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모 雲母
    화강암 가운데 중요한 조암 광물로 층상구조형의 규산염 광물.|내용 금속원소들이 서로 치환된 상대적인 함량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만들게 된다. 백운모·흑운모·금운모·파라고나이트·진왈다이트·리시아운모 등의 다양한 광물종이 있다. 결정구조는 대체로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나 육방정계(六方晶系)·사방...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운모 雲母, mica
    2차원적인 층상구조를 갖는 층상규산염에 속하며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의 3가지 암석 모두에서 흔하다. 칼륨과 알루미늄 외에도 마그네슘·리튬·망간·티탄 및 철(Ⅱ)·철(Ⅲ)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다양한 산업적 용도를 가지고 있어 철이 포함되지 않는 변종은 전기제품과 기기에서 절연재로 사용되며 벽지·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운모 韻母
    한어의 음절에서 어두자음인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컫는 언어학용어.|내용 한어의 음절은 성모(Initial=I) · 개음(介音, 韻頭, Medial=M) · 주모음(主母音, 韻腹, Principal Vowel=V) · 운미(韻尾, Ending=E)와 같이 분석되는데, M+V+E를 운모라고 하며, 때로는 음절 전체에 걸리는 성조(聲調, Tone...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운모 마이카, mica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SiO2, A12O3, K2O 및 결정수(結晶水)로 되어 있으며, 종류가 많으나 전기 절연용으로 쓰이는 것은 경질(硬質)의 것으로 백운모, 연질(軟質)의 것으로 금운모(金雲母)에 한한다.
  • 운모 雲母, mica
    내열, 내전압이 매우 우수한 광물로 절연재로서 전기 기구, 스토브의 창 등에 이용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운모 Mica, 雲母
    다른 뜻 운모(雲母, mica)는 완벽한 판상의 쪼개짐을 가지는 특정한 규산염 광물들에 대한 총칭이다. 대부분의 운모는 단사정계이며 육각 판상의 결정형을 가진다. 돌비늘이라고 한다. 완벽한 판상의 쪼개짐은 운모의 특징적인 층상의 원자배열 때문이다. 운모는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에 널리 분포한다. 19세기까지 유...
    도서 위키백과
  • Mica 운모, 雲母
    The mica group of sheet silicate (phyllosilicate) minerals includes several closely related materials having nearly perfect basal cleavage. All are monoclinic, with a tendency towards pseudohexagonal crystals, and are similar in chemical composition. The nearly perfect cleavage, which is the most...
  • 실거리나무 운영(云英)
    잎 어긋나고 2회 깃꼴겹잎이며 잎겨드랑이에 아래위로 겹쳐진 덧눈이 있다. 작은 잎은 5~10쌍씩이고 길이 1~2cm의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짧은 털이 난다. 작은 잎에는 많은 잔점이 퍼져 있다. 잎자루에는 줄기와 더불어 가시가 산재해 있다. 꽃 6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좌우 대칭이고 가지...
    분류 :
    덩굴성 낙엽 관목
    학명 :
    Caesalpinia japoniea
    분포지역 :
    남부 지방(해변과 섬 지방)
    자생지역 :
    산기슭 양지
    번식 :
    실생·씨
    약효 부위 :
    씨·뿌리·잎
    생약명 :
    운실(雲悉)
    키 :
    4m 정도
    과 :
    콩과
    채취기간 :
    가을(열매 성숙기)
    취급요령 :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특징 :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8~10g
    주의사항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한다.
  • 실거리나무 일본운실, Mysore thorn
    개요 주로 남쪽 지역에 자라는 덩굴성 낙엽 떨기나무다. 전체에 갈고리 모양의 날카로운 가시가 많다. 줄기는 조금 덩굴지며 높이 1-2m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잎 6-16장에 각각 작은 잎 10-20장이 붙는 2회 깃꼴겹잎이다. 꽃은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노란색이고, 5-6월에 핀다. 열매는 협과이며 납작하고 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실거리나무속
    서식지 :
    산기슭, 강가의 숲 가장자리 또는 숲 속
    학명 :
    Caesalpinia decapetala (Roth) Alston
    국내분포 :
    전라남도, 제주도
    해외분포 :
    일본, 중국
  • 함수운모 含水雲母, hydrous mica
    이들은 구조적으로 운모와 유사하므로 운모군에 속하기도 한다. 함수운모는 셰일과 이암에서 주로 산출되나 또다른 퇴적물에서도 산출된다. 이들은 토양 속에 존재하는 점토광물 중에도 존재하는데 기본적으로 팽창성이 없으며 우수한 경작지가 되지만, 칼륨과 알루미늄을 식물이 섭취할 수 없는 형태로 고정시키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흑운모 흑색 운모, biotite
    변성암(광역 및 접촉 변성암)·페그마이트·화강암과 기타 관입 화성암에 풍부하다. 흑운모는 칼륨·철·마그네슘·알루미늄의 4개의 염기성 규산알루미늄인 애나이트[K2Fe6(Si6Al2O20)(OH)4]·시데로필라이트[K2Fe5Al(Si5Al3O20)(OH)4]·금운모[K2Mg6(Si6Al2O20)(OH)4]·이스토나이트[K2Mg5Al(Si5Al3O20)(OH)4]가 다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백운모 보통운모, 白雲母
    백운모는 철의 함량이 적어 좋은 전기절연체와 열절연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광물이다. 백운모는 변성암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데, 결정이나 판상 형태로 산출된다. 또한 화강암이나 세립질 퇴적암에서도 나타나며, 일부 규산질암에서도 나타난다. 세립질 백운모는 견운모 또는 백색운모라고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금운모
운모 편암
운모편암
운모편암의 편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