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Codex Justinianus
    비잔틴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후원으로 529~565년에 편찬된 법전과 법률해석집. (영). Code of Justinian. 정식 명칭은 로마법대전(Corpus Juris Civilis).|엄밀히 말하면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은 새로이 만들어낸 법전이 아니었다. 즉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임명한 법학자들은 기본적으로 과거의 법률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로마법 대전 (관련어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Corpus Juris Civilis, ローマ法大全
    로마법대전은 동로마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유스티니아누스 대제)가 로마법을 편찬한 법전의 이름이다. 정식명칭은 시민법대전(Corpus Juris Civilis)이다. 이 이름은 유스티니아누스가 직접 명명한 것은 아니다. 학설휘찬, 법학제요, 칙법휘찬 신칙법 등을 일체로 묶어 편찬한 후세의 프랑스 로마법학자 디오뉘시오...
    도서 위키백과
  • 유스티니아누스 1세 Justinianus I
    비잔티움 제국정부의 행정기구를 재편하고 유스티니아누스 법전(Codex Justinianus:534)으로 알려진 성문법 제정을 후원한 것으로 유명하다. 라틴어를 사용하는 일리리아 사람으로 농민 집안 출신이며 유스티니아누스라는 로마식 이름은 삼촌이었던 유스티누스 1세 황제에게서 딴 것이고 그의 출세는 삼촌의 덕택이었다...
    출생 :
    483, 다르다니아 타우레시움(지금의 세르비아 니시의 남쪽인 듯함)
    사망 :
    565. 11. 14,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바실리카 법전 Basilica
    바실리카라는 말은 '제국'을 뜻하는 그리스어 '바실리코스'(basilikos)에서 유래했다(→ 비잔티움 제국). 6세기의 유스티니아누스 법전(로마 법 대전)은 후세에 칙법들이 추가되어 로마의 주된 법원 구실을 했으나 내용의 반복과 모순으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의 내용 선별과 그 적용방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Justinian
    유스티니아누스의 업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법전 편찬 및 입법가로서의 업적이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법률 연구를 크게 장려했다. 528년에 제국의 법령을 담은 새로운 법전 제작에 착수하였다. 이에 529년에〈칙법휘찬 Codex Constitutionum〉을 발간하였다. 533년에는 로마 법학자들의 저술을 요약·정리한 〈학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유스티니아누스 1세 Justinian I, ユスティニアヌス1世
    적이 있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이 법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완전히 새로운 법전을 만들고 체계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529년 트레보니아누스를 법무관으로 임명한 후, 그의 지휘 아래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오랜 기간의 연구 작업을 거쳐 흔히 《로마법 대전》이라 불리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을 편찬했다. 19...
    도서 위키백과
  • 법전 法典, law code
    기록은 BC 5세기에 시작되었으나, 로마 법의 포괄적인 성문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서로마 제국이 몰락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6세기에 와서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이 만들어졌다. 부르군트족, 서고트족, 잘리어계(系) 프랑크족 등 로마 제국을 침략한 민족도 법전을 만들었다(→ 살리카 법전). 중세 후기에 유럽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와 비잔틴건축의 성립
    건축술 가운데에는 로마 때 기술이 상당 부분 남아 있었으며 여기에 동방 건축의 전통을 더해 비잔틴만의 수준 높은 건축 기술을 완성했다(도 3-56). 유스티니아누스는 로마제국과 기독교라는 두 문명을 동시에 대표하고 싶어 했다. 옛 서로마제국을 정벌해서 일시적이나마 로마제국을 재통일했으며 로마법전을 정비하고...
  • 동로마제국 유스티니아누스 1세 즉위
    덕분에 우수한 인재를 많이 얻고 귀족의 세력까지 견제할 수 있었다. 유스티니아누스의 최종 목표는 멸망한 서로마제국의 땅을 되찾는 것이었다. 이는 막대한...대외 원정과 더불어 정치 개혁도 적극적으로 추진했는데, 이 과정에서 법전 편찬과 행정 제도 정비 등 뛰어난 치적을 많이 남겼다. 동로마제국의 판도는 그...
    시대 :
    527년
    국가/대륙 :
    유럽
  • 테오도시우스 법전 Codex Theodosianus, テオドシウス法典
    법전이 그 분량이 나무 컸기 때문에 법령과 서체에 대해서도 상당한 공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그는 법 자체에만 온 힘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고 이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꼽히게 됐다. 그러나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당대에 존재하던 율법 문구나 수집된 것이 아니라 함께 언급된 적이 없었던 문구...
    도서 위키백과
  • 에파나고가 Epanagoga
    이는 그리스어로 공포된 방대한 법전들에 대한 입문서로 편찬되었으며, 교회와 국가의 권력분립이론을 제시했다는 점이 특히 중요하다.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3세(717~741 재위) 때에 편찬된 에클로가(Ecloga)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527~565 재위)의 법서들에 기초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에파나고가는 황제·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로마 법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명령에 따라 편찬된 로마의 대법전으로, 근대 여러 유럽 국가에서 국법이 발전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