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화가득률 外貨稼得率, rate of foreign exchan..
    원자재의 수입에 의존한 가공무역의 경우 상품수출국으로 순수하게 입금되는 외화의 전체수출액에 대한 비율.|즉 한 나라의 총수출액 중 원자재수입에 지출된 외화를 제외한 순수외화 수입의 전체수출액에 대한 비율을 말하며, 이것은 특정 산업에 대해서도 표시할 수 있다. 외화가득률 산출의 목적은 얼마만큼 경제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외화가득률
    수출을 통해 실제로 벌어들이는 외화의 비율. 수출상품 가격에서 수입원자재 가격을 금액을 상품수출가격으로 비율로 계산한다 ([(수출액-수입 원자재비)/수출액]×100)). 외화획득률이라고도 한다. 만약 외화가득률이 73.3%이라면 1,000원어치 수출했을 때 국내 몫은 733원이며 외국 몫이 267원이라는 뜻이다.외화가득...
  • 외화가득률 外貨稼得率, rate of foreign exchan..
    수출상품 가격에서 수입원자재 가격을 뺀 가격의 상품수출가액에 대한 비율. 특정 상품에 대하여 산출되는 경우와 수출상품 총액과 수입원자재 가격 총액에 대하여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 원자재를 국내 에서 생산할 수 있는 산업의 외화 가득률은 높아지는데 대체로 중공업분야에서 높게 나타난다. 후자의...
  • 외화가득액/외화가득율
    생산에 국산원자재 사용비중이 높을수록 외화가득률이 높으며, 수출상품이 외화획득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면 수출상품 생산이 직접 유발한 수입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유발한 수입까지 모두 차감하여 외화가득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산업연관분석의 수출부가가치유발계수와 같은 개념이다.
  • 외국환 外國換
    있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도 증가 속도는 느려졌으나 여전히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1997년 4분기에 들어서면서 그 동안의 수출 부진에서 오는 외화가득률 하락, 핵심 기업들의 경영 악화 및 줄 이은 도산, 관치금융과 정경유착에 의한 불합리한 투자 및 부조리,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에 따른 갑작스런...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수출주도형 고도성장 輸出主導型高度成長
    수입액이 총상품수출액의 40~50%를 차지했다. 여기에다 기계나 원유같이 수출생산에 간접적으로 투입된 수입품을 감안하면 이 기간중 상품수출의 순외화가득률은 40~50%밖에 안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산업에 걸쳐 수출산업에 직접·간접으로 고용된 노동자 수는 1960년 17만 명에서 1966년 53만 명으로 증가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플랜트 수출 plant export
    방식을 턴키 방식(turn-key system)이라고도 한다. 플랜트 수출에는 엔지니어링·기계·건설·무역·금융산업 모두가 관련되므로 수출국에 높은 부가가치율과 외화가득률을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수출유발효과와 무역마찰완화효과를 가져다준다. 반면 수입국에는 경제개발효과·고용유발효과·첨단기술이전효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원양어업 원해어업, 遠洋漁業
    따라 분류한 것 가운데 하나로 연안어업과 대비되는 말이다. 한국의 원양어업은 1957년에 처음으로 인도양 참치어업에 진출한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외화가득률이 높은 수출산업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1965년에는 9,000M/T(메가톤)에 불과했던 원양어업생산량이 1990년말 92만 5,000M/T으로 증가했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바다
  • 관세환급제도 關稅還給制度
    생산이 안 되는 원재료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공도가 높은 중간재의 수입을 유발하였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수출은 단순가공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외화 가득률은 낮은 수준에 머물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1975년 7월 1일부터 사전면세제도를 전면 폐지하고 관세환급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내용 현재...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농산물수출 農産物輸出
    넷째, 일본·미국으로 편중되어 있는 수출시장 구조를 홍콩·타이완·타이 등의 아시아와 영국·독일 등 유럽으로 다변화시켜야 한다. 농산물 수출은 외화가득률이 높아서 해외시장의 확대를 통한 농업소득 증대의 원천이 되며, 국내시장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과잉농산물을 수출함으로써 가격하락을 방지하고 수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