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일동맹
    기사 원문 일영협상 전문[역(譯)] 일본국 정부와 대불열전국(大不列顚國) 정부는 극동에서 현상 및 전국(全局)의 평화유지를 희망하며 또 청제국과 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유지함과 더불어 해당 두 나라에서 각국 상공업으로 하여금 균등한 기회를 얻는 데 관하여 이익 관계를 특별히 가지는 까닭에 이에 다음과 ...
    간행/발행 :
    황성신문(1902년 02월 19일)
  • 영일동맹 英日同盟, Anglo-Japanese Alliance
    1901년 일본은 만주에서 러시아의 단독지배를 인정하지 않고, 제국주의 열강과의 협조하에 한국 지배뿐 아니라 중국 분할에도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일본과 영국은 교섭을 거쳐 1902년 1월 30일 영일동맹을 체결했다. 이에 대항해 러시아는 3월에 러시아-프랑스 공동선언을 발표했으나, 국제외교에서 수세에 몰렸다. 19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국제사회
  • 제2차 영일 동맹
    1905년 영국과 일본이 맺은 2차 동맹 조약. 영국이 일본의 조선 지배를 외교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1904년 만주와 한반도에서 이권을 둘러싸고 일어난 러·일 전쟁은 일본의 승리로 끝났다. 전쟁 후인 1905년 7월 일본의 총리 가쓰라 다로와 미국의 육군장관 태프트는 '미국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승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영.일 동맹 (동의어 영일 동맹) 英日同盟, Anglo-Japanese Allia..
    1902년(광무 6)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를 공동의 적으로 하고 동아시아의 이권을 분할하려고 체결한 조약.|1902년(광무 6)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를 공동의 적으로 하고 동아시아의 이권을 분할하려고 체결한 조약을 말한다. 당시 일본과 러시아는 한반도를 두고 대립 관계에 있었다. 한편 러시아의 남진에 불안을 느낀 ...
    도서 다음백과
  • 영일 동맹 (관련어 영일동맹) Anglo-Japanese Allianc..
    조약영일 동맹은 1902년 1월 30일 러시아 제국의 남하에 대비하여 이해를 함께하던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과 일본 제국 양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이다. 1902년 1월 30일 영국 런던에 있는 랜즈다운 후작 저택(Lansdowne House)에서 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영국 외무장관과 하야시 다다스 영국 주재 일본 ...
    도서 위키백과
  • 러일 전쟁의 발발 (관련어 영일 동맹)
    의화단 사건이 일단락되어 8개 연합국 대표와 청나라 사이에 강화교섭이 진행되고 있을 때 러시아는 만주에서의 철병을 거부하면서 별도의 협정 체결을 강요하였다. 이 같은 러시아의 주장은 국제적인 물의를 빚어 영국 · 미국 · 독일 · 일본 등의 강력한 항의를 받아 러시아는 단계적 철병을 하기로 조약을 체결하였...
  • 영국 ・ 일본의 동맹 체결
    1월 30일,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의 남하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제1차 영 ・ 일동맹을 맺었다. 두 나라는 영국이 청나라에 대한 이권을 차지하고, 일본이 조선에 대한 이권을 차지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각국이 두 나라 이상의 적국과 전쟁을 벌일 경우 서로 돕기로도 약속했다. 참조
    시대 :
    1902년 1월 30일
    국가/대륙 :
    아시아
  • 가쓰라 ・ 태프트 밀약과 제2차 영 ・ 일동맹의 체결
    7월 27일 일본 수상 가쓰라 다로와 미국 육군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밀약을 맺었다. 핵심은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서로 인정한다는 것이었다. 8월 12일 제2차 영 ・ 일동맹을 맺은 영국도 일본의 대한제국 지배권을 승인했다. 참조
    시대 :
    1905년 7월 27일
    국가/대륙 :
    한국
  • 가쓰라-태프트 밀약 Katsura–Taft agreement, <일> 桂・タフト協定
    확신한다"고 피력하고 일본의 조선 지배를 승인하였다. 이 비밀협정에 의해서 미국의 한국문제 개입의 가능성을 배제시킨 일본은 같은 해 8월에 제2차 영일동맹, 9월에 포츠머스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국제적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조선에 대해 을사조약을 강요했으며, 미국은 이를...
  • 영일 관계 Japan–United Kingdom relations, 日英関係
    중개자 역할을 했다. 1854년에 체결된 영일 화친 조약은 영국과 도쿠가와 막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시작하여 1902년부터 1922년까지 이어진 영일 동맹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영국의 자치령들은 영국에 일본과의 동맹을 종료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영일 관계는 1930년대에 일본 제국의 만주사변·중일 전쟁 가담...
    도서 위키백과
  • 군사동맹 목록 List of military alliances
    제국 제1차 발칸 전쟁 1912년 ~ 1913년 발칸 동맹 -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세르비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1902년 ~ 1923년 영일 동맹 - 영국, 일본 제국 1907년 ~ 1918년 삼국 협상, 협상국 - 러시아 제국 (1917년 10월까지),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이탈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 루마니아...
    도서 위키백과
  • 이한응 李漢應
    감독·보호를 인정하는 새로운 영일동맹(제2차 영일동맹)을 맺으려는 영국과 일본 간의 비밀외교가 진행되자, 이 조약이 동양 평화를 침해하는 것이라 하여 영국정부에 항의했으나 영국정부는 냉담했고 오히려 일본과 비밀리에 연락하여 그를 축출하려 했다. 이에 제1차 한일협약과 침략적인 영일동맹개정조약에 죽음...
    출생 :
    1874. 9. 21, 경기 용인
    사망 :
    1905. 5. 12
    국적 :
    한말,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영일동맹(Anglo-Japanese Alliance)
황성신문 1902년 2월 19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