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류파동 석유 파동, 油類波動
    1973~1974년, 1978~1980년의 1·2차에 걸친 국제석유가격의 급상승과 그 결과로 나타난 석유소비국들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경제적 위기와 혼란을 총칭하는 말.|석유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중요한 에너지가 되었으나 희소성과 지역적 편재로 인해, 강력한 국제석유자본(major)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같은 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석유의 정치학, 석유 파동 유류 파동
    1960년 석유수출국기구 OPEC이 결성되었다. 1973년 OPEC이 석유 수출을 금지하고 제1차 석유 파동(오일 쇼크)이 발생했다. 1980년 9월 이라크가 이란에 대해 선제 공격을 가함으로써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했고, 석유 가격이 절정에 이르렀다.|20세기는 석유의 시대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리면서 석탄은 인...
    시대 :
    1973년
  • 석유파동 (동의어 유류 파동) 石油波動, Oil Shock
    두 차례에 걸친 석유 공급 부족과 석유 가격 폭등으로 세계 경제가 큰 혼란과 어려움을 겪은 일.|개설 1973∼1974년 중동 전쟁(아랍·이스라엘 분쟁) 당시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과 1978∼1980년의 이란 혁명으로 인한 석유 생산의 대폭 감축으로 석유의 공급이 부족해지자, 국제 석유 가격이 급상승하고, ...
    시대 :
    현대
    발생 :
    1974년 1월 1일(제1차 석유파동), 1978년 10월(제2차 석유파동)
    성격 :
    유류파동, 오일쇼크
    유형 :
    사건
    분야 :
    경제·산업/경제
    관련 인물/단체 :
    석유수출국기구(OPEC)
    관련 장소 :
    중동
  • 석유산업 (관련어 유류파동) 石油産業, petroleum lndustry
    석유를 탐사·개발 및 채굴·수송·정제·판매하는 산업.|개요 이중에서 탐사·개발·생산의 산유부문을 상류부문(上流部門)으로, 수송·정제·판매를 하류부문으로 나눈다. 석유산업의 역사 세계의 석유산업은 1859년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 타이터스빌에서 E. L. 드레이크가 강식정법(鋼式井法)으로 석유생산에 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1970년대 에너지 위기 (관련어 유류파동) 1970s energy crisis, オイルショック
    1970년대 에너지 위기, 석유 위기, 또는 오일 쇼크, 석유 파동는 원래 ‘석유에 의한 공급 충격’을 의미한다.)은 원유 값이 급등하여 전 세계 각국에 경제적 타격을 준 경제 위기를 말하며, 지금까지 대한민국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2차례의 유류 파동은 각각 1973년과 1978년에 일어났다.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도서 위키백과
  • 1973년 석유 파동 1973 oil crisis, 第一次石油危机
    번역 확장 필요 1973년 석유 파동은 197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국왕이 이끄는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 회원국들이 석유 금수조치를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 금수 조치는 욤키푸르 전쟁 동안 이스라엘을 지원했던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 초기에는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영국 및 미국이었지만 금수...
    도서 위키백과
  • 연탄파동 주유종탄, 煉炭波動
    연탄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정부는 에너지정책을 석탄위주에서 유류위주로 전환했다. ‘주유종탄’ 정책으로 인해 석탄 산업은 쇠퇴의 길로...이러자 정부에서는 석탄산업 합리화 논의가 시작되었다. 1974년 연탄파동은 여름이 닥치기도 전에 벌어졌다. 정부는 오일쇼크로 원유 값이 폭등하자 1974년 초...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1973년 석유 위기와 카풀 운동
    평가했다. 그러나 모든 제3세계 국가들이 다 산유국은 아니잖은가. 이 석유파동은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한국 같은 나라엔 가공할 공포로 다가왔다. 10월 16일...10달러까지, 5배 이상 치솟았으니 그 충격이 얼마나 컸겠는가. 정부는 유류 공급을 17퍼센트 줄이고 제한적으로 송전 조치를 단행했다. 공장들은 일제히...
    시대 :
    1973년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석유산업
    따라 1960년대에 지위가 높아진 산유국들은 1970년대 들어 사업참가와 국유화의 2대정책으로 석유를 독점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73, 1979년 2차례에 걸쳐 유류파동이 일어나 국제석유가격·가격결정방식·채유형태가 크게 변했다. 첫째, 원유가격이 제1차 유류파동 때 3달러에서 11달러로, 제2차 유류파동 때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일본의 경제
    또한 일본경제는 양적 성장만이 아니라 질적으로도 호조를 보여 왔다. 1950, 1960년대의 '번영'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 일본 역시 국제통화위기(1971), 제1차 유류파동(1971)에 따른 혼란을 겪었으나 적어도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다른 구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이는 마이크로 전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일본 , 경제
  • 영동화력발전소 嶺東火力發電所
    당시 석탄화력발전소로서는 국내 최대 시설용량을 보유하게 되었다. 1970년대 국내 전력설비 구조는 중유전소 발전소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유류파동으로 인한 유류발전설비의 운영비 폭등현상은 전력사업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국내 저급 무연탄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이 발전소는, 당시의 국내전력...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정보화사회론의 전개
    기능보다 정보적 기능이 중시되는 사회라는 정의를 부여한 것은 1970년 전후였으며, 이후 정보화사회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1980년대 1973년의 유류파동은 사람들의 관심을 에너지와 그밖의 자원문제에 집중시켜서 정보화사회론에 대한 흥미를 일시적으로 후퇴시켰다. 그후 선진국들에서 다시 정보화사회론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