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요한네스 4세 Yohannes IV
    에티오피아의 황제(1872~89 재위). (영). John Ⅳ. 본명은 Kassa.|테오도루스 2세(1855~68 재위)에 이어 역시 강력하고 진취적인 통치를 했지만 대부분의 기간을 이집트, 이탈리아, 수단 마디교도(마디신의 재림을 믿는 자들)의 침략을 물리치는 데 보내야 했다. 에티오피아 북부에 있는 티그레의 제후 출신으로 우수...
    출생 :
    1831
    사망 :
    1889. 3. 10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요안니스 4세 (관련어 요한네스 4세) John IV Laskaris, ヨハネス4世..
    왕족 정보 요한네스 4세 두카스 라스카리스였다. 요한네스는 테오도루스 2세와 불가리아 출신의 옐리나(불가리아 차르 이반 아센 2세의 딸)의 아들로 태어나 8살인 1258년에 아버지가 죽고 제위에 올랐다. 어린 나이여서 아버지 테오도루스 황제는 게오르기우스 무잘론을 섭정으로 앉히고 죽었는데 불과 며칠후 명망 있...
    도서 위키백과
  • John IV Laskaris 요한네스 4세, ヨハネス4世ラスカリス
    John IV Doukas Laskaris (or Ducas Lascaris) (΄ Δούκας Λάσκαρις, Iōannēs IV Doukas Laskaris) (December 25, 1250 – c. 1305) was emperor of Nicaea from August 18, 1258 to December 25, 1261. This empire was one of the Greek states formed from the remaining fragments of the Byzantine Empi...
  • 둔스 스코투스 요한네스 둔스스코투스, John Duns Scotus
    필사본에는 요한네스 둔스가 탁발수도회(Friars Minor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 의해 설립)의 영국교구에 속하는 던스 출신의 스코틀랜드 사람이었고, "케임브리지·옥스퍼드·파리에서 활약하고 쾰른에서 죽었다"고 분명하게 서술되어 있다. 비록 어린시절의 교육과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입문에 관한 설명들이 믿을 만...
    출생 :
    1266경, 스코틀랜드 로디언 던스
    사망 :
    1308. 11. 8, 쾰른
    국적 :
    영국, 스코틀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요안니스 4세 Iōannēs IV Laskaris
    자신을 황제로 선포하고 1258년 12월 요한네스와 함께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 미하일은 1261년 8월 그의 군대가 라틴 점령자들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을 되찾은 후 그곳의 하기아 소피아 성당에서 단독 황제로 즉위했다. 1258년 이래 뒷전으로 밀려난 요한네스 4세는 미하일에 의해 장님이 되어 비티니아의 성채에 감금...
    출생 :
    1250
    사망 :
    1261(?)
    국적 :
    니케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요한 22세 요한네스 22세, Johannes XXII
    교회행정을 중앙에 집중시켰고,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영성파를 단죄했으며, 황제 루트비히 4세에 맞서 교황의 황제선출권을 주장했다. 프랑스 남부 카오르의 부유한 부르주아 가문에서 태어나 파리와 오를레앙에서 교회법과 민법을 공부했고, 1309년 나폴리의 카를로 2세의 대법관, 3년 뒤에는 추기경이 되었다. 1316...
    출생 :
    ?, 프랑스 카오르
    사망 :
    1334. 12. 4, 아비뇽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콘스탄티노플의 요한 요한네스, Johannes
    맡음으로써 동방교회의 총대주교구 도시들 가운데서 콘스탄티노플의 지배권을 강화했다. '금식가'라는 별명은 음식을 적게 먹었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요한네스의 신실하고 융화적인 성격에 매료된 총대주교 요한네스 3세 스콜라스티쿠스는 그를 하기아소피아 대성당의 부제로 임명하고 가난한 자들을 돌보는 일을...
    출생 :
    미상
    사망 :
    595. 9. 2, 콘스탄티노플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네포무크의 요한 요한네스, Johannes
    교회법 박사가 되었고, 그뒤 여러 교회 직무를 맡았으며, 1390년 프라하 대주교의 총대리가 되었다. 1393년 프라하 대주교를 도와 보헤미아 왕 벤체슬라스 4세가 총애하는 신하들 가운데 한 사람을 파문했으며, 프라하 관구 밖에 주교구를 신설하려는 왕의 야심을 막았다. 대주교의 심복이었던 그가 체포되자 벤체슬라스...
    출생 :
    1345경, 보헤미아 네포무크
    사망 :
    1393. 3. 20, 프라하
    국적 :
    체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스테판 Stefan Dusan
    그리스인의 황제 1341년에 안드로니쿠스 3세가 죽자, 비잔틴 제국은 집안 싸움과 내전으로 또다시 혼란에 빠졌고 두샨은 죽은 황제 휘하의 장군이었던 요한네스 칸타쿠제누스와 동맹을 맺었다. 칸타쿠제누스는 어린 후계자인 요한네스 5세 팔라이올로구스의 섭정들에 대항해 자신이 황제라고 선언했다. 두샨은 비잔틴...
    출생 :
    1308
    사망 :
    1355. 12. 20
    국적 :
    세르비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보니파시오 8세의 필리프 4세
    받아 교황사절로 프랑스로 파견된 후 교황을 배반한 프랑스 추기경 장 르무안(요한네스 모나쿠스)이 있다. 파리의 루브르에서 열린 왕과 그의 고문들의 비밀회의...입증되지 않은 많은 비난이 쏟아졌다. 이 비난들은 훗날 필리프 4세가 제소한 보니파시오의 사후 재판에 제출되었다. 루브르 회의에서 교회의 총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펠릭스 4세(3세) Saint Felix IV
    7월 12일 동고트족 테오도리쿠스 대왕의 선택에 따라 선출되었다. 테오도리쿠스는 전임 교황 요한네스 1세를 감금했고, 펠릭스가 교황이 된 직후에 죽었다. 펠릭스는 제2차 오랑주 공의회(529)에서 반펠라기우스주의를 단죄함으로써 은총에 관한 논쟁을 매듭지었고, 로마에 있는 이교 신전을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출생 :
    미상
    사망 :
    530. 9. 22,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요하네스 Johannes, ヨハネス
    1087 - 1143)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이다. 요한네스 3세(Ιωάννης Γ' Δούκας Βατάτζης, 1192 - 1254)는 니케아 제국의 황제이다. 요한네스 4세(Ιωάννης Δ' Δούκας Λάσκαρης, 1250 - 1305)는 니케아 제국의 황제이다. 요한네스 5세(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1332 - 1391...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