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안어업 연해어업(inshore fishery), 沿岸漁業연안의 수역에서 소형 어선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어획하거나 수산 동식물을 인공적 방법으로 길러서 생산하는 어업. 연해어업(inshore fishery) 개설 해면어업은 무동력 어선, 총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 또는 어선의 안전 조업과 어업 조정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총톤수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
어업 漁業어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어디냐에 따라 해면어업(海面漁業)과 내수면어업(內水面漁業)으로 나누어지고, 해면어업은 거안(距岸) 거리에 따라 다시 연안어업, 근해어업, 원양어업으로 분류된다. 연안어업은 아침에 출어하여 석양에 돌아올 수 있는 거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어업으로 그 규모도 작고 경영형태도 어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근해어업 해양어업(海洋漁業), 近海漁業offshore fishery)은 「수산업법」 제43조 4항에서 어업별 어업의 명칭, 어선의 톤수와 기관의 마력, 어업 허가의 유예, 허가의 제한 사유, 양륙항의 지정, 조업 해역의 구분, 사용하는 어구의 종류와 규모 등을 정하고 있다. 근해 어장과 연안 어장의 해역 범위는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지만 근해어업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연근해 어업 沿近海 漁業[개설] 연근해 어업은 「수산업법」 상 무동력 어선 또는 총 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근해 어업]과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연안 어업]을 사용하는 어업으로 구분된다. 「수산업법」[법률 제12084호, 2013. 8. 13, 일부 개정] 제41조에 따라 어선·어구 또는 시설마다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경상남도의 산업과 교통가장 중요하여 전국 굴양식 어획고의 77.8%를 차지했고, 최근에는 방어의 양식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진해만은 특히 해수오염이 심하여 양식업은 물론 연안어업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어가인구도 농가인구와 마찬가지로 전국적인 도시화와 공업화에 밀려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어가인구는 3만 2,307명으로...
-
평화선 平和線③ 한일 양국의 친선을 위해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하여 우리 정부는 1945년 미국대통령 트루먼(Truman,H.S.)이 성명한 ‘연안어업에 대한 선언’과 ‘해저와 지하자원에 관한 선언’을 비롯하여, 멕시코·페루·칠레·코스타리카 등에서 채택한 유사한 선언에 의해서 확립된 국제관례에...
- 시대 :
- 현대
- 성격 :
- 외교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