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요도망울 bulbourethral gland
    남자의 전립선 바로 아래 음경이 시작되는 곳에 있는 완두콩처럼 생긴 2개의 분비. 요도구선 또는 쿠퍼(Cowper's gland)이라고도 함.|지름이 겨우 1㎝ 정도이며, 소변과 정액 모두가 지나가는 요도로 통하는 관이 있다. 가는 관과 주머니처럼 생긴 구조물들이 그물처럼 얽혀 있으며, 관 사이에는 근육섬유와 탄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음경 (관련어 요도망울샘) 남근, 陰莖
    음경은 배뇨시에는 소변, 생식과정 동안에는 정액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부학적으로는 바깥 부분인 음경몸통과 음경뿌리 등 2부분으로 나눈다. 음경뿌리는 요도해면체라는 긴 원통형의 조직체와 함께 요도망울 바로 아래에서 시작되어 음경몸통을 따라 음경귀두라는 음경의 끝부분까지 뻗어 있다. 요도망울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망울요도 (관련어 요도망울샘) Bulbourethral ..
    해부학 정보 망울요도 또는 요도구, 쿠퍼은 두 개의 조그마한 외분비 기관으로서 인간 남성의 생식 기관 중 하나이다. 쿠퍼이라는 이름은 영국의 해부학자 윌리엄 쿠퍼의 이름에서 따론 것이다. 여성의 바르톨린과 상동 기관이다. 망울요도은 회음부 안쪽, 요도막부분의 두 근막 사이, 음경이 시작되는 부분...
    도서 위키백과
  • 윌리엄 쿠퍼 망울요도샘
    윌리엄 쿠퍼(William Cowper, 1666~1709년)는 영국 외과의사이며 해부학자로, 1699년 망울요도을 기술하였고, 망울요도에 그의 이름이 붙어 ‘쿠퍼’이라고 부른다. 그는 1666년 잉글랜드의 햄프셔주 피터즈필드에서 태어났으며, 1682년 런던의 외과의사 윌리엄 빅날의 견습생으로 의학수련을 받았다. 그는 1691년...
  • Bulbourethral gland 망울요도샘, 尿道球腺
    A bulbourethral gland, also called a Cowper gland for English anatomist William Cowper, is one of two small exocrine glands in the reproductive system of many male mammals (of all domesticated animals, they are only absent in the dog). They are homologous to Bartholin's glands in females...
  • 요도의 구조와 기능
    비뇨생식막 사이의 부위로, 요도에서 지름이 가장 좁고 요도괄약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양옆에 2개의 작은 분비(요도망울)이 있다. 해면체 부분은 음경의 요도해면체 속을 지난다. 여성의 요도는 남성에 비해 훨씬 짧아서 3~4.5㎝에 불과하며 남성보다 확장성이 크다. 방광에서 시작하여 약간 아래로 전진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전립선 전립샘, 前立腺
    되면 다 자란다. 50세경이 되면 보통 크기나 분비량이 감소한다. 중년 이후에 전립선이 커지면서 배뇨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감염이나 악성 종양 때문일 수 있다.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을 적절한 양만큼 분비하지 못하는 남성에게는 안드로겐을 투여해서 전립선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킨다.→ 요도망울, 정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사정 射精, ejaculation
    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세포는 그들 주위를 둘러싼 체액의 산성도가 높아 스스로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정자가 내부 부속기관들(전립선·사정관·정낭·요도망울)로부터 정액장이라고 불리는 체액을 받으면 산성이 감소된다. 또한 신체를 벗어나면서 정자는 운동하는 데 꼭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는다. 정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사람 이름이 붙은 해부 구조물
    nerve – Domenico Felice Antonio Cotugno 또는 Cotunnius (도미니코 코투뇨 또는 코투니우스 1736~1822년) Cowper's gland 쿠퍼 bulbourethral gland, 망울요도, 요도구선 – William Cowper (윌리엄 쿠퍼 1666~1709년) Cruveilhier's fossa 쿠뤼베이에 오목 scaphoid fossa of sphenoid bone 나비뼈의 배오목...
  • 남성의 생식계
    내부의 점막은 대부분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다. 정관팽대부는 얇은 벽으로 되어 있으며 정자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부속기관들 전립선·정낭·요도망울은 남성의 부속생식기관으로 정액의 액성물질을 분비하는 곳이다. 전립선은 거꾸로 된 피라미드 모양으로 방광목과 닿아 있고 요도가 지나간다. 2개의...
  • 여성의 생식계
    올라가 흔적으로만 남게 된다. 질입구 양쪽에 있는 전정망울은 남성의 음경망울에 해당되는 기관으로 발기성 조직이다. 전정망울의 뒤끝에 남성의 요도망울에 해당되는 점액성 인 큰전정이 있다. 여성 바깥생식기관의 혈관공급과 신경분포는 남성과 비슷하다.(그림 2) 질 질은 자궁목에서 질전정까지 이어지는 관...
  • 정액 精液, semen
    산성 탈인산가수분해효소, 칼슘, 나트륨, 요오드, 칼륨, 단백질 분해효소, 섬유소용해소(혈액과 조직섬유를 환원시키는 효소) 등이 포함된다. 요도망울요도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정액에 마지막으로 첨가되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점액이라고 알려진 걸쭉하고 투명하며 매끄러운 단백질이다. 정액장은 정자가 운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