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역사소설 歷史小說
    실제의 역사적인 시대를 배경으로 특정의 실존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하는 소설.|내용 역사로부터 빌려온 사실과 소설적 진실성을 지니는 허구를 접합하여 역사적 인간의 경험을 보편적 인간의 경험으로 전환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러한 전환에 필요한 작가의 상상력이나 의도를 조절하는 주제는 역사적 사실...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역사소설 歷史小說, historical novel
    지나간 시대의 시대정신·풍습·사회상황 등을 사실적이고 자세하며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게 전달하려는 소설.|역사소설은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저서 〈나, 클라우디우스 I, Claudius〉(1934)처럼 실제의 역사적 인물들을 다룰 수도 있고, 허구적 인물과 역사적 인물을 혼합해서 다룰 수도 있다. 역사소설은 하나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역사소설 (관련어 역사 소설) Historical novel, 歴史小説
    역사소설(歷史小設, Historical novel)은 역사 시대를 배경으로 실존했던 특정인이나 역사상 사건을 소재로 쓴 소설이다. 역사상 사건이나 배경을 기초로 거기에 상상으로써 만든 인물이나 타 사건이 추가될 수 있다. 작가의 역사관이나 세계관을 좇아 기존 역사상 사실이 변형되기도 한다. 새로운 역사 해석을 목표하거...
    도서 위키백과
  • Historical novel 역사 소설, 歴史小説
    According to Encyclopædia Britannica, a historical novel is DevelopmentAn early example of historical prose fiction is Luó Guànzhōng's 14th century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hich cov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iods of Chinese history and left a lasting impact on Chinese culture.de ...
  • 한국의 역사소설
    한국에서 역사소설이 처음 씌어진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오래 전부터 있었던 듯하다. 고전문학 작품 가운데 대표적인 역사소설로는 〈김유신전〉·〈최치원전〉·〈임경업전〉·〈박씨전〉 등의 열전과 실기류 소설 외에도 〈임진록〉·〈병자록〉 등의 사건 중심으로 전개되는 작품을 들 수 있다. 그뒤 개화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가문소설 가계소설, 家門小說
    느껴지던 지배질서의 위기를 이겨내고 가문의 번영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든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방대한 분량과 복잡한 구성을 보면 그전까지의 소설이 거둔 가장 중요한 성과인 것 같지만, 중세에서 근대로 옮아가던 이행기 문학을 후퇴시켰다는 부정적인 면도 있다. 가계소설(家系小說)·대하소설(大河...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미스터리 소설 mystery story
    무서운 괴기소설, 의사(擬似) 공상과학소설, 범죄 해결을 다룬 소설, 외교적 음모를 파헤친 소설, 암호와 비밀단체에 얽힌 사건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 등 수수께끼 같은 상황을 다룬 모든 소설이 이에 속한다. 크게 초자연적인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푸는 이야기의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초자연적 내용을 다룬 이야기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문학
  • 이성계 李成桂
    방랑으로 보내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이성계의 정치적 몰락을 역사에 대한 허무주의적인 의식 내지 숙명론적 관점에서 그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역사소설역사라는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데에 중점을 두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또 소설의 허구성에 초점을 두고 사실을 변환시켜 문학적 심미화를 의식하는 작품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한문소설 漢文小說
    임진록 壬辰錄〉·〈임경업전〉·〈최고운전 崔孤雲傳〉·〈운향전 雲香傳〉 등은 임진왜란·병자호란의 양란 이후 나타난 군담류(軍談類) 소설로서 역사적 또는 허구적 영웅을 주인공으로 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남녀애정을 주제로 한 염정소설(艶情小說)이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권필(權鞸)의 〈운영전 雲英傳...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장길산 張吉山
    내용 황석영이 지은 대하 역사소설. 1974년 7월 11일부터 1984년 7월 5일까지 『한국일보』에 2,092회에 걸쳐 연재되었으며 1984년 현암사에서 전 10권으로 완간되었다. 이후 출판사를 옮겨 1995년 창작과비평사에서 재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조선 숙종조에 실재했던 인물인 장길산을 주인공으로 한 것인데, 『숙종실록...
    시대 :
    현대
    저작자 :
    황석영
    창작/발표시기 :
    1974년 7월 11일(연재 시작), 1984년 7월 5일(연재 종료)
    성격 :
    장편소설, 역사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원효대사 元曉大師
    세속적 번민, 그리고 이를 승화하여 중생 구제의 대덕을 실천하는 보살행이 주제이다. 조선의 상고사인 통일신라 이전의 신라를 무대로 『삼국유사』 속 역사적 인물 원효를 근대적 성격을 지닌 친숙한 캐릭터로 창조해 냈다. 왜 원효인가에 대한 이광수의 해방 후 언급은 이 작품을 쓰게 된 저간의 동기를 설명해준다...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운현궁의 봄 雲峴宮의 봄
    후 야망을 실현하는 흥선군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시대를 총체적으로 그리거나 그 의미를 묻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흥선군을 영웅화함으로써 본격적인 역사소설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일반적인 평가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것은 이 시기 김동인이 발표했던 일련의 역사소설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기...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5건

전쟁과 평화(Voyna i Mir)
북간도 / 안수길
이순신전
새로운 수법을 도입해 기존의 역사 소설과는 다른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김성한의 장편 역사 소설 〈임진왜란〉
김기진의 장편 역사 소설 〈청년 김옥균〉과 〈해조음〉
대체 역사 소설을 들고 나온 뒤 공상 과학 · 미래 소설을 쓰는 작가이자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복거일
박태원이 북에서 쓴 3부작 역사 소설 〈갑오농민전쟁〉
조선 초유의 대작이라는 찬사를 받은 홍명희의 대하 역사 소설 〈임꺽정〉
일제 강점기가 계속되고 있다는 가정 아래 씌어진 대체 역사 소설 〈비명을 찾아서〉
〈조선일보〉에 946회에 걸쳐 연재한 뒤 단행본으로 펴낸 역사 소설 〈임진왜란〉
장길산이라는 인물의 생애를 축으로 천민 집단의 고단하고도 험난한 삶을 형상화한 전10권의 역사 대하 소설 〈장길산〉
일제의 폭압과 수탈에 맞서 싸운 우리 민중의 저항과 투쟁의 역사를 그린 또 하나의 대하 소설 〈아리랑〉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놀라운 처세술로 위기를 헤쳐나가는 한 여성상을 그린 〈누님의 초상〉을 앞세운 소설집
제주도에서 일어난 항쟁이나 민란을 소설로 복원하며 민중을 압살하는 야만의 역사에 대해 저항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준 작가 현기영
한 여인의 비극적 일생을 통해 제주 4·3항쟁의 역사를 사실적으로 그려낸 같은 제목의 소설을 표제로 내세운 창작집 〈순이 삼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