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안어업 연해어업(inshore fishery), 沿岸漁業
    연안의 수역에서 소형 어선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어획하거나 수산 동식물을 인공적 방법으로 길러서 생산하는 어업. 연해어업(inshore fishery)|개설 해면어업은 무동력 어선, 총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 또는 어선의 안전 조업과 어업 조정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총톤수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을...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연안어업 연해어업, 沿岸漁業
    해안에서 가까운 어장에서 하는 어업. 연해어업이라고도 함.|원양어업과 대비되는 말이다. 원양어업은 어획물을 저장·가공하는 설비를 갖추고 장기간에 걸쳐 먼 바다에서 하는 어업을 말하는 반면 연안어업은 보통 소규모의 어선을 가지고 하루 정도 조업할 수 있는 어장에서 하는 어업을 말한다. 한국의 경우 8·1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연안어업 연해어업, 沿岸漁業
    무동력어선, 총톤수 10톤 미만의 동력어선을 사용하는 어업으로 해당하는 어업을 하려는 자는 어선 또는 어구마다 시 ・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함. 과거 연안어업은 일반적으로 근거지 또는 육안(陸岸)에서 당일 돌아올 수 있는 항해거리 내의 수역, 즉 행정(行程) 1일이내의 범위에서 조업하는 생활형 소규모 어업이...
    분야 :
    수산정책
  • 어업 (관련어 연안어업) Fishing industry, 漁業
    수산업 어업(漁業)은 바다나 호수 등의 물 속에 사는 어패류, 물고기 따위의 수산물을 수확하는 직업이나 업종을 말한다. 어망을 사용한 어업은 그물어업, 망어업(網漁業)으로 부른다. 강이나 호수에서 이루어지는 수산업을 말한다. 뱀장어, 빙어 등이 주요 생산물이다. 육지에서 멀지 않은 바다에서 수산물을 채취하는 ...
    도서 위키백과
  • 원양어업 원해어업, 遠洋漁業
    해양어업을 어장에 따라 분류한 것 가운데 하나로 연안어업과 대비되는 말이다. 한국의 원양어업은 1957년에 처음으로 인도양 참치어업에 진출한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외화가득률이 높은 수출산업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1965년에는 9,000M/T(메가톤)에 불과했던 원양어업생산량이 1990년말 92만 5,000M/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바다
  • 연안조망어업 沿岸操網漁業, Coastal beam trawl
    총톤수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에 의하여 자루모양의 그물 입구에 막대기를 설치한 조망을 사용하여 주로 새우를 포획하는 어업
    분야 :
    수산정책
  • 연안선망어업 沿岸旋網漁業, Coastal purse seine
    1척의 10톤미만 어선으로 기다란 사각형의 그물을 사용하여 어군을 둘러싼 후 그물을 죄어 대상물을 잡는 어업
    분야 :
    수산정책
  • 어업 漁業
    어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어디냐에 따라 해면어업(海面漁業)과 내수면어업(內水面漁業)으로 나누어지고, 해면어업은 거안(距岸) 거리에 따라 다시 연안어업, 근해어업, 원양어업으로 분류된다. 연안어업은 아침에 출어하여 석양에 돌아올 수 있는 거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으로 그 규모도 작고 경영형태도 어가...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근해어업 해양어업(海洋漁業), 近海漁業
    offshore fishery)은 「수산업법」 제43조 4항에서 어업어업의 명칭, 어선의 톤수와 기관의 마력, 어업 허가의 유예, 허가의 제한 사유, 양륙항의 지정, 조업 해역의 구분, 사용하는 어구의 종류와 규모 등을 정하고 있다. 근해 어장과 연안 어장의 해역 범위는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지만 근해어업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연근해 어업 沿近海 漁業
    [개설] 연근해 어업은 「수산업법」 상 무동력 어선 또는 총 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근해 어업]과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연안 어업]을 사용하는 어업으로 구분된다. 「수산업법」[법률 제12084호, 2013. 8. 13, 일부 개정] 제41조에 따라 어선·어구 또는 시설마다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 경상남도의 산업과 교통
    가장 중요하여 전국 굴양식 어획고의 77.8%를 차지했고, 최근에는 방어의 양식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진해만은 특히 해수오염이 심하여 양식업은 물론 연안어업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어가인구도 농가인구와 마찬가지로 전국적인 도시화와 공업화에 밀려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어가인구는 3만 2,307명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산업 , 교통
  • 평화선 平和線
    ③ 한일 양국의 친선을 위해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하여 우리 정부는 1945년 미국대통령 트루먼(Truman,H.S.)이 성명한 ‘연안어업에 대한 선언’과 ‘해저와 지하자원에 관한 선언’을 비롯하여, 멕시코·페루·칠레·코스타리카 등에서 채택한 유사한 선언에 의해서 확립된 국제관례에...
    시대 :
    현대
    성격 :
    외교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연안어업(coastal fisher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