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니코메디아의 유세비우스 유세비우스, Eusebius of Nicomedia
    4세기 동방교회의 중요한 주교.|아리우스주의(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과 똑같은 본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교리)의 핵심적인 지지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으며, 결국 유세비우스파라 불리는 아리우스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유세비우스는 안티오크에서 알렉산드리아의 사제이며 아리우스주의의 창시자인 아리우스를 만나 ...
    출생 :
    미상
    사망 :
    342경
    국적 :
    동방교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에메사의 유세비우스 유세비우스, Eusebius of Emesa
    에메사의 주교.|반아리우스주의의 주요교리를 저술한 사람들 중 한 사람이다. 로마의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와 친해 페르시아 원정 때 자주 황제를 따라갔고, 339년경 에메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의 비정통성 때문에 에메사 주민들에게 추방되었고, 4세기 아리우스주의 논쟁의 주요인물인 라오디케아의 주...
    출생 :
    300경, 마케도니아(지금의 그리스) 에데사
    사망 :
    359경, 시리아 안티오크(지금의 터키 안타키야)
    국적 :
    에메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Caesarea
    그의 〈교회사〉에 실려 있는 그리스도교의 처음 몇 세기에 관한 기록은 그리스도교 역사기록의 이정표이다. 〈교회사〉에는 4개 대교구의 주교들과 로마 황제들의 즉위 내용이 들어 있고, 개정판에는 니케아 공의회가 열리기 1년 전인 324년까지 일어난 사건들이 다루어져 있다. 그느 또 다른 저서 〈예비〉에서 그리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도릴라에움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Dorylaeum
    5세기에 활동한 도릴라이움의 주교.|네스토리우스교에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칼케돈 공의회(451)에서 교리를 작성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였다. 평신도 시절에 콘스탄티노플 전역에 자신의 유명한 저서 〈논쟁 Contestatio〉을 보급하고 신자들에게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해야 한다고 호소함으로써 최초로 콘스탄티노플...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베르첼리의 성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Saint Eusebius of Vercelli
    축일은 12월 16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아타나시우스의 유명한 지지자,.|니케아 신조의 회복자. 니케아 신조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가 채택한 정통교리로서, 삼위일체의 각 위격이 동등하다고 공포했다. 345년 베르첼리의 초대 주교가 되었고 그 자신이 이끄는 사제들과 공동생활을 했으며, 수도원생...
    출생 :
    4세기초, 사르데냐
    사망 :
    370/371. 8. 1, 이탈리아 베르첼리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사모사타의 성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Saint Eusebius of Samosata
    축일은 동방교회 6월 22일, 서방교회 6월 21일. 그리스도교 순교자.|아리우스주의에 대해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361년 고대 시리아 도시인 사모사타의 주교가 되었다. 그전에는 안티오키아의 주교 성 멜레시오의 주교선출 과정을 공식 기록하는 책임을 맡기도 했는데(360), 아리우스파 주교들은 멜레시오가 자기들...
    출생 :
    미상
    사망 :
    379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발렌슈타인 Albrecht Wenzel Eusebius von Wallenstein
    개요 30년전쟁 때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군대 총사령관으로 활약했으며 황제가 그에게 등을 돌리자 정치·군사 음모를 꾀하다가 암살당했다. 초기생애와 활동 13세 때 고아가 된 발렌슈타인은 숙부 밑에서 자랐다. 숙부는 그를 슐레지엔의 골드베르크에 있는 프로테스탄트 그래머 스쿨에 보냈으며 1599년에는...
    출생 :
    1583. 9. 24(구력 9. 14), 보헤미아 헤르즈마니체
    사망 :
    1634. 2. 25, 에게르
    국적 :
    보헤미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에우세비우스 Eusebius, エウセビオス
    역사가, 석의학자이다. 314년 즈음에 팔레스타인에서 임시링크의 주교가 되었다. 당대 정경을 연구하던 학자 중 가장 명망이 높은 학자로 팜필로스와 함께 거론된다. 에우세비우스는 260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가족에 대해서는 알려진 부분은 거의 없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중 스승 팜필로스와...
    도서 위키백과
  • 라바룸 labarum
    이전에 제국에서 사용하던 군기인 벡실룸을 그리스도교적으로 변화시킨 라바룸에는 그리스도의 글자들을 짜맞춘 'Chi-Rho'가 새겨져 있다. 4세기의 역사가 유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의 생애 Life of Constantine〉에서 묘사하기를, 긴 창 끝에 금박을 입히고 창대에는 보석이 박힌 네모난 자주색 천이 걸려 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바실리오스 Mégas Basíleios
    지지한 사실에 실망했다. 디아니우스가 죽기(362) 직전 그와 화해했고, 후에 사제에 임명되어 디아니우스의 후임자로서 개종한 지 얼마 안 된 유세비우스를 도왔다. 유세비우스가 금욕주의를 싫어한 것과 바실리오스의 재능과 명성이 뛰어난 것 때문에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생겼고, 결국 바실리오스가 아네시로 떠났다...
    출생 :
    329경, 카파도키아 카이사리아 마자카
    사망 :
    379. 1. 1, 카이사리아
    국적 :
    카이사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리키니우스 Licinius
    一信敎) 기도형식을 쓰도록 했다. 313년 6월 5일 그리스도교도들에게 관용을 베풀고 교회의 재산을 되돌려주겠다는 칙령을 내렸다. 그당시 활동했던 라틴계 작가 락탄티우스와 주교 유세비우스로부터 개종자라는 칭송을 받기도 했으나 결국 그리스도교도들로부터 따돌림당해 320년경에는 가벼운 종교적 박해를 가했다...
    출생 :
    미상
    사망 :
    325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이파 Haifa
    주요항구로서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하이파 만을 따라 있다. 〈탈무드〉에서 처음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지형학자인 유세비우스가 시카미노스라고 불렀던 이곳은 1100년의 십자군 원정 후에는 카이파스라고 불렸다. 그후 1799년에는 나폴레옹에게, 1839년에는 이집트의 장군이자...
    위치 :
    이스라엘 북서부
    인구 :
    289,820명 (2020년 추계)
    면적 :
    63.7㎢
    언어 :
    아랍어, 히브리어
    대륙 :
    중동
    국가 :
    이스라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