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유권 所有權현실적 토지 소유는 부인되지 않았다. 한편, 토지 자체에 대한 전면적 지배권은 고려 중기 이후에 확립된 것으로 구명되고 있다. 물론, 당시의 전근대적 토지소유권에는 여러 가지 권리가 중복되어 있고, 지배관계에도 오늘날의 근대적 소유권처럼 완전한 것은 아니었다. 고려 말 조선 초의 과전법(科田法)에 의해 공적...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경제 經濟토지소유권이 분명하지 않다는 구실로 전체 경작지의 12.3%인 35만7000여 정보, 전체 임야의 58%인 294만 정보를 조선총독부 소유로 편입시켰다. 이러한 방대한 조선총독부 소유의 토지와 산림은 일본의 우리 나라 통치에 있어 주요 재원이 되었고, 또한 우리 나라에 진출하는 일본인에게 그 일부를 헐값으로 불하하여...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토지수용법 土地收用法보상금의 지급이나 공탁을 조건으로 협의 또는 재결에서 정한 수용시기에 토지소유권을 취득하는데, 이 권리취득은 원권리자의 권리승계적 취득이 아니라, 법률에 의한 원시취득(原始取得)이다. 손실보상은 헌법의 취지로 보아 완전보상이 원칙이지만, 개발이익 환수라든가 지가폭등 억제와 같은 공익상의 정당한 이유가...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2년 1월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
대금을 지불한 사람과 명의를 이전받은 사람이 다르면 취득세는 누가 내나요? 지방세의 진실매수하는 것으로 알고 있을 뿐 김의성과 차동수 사이에 명의신탁약정이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명의수탁자인 차동수가 토지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한다. 이를 '계약명의신탁'이라고 한다. 이때 만일 과세관청이 김의성에게 취득세를 부과한다면, 법원은 그러한 과세처분은 당연히 무효라고...
-
도지권 賭地權한 소작지에서 추방당하지 않게 된다. 도지권의 부분소유권으로의 성장은 배타적인 완전한 소유권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토지에 대한 지주의 소유권을 축소시켜 불완전하게 만들고 전체 토지소유권의 3분의 1까지는 성장하였다. 이러한 도지권의 소유권적 성장은, 소작농이 전근대적인 속박을 해체하고...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촌락
-
지주 地主있다. 그러나 구한말에 이르기까지도 지주=전호 관계는 개별적 지주에 의한 완전한 사적 예속관계가 되지 못하고 국가적으로 집약, 편성된 존재로서 나타나고...말의 지주적 토지소유와 농민적 토지소유는 일제가 실시한 토지조사사업을 통하여 일단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형태로 재편된다. 농민적 토지소유는 이미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