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스만 포디오 Usman dan Fodio
    풀라니의 신비주의자·철학자. (아). ⁽Uthmān ibn Fūdī. Usman은 Usuman, Uthman이라고도 씀.|초기생애 1804~08년의 지하드(聖戰) 때 호전적인 새 이슬람 국가 풀라니 제국(지금의 나이지리아 북부에 있음)을 세운 혁명적 개혁가이다. 초기생애 지금의 북서부 나이지리아에 있는 고비르의 하우사 지방에서 태어났다...
    출생 :
    1754. 12, 하우살란드 고비르 마라타
    사망 :
    1817, 풀라니 소코토
    국적 :
    풀라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우스만 포디오에 대한 평가
    우스만은 19세기초 서부 수단 지역의 가장 중요한 개혁 지도자였다. 그의 중요성은 다음의 2가지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으로 무자디드(신앙의 부활자)로서 그 지역 전체의 이슬람 세계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고 다른 한편 선생이자 지성인으로 학생조직의 구심으로서, 대부분의 이슬람 학문을 포괄하며 널리 읽혀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바우치 Bauchi
    行) 철도와 만난다. 또한 도로를 통해 조스·카핀·마다키·카리·곰베·레레 등지와 연결된다. 이 토후국을 세운(1800~10) 야쿠부는 셰후(셰이코) 우스만 포디오를 위해 지하드(jihād, 성전)를 일으켰던 14명의 마수투타(masu-tuta, 기수) 중 풀라니족이 아닌 유일한 사람이었다. 게라와 혈통으로 추정되는 야쿠부...
    위치 :
    나이지리아 북동부, 바우치 고원
    인구 :
    645,000명 (2022년 추계)
    언어 :
    영어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소코토 Sokoto
    라(동쪽)·케비(서쪽)·야우리(남쪽)의 지배를 받았다. 1808년 풀라니족이 고비르의 하우사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지하드의 지도자 셰후(셰이크) 우스만 포디오는 현재의 나이지리아 중북부 지역 대부분과 베냉 북동부 일부, 니제르 남서부, 그리고 카메룬 북부에 걸친 자신의 광대한 영토(→ 풀라니 제국)를 2개...
    위치 :
    나이지리아 북서부
    인구 :
    3,702,676명 (2024년 추계)
    면적 :
    25,973㎢
    언어 :
    영어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소코토 Sokoto
    사하라를 가로지르는 옛 대상로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 도시는 최초의 '사르킨 무술미'('독실한 이슬람교도의 지도자'라는 뜻)였던 셰후(셰이크) 우스만 포디오가 주도한 풀라니족의 지하드(jihād:聖戰)의 군사거점으로 선정되었을 때만 해도 조그마한 마을에 지나지 않았다. 그후 이 마을은 1809년 풀라니 제국의...
    위치 :
    나이지리아 북서부 소코토 주, 소코토 강 연안
    인구 :
    641,249명 (2020년 추계)
    면적 :
    145㎢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풀라니 제국 Fulani Empire
    유목생활을 청산하고 도시에 정착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1790년대에 들어와 북부의 하우사족 국가 고비르(소코토의 북동쪽)에 사는 풀라니족 신학자 우스만 포디오(1754~1817)는 왕들과 불화를 빚었다. 그는 하우사족 통치자들을 이교도와 다를 것이 없다고 비난하고 반란을 촉구했다. 하우사족 평민과 목축생활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카노 Kano
    후 상업 중심지로서의 위치를 카치나에 빼앗겼다. 1734년에는 다시 한 번 보르누 왕국에 조공을 바쳤다. 1804년 풀라니 지하드(jihād 聖戰)의 지도자 우스만 포디오가 하우사 군주들에 대한 반란을 지휘했고, 1807년 카노 시가 점령되었다. 포디오의 한 제자 술라이마누(술레마누)가 카노의 초대 토후가 되었으며...
    위치 :
    나이지리아 북부
    인구 :
    주 13,076,900명 (2016 추계)
    면적 :
    주 20,131㎢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지하드 jihad
    종교적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지하드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이러한 경향은 18, 19세기 사하라 이남의 이슬람권 아프리카에서 특히 심하여 이곳에서는 종교적·정치적 정복을 지하드로 본다. 가장 두드러진 예는 우스만 포디오의 지하드로 이것에 의해 지금의 북부 나이지리아 지역에 소코토 칼리프 체제를 세웠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구멜 Gumel
    주마(Dan Juma)와 그를 따르는 만가(만가와)족이 세웠다. 1754년 그가 죽자 얼마 뒤에 구멜은 보르누 왕국의 속국이 되었다. 19세기초 풀라니족(族)의 우스만 포디오가 소위 지하드(jihad 聖戰)를 일으켜 공격해왔지만 이를 이겨냄으로써 한번도 소코토 풀라니 제국의 영토가 되지는 않았다. 1845년 구멜은 수도를...
    위치 :
    나이지리아 북부 지가와 주 북부
    인구 :
    140,000명 (2015 추계)
    면적 :
    223㎢
    언어 :
    영어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니제르의 역사
    고비르 왕국은 18세기에 국력이 크게 신장되어 투아레그족을 이 지역에서 몰아냈다. 풀라니족은 오랫동안 하우사족 영토에 침입했으며, 1804년 셰이흐 우스만 포디오는 자신이 이슬람교도의 지도자임을 선언하고 하우사족에게 지하드(Jihad : 성전[聖戰])를 선포했다. 하우사족을 물리친 그는 하우사족 왕국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하데지아 Hadejia
    보르누 왕국에 공물을 바쳤다. 1805년경 풀라닌 하데지아 추장이라는 칭호를 가진 풀라니족의 우두머리 우마루가 풀라니 지하드(jihād 聖戰)를 이끈 우스만 포디오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이어 우마루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아미르 삼보(1808~45 재위)는 1808년에 공식적으로 하데지아 토후국을 건설하고 하데지아...
    위치 :
    나이지리아 북부 카노 주 동부, 하데지아 강 연안
    인구 :
    139,400명 (2016 추계)
    면적 :
    32.0㎢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카우라나모다 Kaura Namoda
    의 하나인 잠파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잠파라의 수도는 1756년경 비르닌잠파라(북북동쪽 69㎞)에서 키야와(동남동쪽 32㎞)로 이전되었다. 1806년경 우스만 포디오가 이끄는 풀라니족이 지하드(jihād 聖戰)를 일으켜 키야와를 함락시킨 뒤, 나모다라는 전사가 잠파라의 '사르킨'(왕)이 되었다. 키야와 주민의...
    위치 :
    나이지리아 북부 잠파라 주, 가게레 강 연안
    인구 :
    393,000명 (2016 추계)
    면적 :
    868㎢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나이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