 보앵 Gaspard Bauhin
    식물학에 이명법(二名法)의 효시인 속과 종을 병기하는 방법을 도입했다. 파도바대학교에서 이탈리아의 해부학자 파브리치우스 압 아콰펜덴테의 문하생으로 있던 그는 주로 바젤대학교에서 경력을 쌓았고, 그곳에서 1581년 의사 자격을 얻은 후 1582년에 그리스어교수가 되었다. 1588년에는 해부학과 식물학 분야에서...
    출생 :
    1560. 1. 17, 스위스 바젤
    사망 :
    1624. 12. 5, 바젤
    국적 :
    스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곤충학 昆蟲學, entomology
    로 1734년 프랑스의 생물학자인 레오뮈르에 의해 제1권이 출간되었다. 린네는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Systema Naturae〉(1758, 10판)에서 동물에게도 이명법을 적용시켰으며 갑자기 많이 늘어난 곤충종(種)의 명칭을 정리했다. 현대에도 곤충학은 여전히 분류학상의 기재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나비와 나방같이 연구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조세프 피통 드 투른포르 Joseph Pitton de Tournefort
    때문에 이론에서는 그다지 혁신적이지 못했고, 속보다 높은 단계에 대한 분류는 때로 인위적인 것이었다. 속에 한 단어의 라틴어 이름을 사용하고 그뒤에 종(種)에 관한 몇 개의 단어로 된 기술을 덧붙임으로써 각 종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에 2개의 라틴어 단어를 사용하는 이명법(二名法)의 발전에 중요한 단계를 제공...
    출생 :
    1656. 6. 5, 프랑스 엑상프로방스
    사망 :
    1708. 12. 28, 프랑스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과학자 , 프랑스
  • 屬, genus
    구조적·계통발생학적으로 서로 관련있는 종이나 특이한 분화를 보이는 고립된 종 등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장미의 여러 종들은 함께 장미속을 형성하고, 말과 얼룩말의 종들은 말속을 형성한다. 학명을 이명법으로 표기할 때는 속명을 먼저 쓰고, 언제나 대문자로 쓴다.→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체살피노 Andrea Cesalpino
    모형을 이용한 식물학의 원칙을 제시했고, 나머지 15권의 저서에서는 1,500가지가 넘는 식물을 묘사하고 분류했다. 체살피노의 분류체계는 카를 린네의 이명법(二名法)을 내다본 것이었지만, 초본식물과 목본식물로 나누는 잘못된 고전적 분류법과 식물에는 성적 구별이 없다는 그릇된 믿음을 버리지 않았다. 그는 린네...
    출생 :
    1519년 6월 6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아레초
    사망 :
    1603년 2월 23일,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