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역사소설 歷史小說실제의 역사적인 시대를 배경으로 특정의 실존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하는 소설. 내용 역사로부터 빌려온 사실과 소설적 진실성을 지니는 허구를 접합하여 역사적 인간의 경험을 보편적 인간의 경험으로 전환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러한 전환에 필요한 작가의 상상력이나 의도를 조절하는 주제는 역사적 사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Historical novel 역사 소설, 歴史小説According to Encyclopædia Britannica, a historical novel is DevelopmentAn early example of historical prose fiction is Luó Guànzhōng's 14th century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which cov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iods of Chinese history and left a lasting impact on Chinese culture.de ...출처 영어 위키백과
-
-
이성계 李成桂방랑으로 보내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이성계의 정치적 몰락을 역사에 대한 허무주의적인 의식 내지 숙명론적 관점에서 그리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역사소설은 역사라는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데에 중점을 두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또 소설의 허구성에 초점을 두고 사실을 변환시켜 문학적 심미화를 의식하는 작품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장길산 張吉山내용 황석영이 지은 대하 역사소설. 1974년 7월 11일부터 1984년 7월 5일까지 『한국일보』에 2,092회에 걸쳐 연재되었으며 1984년 현암사에서 전 10권으로 완간되었다. 이후 출판사를 옮겨 1995년 창작과비평사에서 재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조선 숙종조에 실재했던 인물인 장길산을 주인공으로 한 것인데, 『숙종실록...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황석영
- 창작/발표시기 :
- 1974년 7월 11일(연재 시작), 1984년 7월 5일(연재 종료)
- 성격 :
- 장편소설, 역사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원효대사 元曉大師세속적 번민, 그리고 이를 승화하여 중생 구제의 대덕을 실천하는 보살행이 주제이다. 조선의 상고사인 통일신라 이전의 신라를 무대로 『삼국유사』 속 역사적 인물 원효를 근대적 성격을 지닌 친숙한 캐릭터로 창조해 냈다. 왜 원효인가에 대한 이광수의 해방 후 언급은 이 작품을 쓰게 된 저간의 동기를 설명해준다...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운현궁의 봄 雲峴宮의 봄후 야망을 실현하는 흥선군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시대를 총체적으로 그리거나 그 의미를 묻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흥선군을 영웅화함으로써 본격적인 역사소설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일반적인 평가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것은 이 시기 김동인이 발표했던 일련의 역사소설이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기...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