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윤회 (동의어 윤회설) 輪廻윤회는 인간이 죽어도 그 업에 따라 육도의 세상에서 생사를 거듭한다는 불교교리이다. 힌두교교리이기도 하다. 여섯 가지 세상은 가장 고통이 심한 지옥도, 굶주림의 고통이 심한 아귀도, 짐승과 새·고시·벌레·뱀들이 사는 축생도, 노여움이 가득한 아수라도, 인간이 사는 인도, 행복이 두루 갖추어진 천도 등이다.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인도 윤회설의 전개인도의 제학파는 윤회설을 실존 차원의 철학 문제로 취급하여 다양하게 논하는데, 그 중심적 주제는 윤회의 주체와 원인, 그리고 그로부터의 해방인 해탈이다. 먼저 독특한 이원론을 주장한 상키아 학파의 25원리설에 의하면, 순수정신인 푸루샤와 근본물질인 프라크리티가 결합하여 후자로부터 일체의 현상이 전개된다...
-
-
-
천주실의 天主實義신령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능과 불능의 차이를 보여주고, 악마와 지옥의 기원에 대한 범신론적 일신론(汎神論的一神論)을 논박하였다. 하권의 제5편에서는 윤회설의 창시자가 피타고라스(Pythagoras)이며 불교가 그것을 채용하여 윤회설을 중국에 전한 것이라고 하고, 만물이 모두 인간을 위하여 창조된 것이므로 불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마테오 리치(Ricci,M., 利瑪竇)
- 창작/발표시기 :
- 1603년, 1607년(간행)
- 성격 :
-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 간행/발행 :
- 발리니아니(Valignani, 范禮安), 이지조(1607)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불씨잡변 佛氏雜辨端之辨)의 19편(雜辨 15편, 前代事實 4편) 등이 수록되었고, 권말에 정도전 자신이 다시 부설을 첨가하였다. 이 가운데 잡변(15편)은 주로 불교의 인과설·윤회설·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을 비판한 것과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本性)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이다. 전대 사실...
- 시대 :
- 조선
- 성격 :
- 평론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피타고라스의 윤리관살았는지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 무엇으로 태어날지가 결정된다는 논리는 그만큼 현실에서 도덕 원칙을 충실히 이행하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윤회설은 내세의 막연한 기대가 아닌 현실의 삶으로 관심을 돌린다. 다른 한편으로 윤회설은 동물을 비롯한 자연을 새로운 발상으로 접근하도록 요구한다. 다음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