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웨들 James Weddell
    영국의 탐험가, 바다표범잡이.|남극항해 기록을 남겼으며 그의 이름을 따 웨들 해(海)의 명칭을 붙였다. 바다표범잡이 배 '제인호'를 이끌고 3차례 남극 여행을 했는데 첫번째 항해(1819~21)의 성공으로 배의 소유권 일부를 사들일 수 있었다. 2번째 항해(1821~22)에서는 남아메리카 끝부분 동쪽에 있는 사우스조지아 ...
    출생 :
    1787. 8. 24,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오스텐드
    사망 :
    1834. 9. 9,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웨들 Weddell Sea
    초여름에는 총빙(叢氷)이 서부와 중부에서 북쪽으로 남위 약 60° 지역까지 확장되어 초기의 선박탐험에 있어 큰 장해요인이 되었다. 1820년 2월 23일 웨들 해의 통과를 시도한 최초의 선박 가운데 하나인 영국의 쌍돛대 범선 '윌리엄스호'가 그레이엄 섬 북동해안 앞바다에서 얼음에 의해 저지되었으며, 같은 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서양 , 바다
  • 웨들해물범 Weddell seal
    정의 포유강 식육목 물범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Leptonychotes weddelli’이다. 원산지는 남극이고,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식성은 육식으로, 주로 오징어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약 3m, 무게는 약 400kg이다. 형태 통통하게 살진 몸체에 몸길이 약 3m, 몸무게 400㎏ 정도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범과
    원산지 :
    남극
    먹이 :
    오징어
    크기 :
    약 3m
    무게 :
    약 400kg
    학명 :
    Leptonychotes weddelli
    식성 :
    육식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웨들 Weddell Sea, ウェッデル海
    좌표 웨들해(Weddell Sea)는 코츠랜드와 남극반도 사이에 위치한 남극해 해역을 말한다. 동쪽으로는 퀸모드랜드 프린세스 마사 해안의 노버지아곶(Cape Norvegia)까지 이어지며, 그 너머로는 킹 하콘 7세 해와 맞닿아 있다. 엘리펀트섬 이남으로는 대부분 해역이 두터운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 이를 필히너-론 빙붕이라...
    도서 위키백과
  • 웨들해물범 Weddell seal, ウェッデルアザラシ
    생물 분류 웨들해물범은 물범과에 속하는 물범의 일종으로 비교적 크고 개체수가 풍부한 종이다. 남극 대륙 주변에 분포한다. 웨들해물범은 지구상에서 가장 남쪽에 분포하는 포유류로 서식지가 맥머도 만 (77°S)과 같은 최남단까지 확장된다. 웨들해물범속(Leptonychotes)의 유일종이며, 게잡이물범족 중에서 자유롭게...
    도서 위키백과
  • 웨들새들백타마린 Weddell's saddle-back tamarin
    생물 분류 웨들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weddelli)은 비단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서부 아마존 분지 지역에서 발견된다. 웨들새들백타마린 (Leontocebus weddelli weddelli) 흰새들백타마린 또는 흰망토타마린 (Leontocebus weddelli melanoleucus) 크랜달새들백타마린 (Leontocebus weddelli crandalli...
    도서 위키백과
  • Weddell Sea 웨들 해, ウェッデル海
    The Weddell Sea is part of the Southern Ocean and contains the Weddell Gyre. Its land boundaries are defined by the bay formed from the coasts of Coats Land and the Antarctic Peninsula. The easternmost point is Cape Norvegia at Princess Martha Coast, Queen Maud Land. To the east of Cape Norvegia...
  • 남극대륙 南極大陸, Antarctica
    유래했다. 세계에서 5번째로 큰 대륙이며, 오세아니아나 유럽 대륙보다 넓다. 남아메리카 쪽으로 돌출한 남극반도와 그 양쪽에 자리한 2개의 만(로스 해와 웨들 해)을 제외하면, 대체로 타원 모양을 이룬다. 로스 해의 동해안과 웨들 해의 서해안을 따라 트랜선탁틱 산맥이 남극대륙을 가로지르며 뻗어 있다. 이 산맥은...
    위치 :
    남극 지역
    면적 :
    14,200,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극
  • 로스 해 Ross Sea
    정기적으로 관광선이 오가는 지역이 되었다. 로스 해의 만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해서는 몇가지의 가설이 존재한다. 초기 지질학자들은 웨들 해와 연결된 로스-웨들 지구(地溝)라는 빙하 밑의 해구(海溝)를 가설적으로 상정하여 이 로스-웨들 지구의 확장으로 로스 해가 형성되었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태평양 , 바다
  • 남극의 물개들
    수 있는 이빨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크릴새우를 잡아먹는다. 때로는 물고기나 오징어를 잡아먹기도 하며 남극 주변의 얼음 위에서 산다. 웨들물개 웨들물개는 포유류 중에서 가장 남쪽에 살고 있다. 이들이 살고 있는 맥머도사운드는 남극에서 약 1,287㎞ 정도 떨어져 있다. 웨들물개는 주로 바다 얼음 사이...
    도서 손안의 지구과학 | 태그 지구
  • 폴리니아 polynya
    유형 중에서 보다 크고 오래 지속되는데 얼음피복 내에 형성되며, 깊은 곳의 보다 온난한 물의 용승으로 만들어지는 것 같다. 이러한 유형은 남극 웨들 해에 있는 거대한 웨들 폴리니아에서 잘 증명된다. 폴리니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외해로 모험을 한 초기의 탐험가들은 그들이 새로운 바다를 발견한 것...
    도서 다음백과
  • 라르센 빙붕 Larsen Ice Shelf
    라르센 빙붕의 면적은(빙붕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개의 작은 섬을 제외하고) 약 8만 6,000㎢이다. 빙붕의 폭은 그 남반부에서는 좁으나, 남극권으로 가면서 점차 넓어졌다가 다시 좁아진다. 라르센 빙붕은 웨들 해로 부는 남서풍이 웨들 해상의 총빙을 남극반도로 떠밀어 모아 압축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웨들물개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해물범
웨들 해(Weddell Sea)
남극 대륙의 웨들 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