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전물질로서의 DNA 유전물질로서의 DNA
    20세기에 들어 생물학의 놀라운 발전 중 하나는 유전물질의 규명 및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자 수준에서 밝혔다는 점이다. 1869년에는 세포의 핵으로부터 질소와 인을 함유하고 있는 '뉴클레인'이라고 하는 물질이 추출된 바 있으나(지금은 DNA라는 사실이 밝혀졌음), 사람들은 염색체의 단백질 안에 유전정보가 들어 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유전/진화
  • DNA 디옥시리보 핵산, DNA
    노출된 염기에 결합하게 된다. 유리되어 있던 뉴클레오타이드들은 염기 짝짓기 법칙(A는 T와, C는 G와 결합)에 맞추어 각 가닥을 따라 늘어서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원형으로부터 2개의 똑같은 DNA 분자가 만들어지며 바로 이런 방법으로 유전정보가 한 세대의 세포로부터 다음 세대의 세포로 전해진다...
  • 유전정보의 매개체로서의 DNA
    ① 레트로바이러스라 하는 몇몇 종류의 바이러스는 DNA 대신 RNA를 유전물질로 갖고 있으며, 숙주를 감염하였을 때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만들어내어 자신의 유전물질인 RNA로부터 DNA를 합성하여 숙주의 DNA로 끼어들어간다. ② DNA에는 RNA로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전사 부위가 있다. 진핵세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유전물질과 메커니즘
    유전물질이 염색체 위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립된 이후에도 유전물질의 형상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었으나 1944년 O. 에이버리와 M. 매카티가 세균의 유전물질DNA임을 증명하고 1950년대 초기 A. 허시와 M. 체이스가 박테리오파지의 증식에서 단백질이 아닌 DNA유전물질임을 제시함으로써 DNA유전물질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용어 정리 terminology for COVID19 va..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이나 감염체,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생김. 특례수입·제조 의약품을 수입하려면 품목허가가 필요하나, 감염병 대유행 상황 등 대비를 위해 관계부처의 장이 요청하는 경우 품목허가 없이 의약품을 수입하는 제도. 미국에서는 긴급사용승인(EUA, Emergency Use Authorization), 영국에서는 임시공급...
  • 세균과 바이러스에서의 유전연구
    되어 유전연구는 멘델식 유전이나 비멘델식 유전의 모든 현상을 분자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분자유전학의 분야로 발전되었다. 아울러 일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DNA가 아니라 RNA이며, 종에 따라 RNA에서 RNA를 합성하는 RNA복제효소나, RNA에서 DNA를 복제하고 RNA를 이어 합성하는 역전사효소가 유전물질의 복제에...
  • 유전물질 조각 선택적으로 변형하는 기술 개발
    원자단)를 붙일 수 있는 화학 촉매 기반 변형 기술을 개발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DNA나 RNA의 기본 구조인데, 뉴클레오타이드가 수 개에서 수십 개씩 사슬처럼...된다. 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원하는 위치에 작용기를 붙여 유전 물질 기반 약물이 목표물에 잘 전달되게 돕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연구팀이...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세포 , 과학 일반 , 생물
  • 유전 물질 遺傳物質, Genetic Material
    진핵세포의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또는 원핵세포인 세균의 플라스미드처럼 염색체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와는 별도의 유전 물질이 존재하여 유전 현상이 비교적 염색체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멘델이 1865년 완두의 유전에 관한 실험을 하여 멘델의 법칙이라는 유전 법칙...
    도서 다음백과
  • DNA DNA에 기록을 저장하는 시대가 온다
    생각해냈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유전과 진화의 물질적 토대에 대해서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20세기 들어 생화학이 발전하면서 유전물질이 단백질이냐 핵산(DNA)이냐를 두고 뜨거운 논쟁이 일었고 1950년 무렵에야 DNA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따라서 다음 과제는 DNA가 어떻게 유전물질로 작용하느냐를 밝히는 일...
  • 생명 生命, life
    그것을 과학적으로 규정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주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개념에 근거한 몇 가지 정의가 사용되어왔는데, 그것은 생리학적·물질대사적·생화학적·유전적·열역학적 정의이다. 그중 생리학적 정의는 오랜 세월 동안 선호되어온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생명은 섭식, 물질대사, 배설, 호흡, 이동, 성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비만은 아빠 탓인가 엄마 탓인가?
    내에서 물질을 수송하는 부위, 예를 들어 소화액을 분비하는 세포막 가까운 곳에 주로 분포한다. 결론적으로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곳 가까이...끊임없이 에너지를 만들어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럼 미토콘드리아 DNA는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에너지를 만드는 기관인 만큼 미토콘드리아는...
  • 메르스와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습격
    따라 모두 7개의 군으로 나뉘는데, 코로나바이러스는 그중에 네 번째 타입이 속하는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모든 생명체는 유전물질DNA를 가지지만,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유전물질DNA일 수도 있고 RNA일 수도 있으며, 이중가닥일 수도 있고 단일가닥일 수도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유전물질로 RNA 단일가닥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