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니코메디아의 유세비우스 유세비우스, Eusebius of Nicomedia4세기 동방교회의 중요한 주교. 아리우스주의(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과 똑같은 본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교리)의 핵심적인 지지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으며, 결국 유세비우스파라 불리는 아리우스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유세비우스는 안티오크에서 알렉산드리아의 사제이며 아리우스주의의 창시자인 아리우스를 만나 ...
- 출생 :
- 미상
- 사망 :
- 342경
- 국적 :
- 동방교회
-
에메사의 유세비우스 유세비우스, Eusebius of Emesa에메사의 주교. 반아리우스주의의 주요교리를 저술한 사람들 중 한 사람이다. 로마의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와 친해 페르시아 원정 때 자주 황제를 따라갔고, 339년경 에메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비정통성 때문에 에메사 주민들에게 추방되었고, 4세기 아리우스주의 논쟁의 주요인물인 라오디케아의 주...
- 출생 :
- 300경, 마케도니아(지금의 그리스) 에데사
- 사망 :
- 359경, 시리아 안티오크(지금의 터키 안타키야)
- 국적 :
- 에메사
-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Caesarea그의 〈교회사〉에 실려 있는 그리스도교의 처음 몇 세기에 관한 기록은 그리스도교 역사기록의 이정표이다. 〈교회사〉에는 4개 대교구의 주교들과 로마 황제들의 즉위 내용이 들어 있고, 개정판에는 니케아 공의회가 열리기 1년 전인 324년까지 일어난 사건들이 다루어져 있다. 그느 또 다른 저서 〈예비〉에서 그리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도릴라에움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Dorylaeum5세기에 활동한 도릴라이움의 주교. 네스토리우스교에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칼케돈 공의회(451)에서 교리를 작성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였다. 평신도 시절에 콘스탄티노플 전역에 자신의 유명한 저서 〈논쟁 Contestatio〉을 보급하고 신자들에게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해야 한다고 호소함으로써 최초로 콘스탄티노플...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베르첼리의 성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Saint Eusebius of Vercelli축일은 12월 16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아타나시우스의 유명한 지지자,. 니케아 신조의 회복자. 니케아 신조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가 채택한 정통교리로서, 삼위일체의 각 위격이 동등하다고 공포했다. 345년 베르첼리의 초대 주교가 되었고 그 자신이 이끄는 사제들과 공동생활을 했으며, 수도원생...
- 출생 :
- 4세기초, 사르데냐
- 사망 :
- 370/371. 8. 1, 이탈리아 베르첼리
- 국적 :
- 이탈리아
-
사모사타의 성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Saint Eusebius of Samosata축일은 동방교회 6월 22일, 서방교회 6월 21일. 그리스도교 순교자. 아리우스주의에 대해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361년 고대 시리아 도시인 사모사타의 주교가 되었다. 그전에는 안티오키아의 주교 성 멜레시오의 주교선출 과정을 공식 기록하는 책임을 맡기도 했는데(360), 아리우스파 주교들은 멜레시오가 자기들...
- 출생 :
- 미상
- 사망 :
- 379경
-
발렌슈타인 Albrecht Wenzel Eusebius von Wallenstein개요 30년전쟁 때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군대 총사령관으로 활약했으며 황제가 그에게 등을 돌리자 정치·군사 음모를 꾀하다가 암살당했다. 초기생애와 활동 13세 때 고아가 된 발렌슈타인은 숙부 밑에서 자랐다. 숙부는 그를 슐레지엔의 골드베르크에 있는 프로테스탄트 그래머 스쿨에 보냈으며 1599년에는...
- 출생 :
- 1583. 9. 24(구력 9. 14), 보헤미아 헤르즈마니체
- 사망 :
- 1634. 2. 25, 에게르
- 국적 :
- 보헤미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