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전정보의 매개체로서의 DNA부모가 자녀에게 물려준 유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물질로서의 DNA. 유전암호의 전사 및 번역 DNA에 담겨진 유전정보는 RNA로의 전사가 이루어지고 유전정보의 메시지를 넘겨받은 RNA, 즉 전령RNA(messenger RNA/mRNA)가 아미노산의 서열을 결정해줌으로써 리보솜에 의해 단백질로의 번역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
-
유전물질로서의 DNA 유전물질로서의 DNA구조인 반면, 단백질은 20종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전형질의 구조적·기능적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기 때문이었다. DNA가 유전정보의 매개체로 작용한다고 하는 증거는 지극히 단순한 미생물학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이러한 기초적 연구 중의 하나는 1944년 미국의 유전학자인 에이버리...
-
메르스와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습격유전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때 각각의 분자들은 3번 탄소의 수산화기(-OH)를 접점으로 하여 길게 이어진다. DNA의 경우 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수산화기가 3번 탄소에 1개밖에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이 이어질 수 있지만, RNA의 경우 수산화기가 3번뿐 아니라 2번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결합 과정에서 오류가 일어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