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리 2호 KITSAT-2, Korea Insti..
    한국 국적의 2번째 인공위성.|한국 시간으로 1993년 9월 26일 오전 10시 45분에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쿠루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Ariane)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중량 50㎏, 35.2×35.6×67.0㎤의 우리 2호는 1995년 현재 지상 800㎞ 상공에서 적도와의 경사각 98.6°를 갖는 태양동기궤도를 돌고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항공
  • 우리 2호 (관련어 우리별2호) KITSAT-2, KIT..
    우주선 정보 우리 2호는 대한민국 2번째 인공위성이다. 우리 1호가 영국 서레이 대학에서 제작된 것과 달리, 우리 2호는 대한민국 카이스트에서 제작되었다. 지구관측과 우주플라즈마 측정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궤도는 800 km 원형 태양동기궤도 (경사각 98.57o)이며 자세제어방식은 중력경사 안정화 방식 및 ...
    도서 위키백과
  • 인공위성 우리 2호 순수 우리 기술로 제작된
    원격탐사위성 스팟 3호, 보조위성과 함께 발사되어 고도 820km, 경사각 98.73도인 원궤도에 올라갔지요. 크기는 35.2×35.6×67cm이며, 무게가 47.5kg인 우리 2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제작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서 환경시험을 수행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우주기술을 갖춘 나라가 된 것...
  • 한국의 우주탐사 韓國- 宇宙探査
    연구센터가 1989년부터 3년간 영국 서리대학교와 위성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되었다. 이어 1993년 9월 26일 우리2호를, 1999년 5월 26일에는 우리3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운용 중에 있다. 2003년에는 ‘우리4호’격인 과학기술위성1호가 발사되었다. 과학기술위성1호는 KAIST 인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과학기술위성 2호 STSat-2A, STSAT-2A
    이용하여 두차례 발사를 시도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과학기술위성 2호가 실패한 이후 남아있는 대한민국의 100kg급 저궤도(LEO) 인공위성이 없어 짧은 시간...원을 들여 제작하였으며, 임무를 위해 복합소재 태양전지판과 듀얼헤드 센서, 펄스형 플라스마 추력기 등의 장비를 갖추고 있다. 과학기술위성은 2A위성...
    도서 위키백과
  • 우리1호 우리별일호, ─一號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0분이다. 우리1호는 지구표면 촬영, 음성자료와 화상정보 교신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명은 5년이다. 1993년 9월 23일에 순수한 우리 기술로 설계 제작한 우리2호가 같은 장소에서 같은 로켓으로 발사되었고, 1999년 5월에는 인도의 우주로켓으로 무게 100㎏짜리 우리3호가 발사...
    시대 :
    현대
    성격 :
    과학기술, 위성
    유형 :
    물품
    용도 :
    우주탐사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우리3호
    1999년 5월 26일 인도 남동부 샤르빌 발사장에서 PSLV-C2 발사체에 의해 발사되었다. 우리 1호와 2호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설계, 개발된 최초의 우리나라 고유 위성 모델로, 730km 고도의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한다. 크기는 495x604x852 mm, 무게는 최대 110kg이며, 최대 180 W의 전력이 공급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우리 3호 KITSAT-3, KITSAT-3
    우주선 정보 우리 3호(KITSAT-3)는 대한민국이 발사한 3번째 인공위성이다. 우리 1호, 우리 2호에 이어 1999년 5월 26일 발사되었다. 발사체는 인도의 PSLV-C2이며 크기는 495x604x852mm, 무게 110kg로서, 730km 고도의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한다. 자세제어방식은 3축 안정화 방식으로 자기토커에 의해 제어가...
    도서 위키백과
  • 우리
    V59)를 이용하여 발사되었다. 우리 2호는, 우리 1호 개발을 통해 이전받은 기술을 제대로 소화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 2호 개발의 전과정은 국내에서 이뤄졌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부품과 부분품, 시험장치를 과감히 채용하게 된다. 실험을 위한 탑재체는 우리 1호에 탑재된...
    도서 위키백과
  • 우리 일호와 얼룩소
    이날 참석한 사람은 우리 1호 개발 당시 임무분석, 열해석, 수신기·변복조부·안테나 설계를 맡은 박성동(쎄트랙아이 대표이사)을 비롯하여 우리 2호 개발에 참여한 이우경(한국항공대학교 교수), 천진환(KAIST 동문회 국장), 박성진(스토리툰 대표), 추길재(카이스토리 CSO) 등이다. 장형윤 감독은 이날 우리...
    도서 위키백과
  • 어휘에 따른 우리말, 소리와 소음의 차이는
    증가 우리나라 국토부와 환경부는 2014년 5월부터 아파트 층간 소음을 낮 시간 1분 평균 43dB로 제한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화장실이나 부엌의 순간 배수 소음은 제외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1분 등가소음도는 주간 43dB, 야간 38dB, 최고소음도(Lmax)는 주간57dB, 야간 52dB이다. 43dB은 체중 28킬로그램의 어린이가...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우리 1호 KITSAT-1, KITSAT-A
    시 활동 중의 하나이다. 2014년 2월 20일에 개봉한 장형윤 감독의 장편 애니메이션 〈우리 일호와 얼룩소〉에 우리 1호가 등장한다. 작품에서는 수명이 다해 궤도를 떠돌고 있던 우리 1호가 주인공 경천의 노래에 이끌려 지구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안드로이드로 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 2호 우리 3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우리별 2호(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Satellite-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