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합국총사령부 聯合國總司令部, General Headquarte..
    제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이 포츠담 선언 및 항복문서에 입각한 대일점령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1945년 8월 일본 요코하마[橫浜]에 설치한 연합국 최고사령관의 기관. 총사령부라고도 함.|1945년 9월 15일 GHQ는 본부를 도쿄[東京] 히비야[日比谷]로 옮겼다. 조직은 인사·정보·작전·후방 4개부로 이루어진 참모부(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연합군 최고사령부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새 헌법은 나중에 몇 군데 수정을 거쳐 일본국 헌법으로 채택되었다. 통치방식은 일본의 통치기구를 이용한 간접통치방식을 취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이 포츠담 선언 및 항복문서에 입각한 대일점령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1945년 8월 일본 요코하마(橫浜)에 처음으로 연합국 최고사령부 기관을 설치하게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광복군의 활동
    배치했다. 총사령부 기구도 종전의 10개 참모부서에서 참모·총무·정훈처 등 3개 부서로 축소, 개편되었다. 그러던 중 1942년 4월 20일 김원봉이 이끄는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합류하기로 결정함으로써, 부사령제를 신설하여 부사령에 김원봉을 임명했다. 조선의용대가 제1지대로 개편됨으로써 종전의 제1·2·5지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중국 육군총사령부 中国陸軍総司令部, 中國陸軍總司令部
    최고위 지상군 사령부이다. 전쟁 이후, 중화민국 정부의 수립과 중화민국 육군의 성립에 따라 현재의 육군사령부로 이어지고 있다. 국민혁명군의 육군 총사령부였지만, 국민혁명군 전체에 대한 지휘통제권한을 가진 것은 아니였고, 서남의 각 전구부대에 대한 지휘와 훈련을 맡았다. 그리고 연합국인 중국 남서부의 미국...
    도서 위키백과
  • 극동국제군사재판 極東國際軍事裁判
    도쿄 재판이라고도 한다. 1945년 9월 11일 연합국 총사령부(GHQ)가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의 39명에 대한 체포명령을 내린 것을 시작으로, 일본에서만 1,000명 이상이 전범 용의자로 체포되었다. 1946년 1월 19일 연합국 최고사령관인 D. 맥아더는 전쟁범죄(평화·인도에 대한 죄, 전쟁법규 위반죄)를 심리·처벌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민주조선 民主朝鮮
    일본정부의 학교교육법으로 인해 유혈사태까지 빗어지는 항의투쟁이 있었고, 6월 발행 예정이었던 ‘재일조선인 교육문제’를 특집으로 마련한 제6호는 연합국총사령부의 사전 검열로 발행 금지 조치를 당했다. 정치 관련 기사는 재일조선인연맹의 기본 강령에 따른 것으로 ‘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과 ‘조국통일...
    시대 :
    현대
    저작자 :
    조진남, 장두식, 김원기, 원용덕, 김달수
    창작/발표시기 :
    1946년 4월부터 1950년 7월까지
    성격 :
    잡지, 종합잡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총 33호 간행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대일점령정책 對日占領政策
    점령정책은 실질적으로 미국이 담당했지만 점령형식은 연합국에 의한 점령관리 형식을 취했다. 그에 따라 점령의 최고 정책기관으로서 일본과 교전한 11개국...SCAPE)의 지령을 일본정부에 실시하게 하는 간접통치 형식을 취했다. 그러나 미국이 FEC나 ACJ의 의장을 독점했으며 총사령부도 맥아더를 비롯해 미국이 독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보프르 André Beaufre
    파리 총사령부로 전속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인 1940~41년 알제리에서 국방부 사무차관으로 일하는 동안 비시 프랑스에 의해 체포되었지만, 1942년 석방된 뒤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자유 프랑스군에 가담하여 여러 전선에서 싸웠다. 전쟁이 끝난 뒤 인도차이나와 알제리에서 복무했고, 1956년 이집트와의 수에즈...
    출생 :
    1902년 1월 25일, 프랑스 뇌이쉬르센
    사망 :
    1975년 2월 13일, 베오그라드
    국적 :
    프랑스
  • 맥아더 라인 マッカーサー・ライン
    맥아더 라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이후 연합군 최고 사령관 총사령부 (GHQ)의 문서 SCAPIN1033 호 "일본의 어업 및 포경업에인가 된 구역에 관한 각서 '에...관해서도 일본의 관할권, 국제 경계선 또는 어업권에 대한 최종 결정에 관한 연합국 측의 정책 표명은 아니다"라는 문구가 담겨있다. 또 맥아더 라인은 일본...
    도서 위키백과
  • 하랄트 폰 히르슈펠트 Harald von Hirschfeld
    서방 연합국에게 항복한 이탈리아군을 반란군 취급했고 저항하는 이탈리아군은 사살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렸다. 전투라고 부를 수도 없는 살육으로 인해 아퀴 사단 장병 1,250여 명이 전사했고, 이후 포로가 된 10,000여 명 중 약 5,300명이 무자비하게 학살당했다. 더욱이 진상이 불분명하긴 하나 살아남은 포로들은 배...
    도서 위키백과
  • 마닐라 국제 군사 재판 マニラ軍事裁判
    사령부 총사령부(GHQ / SCAP)가 공포한 〈전쟁 범죄 피고인 규정〉(Regulations Governing the Trials of Accused War Criminals)이었다. 필리핀은 미군의 ‘마닐라 군사 재판’(관할 책임자는 미군 제6군 사령관 월터 크루거 중장)과 필리핀군의 ‘필리핀 군사 재판’(관할 책임자는 마누엘 로하스 필리핀 대통령)의...
    도서 위키백과
  • 김성환 송암, 金聖煥
    광복군총사령부와 미국의 전략첩보기구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는 합작하여 미군의 한반도 상륙 때 참가할 광복군의 특수 유격 훈련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는 1945년 4월 29일 산시성(陝西省) 시안(西安)에 도착하여 OSS훈련에 제1기로 참여하였다. 그리고 무전반(無電班)에 배속되어 첩보 훈련과 유격 훈련...
    출생 :
    1919년 12월 8일, 평안남도 강서(江西)
    사망 :
    1993년 11월 15일
    관련 사건 :
    학병 강제징집
    본관 :
    김해(金海)
    주요활동 :
    1944년 일본군 강제징집, 한국광복군 입대, 1945년 한국광복군 제2지대, OSS 제1기 훈련 수료, 국내정진대 경상도반 1조 편성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평양 제42부대, 한국광복군 제2지대, OSS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