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회설 輪廻說, reincarnation
    윤회는 중생이 미혹의 세계에서 삶과 죽음을 반복하기를 수레바퀴처럼 멈추지 않고 유전함을 의미한다. 윤회는 영혼의 존재를 전제로 하며, 영혼은 영원불변의 실체이다. 인간의 행위(업)는 육신이 멸하더라도 계속 영향을 미치는 업력을 남긴다.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업의 선악에 따라 합당한 세계에 달리 태어난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윤회 (동의어 윤회설) 輪廻
    윤회는 인간이 죽어도 그 업에 따라 육도의 세상에서 생사를 거듭한다는 불교교리이다. 힌두교교리이기도 하다. 여섯 가지 세상은 가장 고통이 심한 지옥도, 굶주림의 고통이 심한 아귀도, 짐승과 새·고시·벌레·뱀들이 사는 축생도, 노여움이 가득한 아수라도, 인간이 사는 인도, 행복이 두루 갖추어진 천도 등이다. ...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인도 윤회설의 전개
    인도의 제학파는 윤회설을 실존 차원의 철학 문제로 취급하여 다양하게 논하는데, 그 중심적 주제는 윤회의 주체와 원인, 그리고 그로부터의 해방인 해탈이다. 먼저 독특한 이원론을 주장한 상키아 학파의 25원리설에 의하면, 순수정신인 푸루샤와 근본물질인 프라크리티가 결합하여 후자로부터 일체의 현상이 전개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불교의 윤회설
    아트만 또는 이와 유사한 실체를 인정하고, 이것이 업을 지고 다니면서 윤회한다고 설한다. 같은 문화적 토양에서 성장한 불교는 민간신앙의 차원에서는 윤회설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지만, 아트만[我]과 같은 실체를 부정하는 무아설(無我說)과의 모순은 교리적으로 커다란 해결 과제가 되었다. 이 모순의 해결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윤회설의 성립
    윤회설의 가장 원초적인 모습은 〈리그베다〉에 나타난다. 여기서는 재생의 경위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사후세계를 인정한다. 즉 선한 사람들은 조상의 길을 따라 천계로 가고 악한 사람들은 암흑의 세계로 간다고 믿는다. 이어 〈아타르바베다 Atharvaveda〉에서는 지옥의 세계를 상세히 묘사하고 최초의 사자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윤회 (관련어 윤회설) Saṃsāra, 輪廻
    reincarnation, rebirth, cyclicality of life or existence)는 다르마 계통 종교들의 주요 교리로서,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내용의 교리이다. 이 세상에서 겪는 삶의 경험이 자신의 발전에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상...
    도서 위키백과
  • 윤회의 뜻은
    즉, 중생은 해탈하기 전까지는 삶과 죽음을 되풀이하는데, 이때 받는 몸과 태어나는 곳은 자신의 행위에 따라 결정된다는 고대 인도인들 특유의 관념이다. 윤회설이 처음 언급된 곳은 《리그베다(ṛg-veda)》이고, 《우파니샤드(upaniṣad)》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윤회설에서 가장 중요한 윤회의 주체를...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불씨잡변 佛氏雜辨
    단행본으로 간행되었으나, 1487년 〈삼봉집 三峰集〉이 중간되면서 권6에 실렸다. 불교의 교리가 갖는 폐단을 19편의 짧은 논변에 담고 있다. 편1~15까지는 윤회설·인과설(因果說)·심성설(心性說)·지옥설(地獄說) 등 주요교리를 정주학(程朱學)의 논리로 비판했고, 나머지 4편은 고려시대의 사실을 들어 불교의 화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천주실의 天主實義
    신령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능과 불능의 차이를 보여주고, 악마와 지옥의 기원에 대한 범신론적 일신론(汎神論的一神論)을 논박하였다. 하권의 제5편에서는 윤회설의 창시자가 피타고라스(Pythagoras)이며 불교가 그것을 채용하여 윤회설을 중국에 전한 것이라고 하고, 만물이 모두 인간을 위하여 창조된 것이므로 불교...
    시대 :
    조선
    저작자 :
    마테오 리치(Ricci,M., 利瑪竇)
    창작/발표시기 :
    1603년, 1607년(간행)
    성격 :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간행/발행 :
    발리니아니(Valignani, 范禮安), 이지조(1607)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불씨잡변 佛氏雜辨
    端之辨)의 19편(雜辨 15편, 前代事實 4편) 등이 수록되었고, 권말에 정도전 자신이 다시 부설을 첨가하였다. 이 가운데 잡변(15편)은 주로 불교의 인과설·윤회설·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을 비판한 것과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本性)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이다. 전대 사실...
    시대 :
    조선
    성격 :
    평론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동리 金東里
    거부하고, 서정주·조연현·곽종원·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과 함께 조선청년문학가협회를 결성했다. 정부수립 때까지 이 단체의 회장으로 있으면서, 〈윤회설〉(서울신문, 1946. 6. 6~26)·〈혈거부족 穴居部族〉·〈달〉(문화, 1947. 4)·〈역마〉 등을 발표했다. 1947년 〈경향신문〉 문화부장, 1948년 〈민국일보...
    출생 :
    1913. 11. 24, 경북 경주
    사망 :
    1995. 6. 17,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피타고라스의 윤리관
    살았는지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 무엇으로 태어날지가 결정된다는 논리는 그만큼 현실에서 도덕 원칙을 충실히 이행하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윤회설은 내세의 막연한 기대가 아닌 현실의 삶으로 관심을 돌린다. 다른 한편으로 윤회설은 동물을 비롯한 자연을 새로운 발상으로 접근하도록 요구한다. 다음 세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