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좌농성 連坐籠城, sit-in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의 전술 가운데 하나.|시위자들이 사업장이나 공공장소에 들어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계속 앉아 있는 전술이다. 본질적으로 수동적인 성격의 연좌농성을 진압하려는 시도는 야만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좌농성과는 관련이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시위자들에 대한 동정을 불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농성 (관련어 연좌 농성) Sit-in, 座り込み
    다른 뜻 농성(籠城, 문화어)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항하는 직접행동이다. 농성기간 중의 행위에 대하여 근로자들에게 민·형사상의 책임이나 신분상 불이익처분 등 일체의 책임을 묻지 않기로 노사간에 합의를 한 경우에 그 취지는 위 농성중의 행위와 일체성을 가지는 행위 또는 위 농성중의 행위와 필연적으...
    도서 위키백과
  • 그린즈버러 연좌농성 Greensboro sit-in
    이 시위의 성공은 연좌농성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이 운동은 학생비폭력위원회(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SNCC)에 의해 처음 조직되었고, 남부 전체로 퍼졌다. 연좌농성은 후에 지브릴 카잔으로 이름을 바꾼 에젤 블레어 Jr., 프랭클린 매케인, 조지프 맥닐, 데이비드 리치먼드로 구성된 4명이 주도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미국민권운동 美國民權運動, Civil Rights Movement
    지역에서는 여전히 인종차별 폐지조치에 단호히 반대했다. 1960년 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즈버러에서 새로 결성된 학생비폭력협력위원회(SNCC)가 주도하는 연좌농성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에 참여한 흑인 대학생들은 그 지역의 백인 전용 식당에 가서 손님들의 시중을 들겠다고 고집을 부리며 연좌농성을 벌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생시위대피습사건 高大生示威隊被襲事件
    몰아내자”며 시내로 행진하였다. 이들은 국회의사당(현 서울시의회 건물) 앞에 도착한 뒤 마산사건 책임자 처단과 경찰의 학원출입 금지를 요구하며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유진오 고려대 총장과 학교선배인 이철승 의원의 설득으로 학생들이 농성을 풀고 질서정연하게 귀교하던 7시 20분경, 시위대들이 종로4가의 천일...
    시대 :
    현대
    발생 :
    1960년 4월 15일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장소 :
    종로4가
  • 타와쿨 카르만 Tawakkul Karman
    곧 그 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사나대학교를 근거지로 하는 시위 본부를 세우는 데 앞장섰다. 이곳에서는 이후 수개월 동안 수천 명의 시위 군중들이 연좌농성을 벌여, 예맨 민주화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카르만은 예맨의 민주화 시위에 앞장선 공을 인정받아 2011년 10월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는데, 32세의 그녀는 역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제임스 파머 파머, James Leonard Farmer
    인종평등회의(Congress of Racial Equality/CORE)를 이끌었고, 비폭력 연좌농성과 프리덤 라이드(Freedom Rides: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미국 남부지방의 버스 또는 기차여행) 운동을 도입했다. 파머는 미시시피 주 홀리스프링스에서 자랐다. 목사이자 교수였던 그의 아버지는 학생 전원이 흑인인 러스트대학에서 신학을...
    출생 :
    1920. 1. 12, 미국 텍사스 마셜
    사망 :
    1999. 7. 9, 버지니아 프레더릭스버그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본드 Julian Bond
    교육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애틀랜타의 모어하우스대학에 다니면서 민권운동단체 설립에 기여했고, 애틀랜타 간이식당에서의 인종차별을 폐지하기 위해 연좌농성을 주도했다. 1960년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SNCC) 창설에 가담하여 그 단체의 협상책임자가 되었다. 1965년...
    출생 :
    1940. 1. 14, 미국 테네시 내슈빌
    국적 :
    미국
  • 데먼스트레이션 데모, demonstration
    이외에도 머리띠 등을 두르고 구호를 외치는 등 집단적으로 행동한다. 데모는 그 목적에 따라 진정 데모, 항의 데모, 동조 데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연좌농성, 파업, 사보타주(태업), 단식투쟁 등도 시위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같은 시위 행동은 국민이나 노동자의 의사표시이기 때문에 사회적·정치적 파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집단 항의 集團抗議
    요구를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기 위해 플래카드, 깃발 등을 내걸거나 머리띠 등을 두르고 구호를 외치는 등 집단적으로 행동한다. 시위의 방법으로 연좌 농성, 파업, 사보타주(태업), 단식 투쟁 등도 사용된다. 이 같은 시위 행동은 국민이나 노동자의 의사 표시이기 때문에 사회적·정치적 파급 효과가 상당히...
  • 미국자동차항공기농기계합동노동조합 UAW, 美國自動車航空機農機械合同勞動組合
    제조업자와 벌인 치열한 투쟁으로 유명했다. 와그너 법의 합헌 여부가 가려지지 않은 가운데 사용주들은 조금도 양보를 하지 않았으며, UAW는 프랑스식 '연좌농성' 파업으로 맞섰다. 그러나 1936년 대통령선거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큰 승리를 거두고 이듬해 대법원이 와그너 법을 합헌으로 확정하자 제너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6·3사태 六三事態
    이를 시발로 서울·부산·대구 등 3개 도시의 학생들이 가두로 진출하여 대대적인 항의시위를 전개했으며, 500여 명의 고교생들은 미국대사관 앞에서 연좌농성을 벌였다. 5월 20일 서울대학교에서 대학생연합은 '황소식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을 갖고 한일회담과 5·16군사혁명을 맹렬히 성토하며 격렬한 시위를 벌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연좌농성(sit-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