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하텐도리 우메다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쇼핑과 식도락 지역, おはてん通り우메다 히가시도리가 지는 별이라면 오하텐도리는 새롭게 떠오르는 별이다. 우메다의 중심지와는 조금 거리가 있어서 과거에는 이곳을 많이 찾지 않았지만 지금은 새롭게 단장을 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쇼핑할 수 있는 상점은 적으나 맛집과 술집이 몇 군데 있으므로 우메다 지역을 관광하다 식사를 위해 가볍게...
- 위치 :
- 우메다 히가시도리(梅田 東通り) 중앙로 건너편
- 유형 :
- 쇼핑, 먹을거리
- 사이트 :
- www.ohatendori.com
-
손자병법 행군편, 범군호고이오하 귀양이천음 凡軍好高而惡下 貴陽而賤陰원문 제9편 〈행군(行軍)〉 대개 군대는 높은 곳을 좋아하고 낮은 곳을 싫어한다. 볕이 잘 드는 곳을 귀하게 여기고 음지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그림자가 지고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해야 한다. 생명이 자라는 곳에서 안정을 취하고 편안한 장소에 주둔하면 군대는 병이 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반드시...
-
오하묵 吳夏默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더욱이, 미국·영국·일본 등은 시베리아지역의 이권을 염두에 두고 이들 잔존세력과 연합해 볼셰비키세력과 대립하였다. 이 때 오하묵은 조선인 자위대의 지휘관, 연합부대의 참모부 요원으로 활동하면서 백위군 및 그 후원세력들과 싸웠다. 1920년 1월 22일 김철훈(金哲勳)과 함께 이르쿠츠크...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95년(고종 32)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오하기문 梧下記聞그 가운데는 원색적인 표현까지 구사해 가며 그 시말을 자세히 기록한 것도 있다. 사건의 날짜나 전후가 맞지 않는 것은 자료나 소식을 접한 순서대로 기록한 때문이다. ‘오하기문’이란 제목은, 황현이 거처한 정원에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그 아래에서 이 글을 기술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오하일기 梧下日記내용 오하(梧下)는 이규홍의 호이다. 총 18면의 필사본. 표제 아래에 ‘무진정월초’(戊辰正月抄)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의병투쟁 당시에 남긴 일기를 대본으로 1928년에 초록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규홍이 박이환(朴駬桓), 문형모(文亨謨)와 함께 태인에서 최익현(崔益鉉)과 임병찬(林炳燦)을 만나 의병에 동참할 것을...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
이규홍 원오(元五), 李圭弘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오(元五), 호는 오하(梧下).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출신. 중추원의관 이기영(李琪榮)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6년 4월 박이환(朴駬桓) · 문형모(文亨謨)와 더불어 태인에서 최익현(崔益鉉)과 임병찬(林炳瓚)을 만나 의병 활동에 동참할 것을 맹약하였다. 이듬해...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이병규 오하(梧下), 李昞圭개설 호는 오하(梧下). 경기도 안성 출생. 서울 양정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의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서양화과에 유학하여 1925년에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병규는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주관한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는 외면하면서 서화협회전람회, 도쿄미술학교 동문들의 동미전(東美展, 1930...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1년 1월 24일
- 사망 :
- 1974년 12월 10일
- 경력 :
- 양정중고등학교 미술교사 및 교감, 교장, 국전 추천작가 및 초대작가, 수도여자사범대학 명예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서양화가
- 대표작 :
- 온실 속의 여인, 온실 일우(一隅)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경상북도 예천 장례 소리하관하고 묘지의 흙을 다지면서 달구 소리를 부르다가 〈에히용〉으로 일을 마무리짓는다. 묘를 다 쓴 뒤에는 상여꾼들이 초상집으로 돌아가면서 〈오하 소리〉를 부른다. 상여 소리 상여소리 (오호 소리) 발인제를 마치고 나서 선소리꾼이 먼저 "자아"하고 소리 치면, 상여꾼들이 "어와"하고 받으면서 상여를 멘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