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으름덩굴 Five-leaved akebia, <일>あけびつる
    분포지역 중국, 일본; 황해도 이남 분포(강원 제외). 형태 낙엽 활엽 덩굴식물. 크기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기이며, 오래된 가지에서 모여나기하며 손모양겹잎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잎끝은 오목하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와 폭 3 ~ 6...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Akebia quinata (Houtt.) Decne.
    개화기 :
    4월, 5월
  • 으름덩굴 통초(通草)
    잎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묵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5개씩인데 길이 3~6cm의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약간 오목하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 돈다. 꽃 4∼5월에 낙하산처럼 생긴 꽃이 연한 자줏빛을 띠는 갈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
    분류 :
    낙엽 활엽 덩굴나무
    학명 :
    Akebia quinata
    분포지역 :
    황해도 이남
    자생지역 :
    산기슭, 들, 숲 속
    번식 :
    꺾꽂이·씨·분주
    약효 부위 :
    줄기
    생약명 :
    목통(木通)
    키 :
    길이 5m 정도
    과 :
    으름덩굴과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줄기 5∼7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으름덩굴 Akebia quinata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식물. 아시아가 원산으로 산과 들에 분포한다. 다른 나무를 감싸며 자라 군락을 형성하고, 갈색의 덩굴 줄기는 길이 5m까지 뻗으며 자란다. 같은 나무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열매는 10월에 바나나처럼 구부러져 익고, 하얀 과육은 단맛을 낸다. 봄에 돋아나는 어린순을 나물로 식...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 들
    크기 :
    약 5m
    학명 :
    Akebia quinata (Thunb.) Decne.
    꽃말 :
    재능
  • 으름덩굴 으름, Five leaf akebia
    생물학적 특징 낙엽성 덩굴 목본 잎은 장상 복엽, 소엽은 5장,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 엽저는 예저, 엽두는 요두, 엽연은 전연, 엽병은 0.5-0.8cm 화서는 총상화서, 꽃은 단성화, 자웅동주, 4-5월 개화, 암자색 꽃받침은 3장 수꽃은 작고 많고 수술은 6개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림 과실은 삭과, 장타원형, 10월 암자갈...
    분류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서식지 :
    산지
    학명 :
    Akebia quinata Decne.
    본초명 :
    목통(木通)
    분포지역 :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근연식물 :
    멀꿀
  • 으름 (동의어 으름덩굴) 으름덩굴, five leaf akebia, Chocola..
    • 성분 : hedragenin, oleanolic acid, akebioside A-F. •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잎 : 새 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넓은 가지에서는 총생(叢生)하며 장상복엽(掌狀複葉)이고 소엽(小葉)은 5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凹頭)이며 원저(圓低)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
    분류 :
    으름덩굴과
    서식지 :
    산과 들, 해발 50-1,300m 지역 산기슭 수림 속 및 인가부근 숲 가장자리
    학명 :
    Akebia quinata (Thunberg) DECAISNE.
    분포지역 :
    한국(중부지방, 남부지방, 황해도 이남지방), 일본, 중국
    번식 :
    종자, 실생, 분주, 삽목, 취목, 꺾꽂이
    생활사 :
    여러해살이
  • 으름덩굴 Akebia
    으름덩굴과에 속하며 2종의 목본성 덩굴식물로 이루어진 속.|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잎이 보기 좋으며 빨리 자라기 때문에 여러 나라에서 심고 있다. 으름덩굴은 5장의 잔잎으로 된 잎이 달리는데 각 잎은 손가락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작게 무리지어 피는 꽃은 자주색을 띠고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자주색의 길쭉...
  • 으름 (동의어 으름덩굴) 목통, Five leaf akebia
    특징 요즘 도시 아이들은 잘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쉽게 따먹을 수 있는 열매였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한국을 대표하는 수종으로 그곳 공원에 심겨졌던 나무이기도 하다. 다섯 개의 작은 잎이 하나로 모여 나는 모습이 보기가 좋다. 이용 덩굴성으로 가정 정원의 퍼골라나 울타리용 등으로 ...
    학명 :
    Akebia quinata
    꽃말 :
    재능
  • 으름덩굴 Akebia quinata, アケビ
    생물 분류 으름덩굴, 임하부인(林下婦人)이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과일의 먹는 부분 이야기
    빽빽이 나 있습니다. 키위는 서로 이웃하는 자방들이 붙어서 벽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한방이 되는 동시에 씨방 벽의 안쪽에 직접 붙어 생긴 과일입니다. 으름덩굴 열매에는 여러 가지 양분이 들어 있어서 동물들의 좋은 먹이가 되는데, 그 중에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을 과일이라고 합니다. 으름덩굴 암꽃의 꽃잎...
  • 으름덩굴 Lardizabalaceae, アケビ科
    생물 분류 으름덩굴과는 미나리아재비목의 과이다. 히말라야, 동아시아 및 칠레 등에 분포하며, 9속의 약 20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서는 으름덩굴·멀꿀·여덟잎으름덩굴 등이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큰 덩굴성 목본으로서, 잎은 손바닥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게 달리며 턱잎은 없다. 암수딴그루 또는...
    도서 위키백과
  • 으름덩굴 Akebia, アケビ属
    생물 분류 으름덩굴속은 으름덩굴과의 속이다. 주로 산지에서 잘 자라며, 한국에는 황해도 이남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낙엽이 지는 활엽목본으로서 덩굴을 이룬다. 잎은 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손바닥 모양의 겹잎을 이룬다. 암수한그루이며, 한 꽃이삭 속에 수꽃과 암꽃이 섞여 있는데, 이들은 4월경에 새 잎과 함께...
    도서 위키백과
  • 여덟잎으름 Eight-leaf chocolate vine
    퍼골라 등을 만들어 심어 관상하며, 담벽이나 나무에 올려서 관상한다. • 열매는 식용하고,뿌리와 줄기는 약용하고 줄기는 바구니 등의 세공재로 쓴다. • 으름덩굴, 여덞잎으름의 과실, 木質莖(목질경), 근(根), 종자를 약용한다. ⑴八月札(팔월찰) - ①과실로서, 9-10월 성숙할 때 채취한다. ②성분 : 과실에는 糖類...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속
    꽃색 :
    갈색
    학명 :
    Akebia quinata f. polyphylla (Nakai) Hiyama
    개화기 :
    4월, 5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7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으름덩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