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Ohira Masayoshi
    일본의 정치가·총리(1978~80).|개종한 그리스도교도인 오히라는 가난한 시골 출신으로서 고학으로 오늘날의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을 졸업했다. 대학 졸업(1936) 후 대장성에 들어갔고, 나중에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1952) 10차례 연임했다. 오히라는 뛰어난 협상 수완으로 명성을 얻었다. 1960년 그는 이케다...
    출생 :
    1910. 3. 12, 일본 시코쿠[四國] 가가와 현[香川縣] 도요하마[豊浜]
    사망 :
    1980. 6. 12, 도쿄[東京]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오히라 마사요시 (관련어 오히라마사요시) Masayoshi Ōhira,..
    제68·69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가가와현 태생으로 도쿄상과대학(히토츠바시 대학)을 졸업, 1935년 고등 시험(행정과)에 합격한 후 1936년 대장성에 입성하여 근무했다. 1951년 이케다 하야토 대장대신의 비서관으로 지냈으며, 당시 이케다 대장대신의 권유로 1952년 중의원선거에 입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돼 본격적...
    도서 위키백과
  • 196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김종필 · 오히라 마사요시 메모
    생각해서 비공식으로 낸 것이다. 없던 것으로 하자. 일본 : 김종필 부장이 10월 중순에 내일(來日)한다고 하는데 대단히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오히라 외상은 서로 최종 숫자를 내놓고 얘기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 · 오히라 회담에서 합의해도 나타내면 안 되고 정치 회담에서 결정되는 형식을 취해야 한다...
    시기 :
    1962년
  • 오히라 내각 大平内閣
    오히라 내각은 오히라 마사요시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는 일본의 내각이다. 제1차 오히라 내각 : 1978년 12월 7일 ~ 1979년 11월 9일 제2차 오히라 내각 : 1979년 11월 9일 ~ 1980년 7월 17일
    도서 위키백과
  • 김종필오히라메모 金鍾泌大平메모
    강력하게 추진했다. 한일협상의 핵심 쟁점은 청구권 문제였고 한일 간의 입장 차이도 컸다. 이러한 와중에 1962년 당시 김종필(金鍾泌) 중앙정보부장은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일본 외상과 두 차례 단독회담을 하고 청구권 문제의 최종적인 합의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10월 21일 열린 첫 회담에서 오히라는 독립...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현대사
  • 제2차 오히라 내각 Second Ōhira Cabinet, 第2次大平内閣
    크게 줄였다. 이 때문에 전임 내각인 제1차 오히라 내각에서 반주류파가 됐던 각 파벌(후쿠다파·나카소네파·미키파·나카가와 그룹)로부터 총재인 오히라 마사요시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당내 항쟁이 격화됐다(일명 40일 항쟁). 국회에 있어서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도 자유민주당으로부터 주류파...
    도서 위키백과
  • 이토 마사요시 Masayoshi Ito, 伊東正義
    졸업했다. 졸업 후 농림성 관료가 되었지만 곧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흥아원으로 소속을 옮겼다. 이 시절 같이 일했던 사람들이 훗날 총리대신이 되는 오히라 마사요시와 통산상이 되는 사사키 요시타케다. 이후 중국에서 다시 일본으로 돌아왔지만 공습을 당해 집이 불타버려 한동안 오히라의 집에서 신세를 져야 했다...
    도서 위키백과
  • 제1차 오히라 내각 First Ōhira Cabinet, 第1次大平内閣
    일본의 내각 내각총리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법무대신 - 후루이 요시미 외무대신 - 소노다 스나오 대장대신 - 가네코 잇페이 문부대신 - 나이토 다카사부로 후생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농림수산대신 - 와타나베 미치오 통상산업대신 - 에사키 마스미 운수대신 - 모리야마 긴지 우정대신 - 시라하마 니키치 노동대신...
    도서 위키백과
  • 마사요시
    마사요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의 정치가 마쓰카타 마사요시: 사쓰마 번사 출신 일본 제국의 정치가 이토 마사요시: 일본의 정치인 미우라 마사요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손 마사요시: 일본의 기업가이자, 소프트뱅크의 CEO 야마자키 마사요시 나가타 마사요시: 일본의...
    도서 위키백과
  • 대일민간청구권 對日民間請求權
    요구한 8억 달러와 일본이 제시한 최고액 7,000만 달러 간의 엄청난 격차 때문에 난항을 거듭했다. 이후 1962년 11월 12일 김종필(金鍾泌) 특사와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일본 외상과의 비밀회담에서 합의된 이른바 '김·오히라 메모'를 근거로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과 함께 '재산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굴욕적인 한일 회담을 반대한 대중의 움직임, 6 · 3 사태 한일협상 반대 운동
    파병도 수출 진흥에 필요한 미국의 차관과 기술을 제공받는 조건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1962년 박정희는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을 일본에 파견해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외상과 비밀리에 교섭하게 했다. 김종필은 “제2의 이완용이 되어도 좋다.”라며 1962년 8월부터 오히라와 예비 절충 및 1, 2차 회담을 가졌다...
    시대 :
    1964년
  • 한일기본조약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韓日基本條約
    5·16군사정변으로 다시 유산되었다. 제6차 회담은 1961년 10월 20일 재개되었고, 1962년 11월 12일 도쿄[東京]에서 김종필(金鍾泌) 중앙정보부장과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일본 외상이 비밀회담을 가지고 그동안의 가장 큰 쟁점이었던 대일청구권 문제와 평화선, 재일동포 법적지위 문제에서 타협점에 도달해 '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