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율리아 돔나 Julia Domna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193~211 재위)의 2번째 아내.|남편의 후계자인 황제 카라칼라 치세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시리아 에메사(지금의 홈스)의 세습최고사제인 바시아누스의 딸로 율리아 마이사의 언니였다. 그녀는 로마에서 철학자와 지식인들을 주위에 불러모았는데 이들의 활동상황은 필로스트...
    출생 :
    미상
    사망 :
    217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지워져버린 문구에 얽힌 비밀
    시리아에 체류하던 중에 첫 부인이 죽자 점성술가의 말을 듣고 에메사 부근에 떨어진 운석 조각을 신처럼 모시고 있던 제사장의 딸 율리아 돔나와 재혼하여 아들 둘을 얻었다. 율리아 돔나는 지성을 갖춘 여인으로 그 주변에는 항상 지식인과 문화인들이 몰렸다. 황제 자리를 향하여 콤모두스는 로마를 공포의 도가니에...
    시대 :
    로마제국 전기
  • 필로스트라토스 Philostratos
    이라는 별명을 가진 플라비우스 필로스트라토스(170경~245경)는 아테네에서 공부했고, 202년 이후 철학을 좋아하는 시리아 출신의 로마 황후 율리아 돔나의 측근이 되었다. 율리아 돔나가 죽자 그는 티루스에 정착했다. 그는 〈김나스티쿠스 Gymnasticus〉(운동 경기를 다룬 전문서적), 피타고라스파 철학자인 티아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카라칼라 Caracalla
    일조했으며 종종 로마사에서 가장 잔인한 폭군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나중에 황제가 된 북아프리카인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시리아인 율리아 돔나 사이에 난 아들로 애초의 이름은 시리아의 태양신 엘라가발루스의 대제사장이었던 외할아버지 이름을 따서 바시아누스라고 지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출생 :
    188. 4. 4, 갈리아 루그두눔(지금의 리옹)
    사망 :
    217. 4. 8, 메소포타미아 카레 근처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카라칼라 목욕장 빈곤층도 누리던 최고부유층의 향락
    승인절차도 제대로 밟지 않고 황제가 된 마크리누스는 로마 땅을 밟아보지도 못하고 1년 2개월 만에 권좌에서 쫓겨나 도망가다가 살해당했고, 율리아 돔나의 여동생 율리아 마이사는 군대로부터 크게 인기를 끌던 카라칼라의 후광을 입고 14세의 어린 손자를 황제로 옹립하는데 성공했다. 이 소년은 셈족의 태양신 엘...
    시대 :
    로마제국 후기
  • 아폴로니우스 Apollonios
    로마 제국 시기에 신화적인 영웅이 되었다. 황비 율리아 돔나는 작가 필로스트라투스에게 아폴로니우스의 전기를 쓰라고 명령했는데, 황비는 그리스도교가 로마 문명에 끼치는 영향에 맞서기 위해 이 명령을 내린 듯하다. 전기는 아폴로니우스를 기질과 능력에서 그리스도와 아주 닮은 인물로 묘사하고 있으며, 그가 몇...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게타 Publius Septimius Geta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율리아 돔나의 둘째 아들이다. 198년 형 카라칼라가 황제(Augustus)로서 아버지와 공동황제가 되었을 때 부황제(Caesar) 칭호를 받았고 209년에는 자신도 황제가 되었다.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는 형제 사이에 싹텄던 암투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세베루스가 211년 2월 에보라쿰(지금의 영국 요크...
    출생 :
    189, 메디올라눔
    사망 :
    212. 2, 로마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세베루스 Septimius Severus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161~180 재위)의 양자라고 공언하는 한편, 네르바 황제(96~98 재위)의 후손임을 주장했다. 또한 그는 시리아 태생의 부인 율리아 돔나에게서 난 아들 카라칼라를 공동황제 겸 후계자로 지명했다. 197년말 세베루스는 메소포타미아를 침공한 파르티아인들을 물리치기 위해 동방으로 진군...
    출생 :
    146, 트리폴리타니아 렙티스마그나(지금의 리비아에 있음)
    사망 :
    211. 2, 브리튼 에보라쿰(지금의 잉글랜드 요크)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필로스트라토스 Philostratus, ピロストラトス
    필로스트라토스가 렘노스에서 태어나, 아테네에서 교육받고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 뒤에 로마(이곳에서 그는 자연스럽게 아테네인이라 불렸을 것이다)에 율리아 돔나 황후를 주변으로 형성된 학술 모임의 일원으로서 정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가들은 필로스트라토스가 티아나의 아폴로니오스의 전기 (Τὰ ἐς τὸν...
    도서 위키백과
  • 아우구스타 List of Augustae
    클라우디우스의 아내인 율리아 아그리피나는 로마 역사상 최초의 황후로 남편과 아들과 함께 통치하며 여생 동안 아우구스타의 지위를 가졌다. 3세기에 율리아 돔나는 남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죽은 후 피아 펠릭스 아우구스타(Pia Felix Augusta)" 라는 칭호를 최초로 수여받았으며, 이 셀 수 없는 공적 지위와 명예...
    도서 위키백과
  • 카라칼라 Caracalla, カラカラ
    217년 4월 8일)는 정식으로는 안토니누스(Antoninus)라고 알려진 198년에서 217년까지의 로마 황제이다. 세베루스 왕조 출신으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율리아 돔나의 장자였다. 카라칼라(Caracalla)란 본명이 아니라, 켈트족의 전통적인 모자를 뜻하는 황제 자신의 별명이었다. 로마 시민권을 모든 속주민들에게 나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