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스로에 Osroene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 지금의 터키와 시리아 국경선을 가로지르는 메소포타미아 북서쪽에 있었던 고대 왕국. Osrhoene라고도 씀.|수도는 에데사(지금의 터키 우르파)였다. BC 136년경에 오르하이의 오스로에스라는 사람이 나라를 세운 데서 오스로에라는 왕국명이 나온 것 같다. 오스로에스는 이란계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오스로에 Osroene, 奥斯若恩
    아브가르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오스로에의 인구는 그리스인들과 파르티아인들이 섞인 가운데, 주로 아람인들이었다. 문화적 배경은 파르티아의 영향이 강하면서도, 부분적으로는 아람적이었으며, 그럼에도 일부 아랍적 문화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sfnsfn 지배층인 아브가르 왕조는 로마 황제 카라칼라가 오스로에...
    도서 위키백과
  • 파르타마스파테스 Parthamaspates of Parthia, パルタマスパテス
    인물 정보 파르타마스파테스(Parthamaspates)는 2세기 초 기간 메소포타미아와 이후에는 오스로에에서 로마의 종속국 왕으로 군림했던 파르티아의 대공이다. 그는 파르티아의 황제 오스로에스 1세의 아들이다.서적 인용 로마에서 망명으로 생애 대부분을 보냈던 파르타마스파테스는 파르티아 정복을 위한 트라야누스...
    도서 위키백과
  • 티그라네스 2세 Tigran II the Great, Tigranes II the Great
    다시 정복하고 메디아 지방의 대부분을 폐허로 만들었으며 아트로파테네(아제르바이잔), 고르디에·아디아베네(둘 다 티그리스 강 상류 지방에 있었음), 오스로에의 왕들을 아르메니아의 봉신이 되게 했다. 그는 또한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합병하고 카프카스 지방의 이베리아와 알바니아를 속국으로 삼았다...
    출생 :
    BC 140경
    사망 :
    55경
    국적 :
    아르메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프라테스 3세 Phraates III
    장군 폼페이우스와 동맹을 맺고 아르메니아를 침공했다(BC 66). 폼페이우스는 처음에 메소포타미아의 전지역을 프라테스에게 양보했으나, 나중에는 태도를 돌변해 파르티아의 속국인 고르디에네와 오스로에를 점령했다. 프라테스는 반격을 취하기도 전에, 자신의 두 아들 오로데스 2세와 미트라다테스 3세에게 살해...
    출생 :
    미상
    사망 :
    BC 57경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파코로스 2세 Pacoros II
    것은 거의 없으나 반란이 계속 일어난 듯하여 아르타바노스 4세, 오스로이스, 볼로가세스 2세를 비롯한 대립왕들이 끊임없이 출현했다. 110년 파코로스는 오스로에가 다스리던 파르티아의 속국을 이자테스의 아들이며 아디아베네의 통치자인 아브가르 7세에게 팔아넘겼다.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가 메소포타미아를 침공...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로가세스 5세(4세) Vologeses V(IV)
    191년에 부왕 볼로가세스 4세(3세)에게 반기를 든 반역자로 역사에 등장해 192년 왕위를 계승했다. 193년 로마의 속국인 오스로에 왕국과 아디아베네 왕국에서 반란을 선동했지만, 이 반란은 195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이끄는 로마군에게 평정되었다. 로마군이 떠난 뒤 볼로가세스는 다시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오다이나투스 Septimius Odaenathus
    받았다. 오다이나투스 스스로는 자신을 팔미라의 왕이라 칭했으며, 나중에는 '왕 중의 왕'이라고 불렀다. 262년부터 그는 로마 속주인 메소포타미아와 오스로에에서 페르시아인들을 몰아냈으며, 아르메니아를 로마 제국 영토로 복원시켰던 것 같다. 사산 왕조의 수도 크테시폰을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동방에서...
    출생 :
    미상
    사망 :
    267/268
    국적 :
    팔미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프라테스 4세 Phraates IV
    티리다테스는 프라테스의 아들을 볼모로 삼아 로마로 도망갔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프라테스와 평화를 체결하고 아들을 돌려주었다. 아르메니아와 오스로에는 로마의 속국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프라테스에게 무사라는 이탈리아 여인을 선사했고, 프라테스는 그녀의 충고대로 자신의 아들 중 4...
    출생 :
    미상
    사망 :
    BC 2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에데사 (메소포타미아) Edessa, 埃德薩
    제국의 창시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이 헬레니즘 시대에 설립한, 상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 (폴리스)이다. 이후에 이곳은 오스로에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로마의 오스로에 속주의 주도로서 계속 역할을 했다. 고대 후기에, 기독교 학문의 유명소 및 에데사 문답학교가 위치한 곳이 되었다. 십자군 전쟁 기간...
    도서 위키백과
  • 아브가르 7세 Abgar VII
    infobox royalty 아브가르 7세(Abgar VII)는 서기 109년-116년을 다스린 오스로에의 왕이다. 지역 내 주요 패권국들 사이에서 독립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는 로마 제국에 대한 에데사의 중립 정책 시대를 끝내고, sfn 서기 114-116년에 벌어진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왕 오스로에스 1세에 맞선...
    도서 위키백과
  • 아시리아 속주 Assyria (Roman province), アッシュリア属州
    상대로 또다시 원정을 추진했다. 성공적인 원정 이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메소포타미아와 기원전 2세기에 세워진 왕국이며 에데사를 중심으로 한 오스로에라는 새로운 속주 두 곳을 설치했다. 그는 또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처음에는 파르티아 그 후로는 사산 제국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속주들에 군단 두 개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